가음 단층

가음 단층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 부근에서 시작해 포항시까지 이어지는 한반도 경상 분지 내의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단층으로, 동쪽의 양산 단층에 의해 절단되어 있으며[1] 동-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형성되었다. 동-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 서북서 방향의 가음 단층은 북동-남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 북북동 방향의 양산 단층에 의해 절단되는데 이로부터 가음 단층이 먼저 생겨났음을 알 수 있다. 백악기에서 신생대로 넘어갈 즈음에 동-서 방향의 횡압력으로 가음 단층이 먼저 생성되고 그 후 북동-남서 방향의 횡압력에 의해 양산 단층이 형성되었으며 이 지구조 운동은 최소한 제3기 말까지 지속되었다.[2]
가음 단층대[편집]
가음 단층이 위치한 의성군 주변에는 가음 단층 외에도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이 다수 분포하는데 이들은 가음 단층계라고도 불린다.[3][4]
가음 단층[편집]
가음 단층은 의성군 봉양면, 금성면, 가음면과 영천시 화북면 일대의 하양층군, 유천층군 등을 가로질러 약 40 km 이상 연장된다. 이 단층에 의해 절단된 화산암과 퇴적암의 암상경계는 단층의 좌수향 운동에 의한 수평변위가 최대 2.3 km임을 지시한다.[5][6]
- 군위도폭(1980)에 의하면 북서 65°의 주향을 가지며 단층을 따라 관입한 맥암이 단층의 운동으로 파쇄되어 있다.[7]
- 구산동도폭(1976)에 의하면 북서 60°의 주향을 가지며 선암산 북서측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에서 2.5 km, 군위군 삼국유사면 낙전리에서 1 km, 학암리에서 2.5 km의 변위를 보인다.[8]
- 가음 단층의 노두 위치[5]
위치 | 좌표 | 성향 | 주향[9]과 경사 | ESR/OSL 연대측정값 |
---|---|---|---|---|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 N36°14'39.29", E128° 42'24.32" | 좌수향 주향이동 | 북동 83°/북서 53° | |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 | N36°13'55.57", E128°44'21.38" | |||
의성군 금성면 도경리 | N36°14'39.95", E128°40'08.92" | 주향이동 | 북서 87°/남서 74° | |
군위군 고로면 석산리 | N36°10'27", E128°51'13" | 좌수향 주향이동 | 북서 47°/남동 77° 북동 18°/남동 85° |
단층비지 : 560 ± 50ka |
군위군 고로면 낙전리 | N36°11'25.6", E128°49'27.8" | 좌수향 주향이동 | 북동 12°/북서 85° | - |
우보 단층[편집]
우보 단층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하나는 군위군 소보면과 구미시 도개면을 지나 서북서 방향으로 약 20 km 연장되며,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과 신동층군을 절단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군위군 의흥면과 우보면을 지나 서북서 방향으로 약 10 km 이상 연장되며 상부 신동층군과 하부 하양층군을 절단한다.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일대에서 화강암을 좌수향으로 어긋나게 하며, 그 변위는 300 m이다.[5][10]
- 우보단층(I)은 군위군 소보면과 구미시 도개면을 지나 서북서 방향으로 약 20 km 연장되며, 백악기 흑운모화강암과 신동층군 낙동층을 절단하고 있다.[3]
- 선산도폭(1989)에 의하면 청화산 남서측 다곡동의 화강암체는 이 단층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아마도 이 단층의 활동이 있은 후 화강암이 관입하고 그 후에 다시 단층의 작용을 받았을 것이다.[11]
- 서북서 방향의 상주영천고속도로 건설현장(N36°15'20.79", E128°27'37.95";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에 드러난 우보 단층은 주향 북서 50°/경사 북동 84°의 자세로 낙동층 조립질 사암(남쪽 지괴)과 셰일(북쪽 지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고각의 단층활면에서 관찰되는 찰흔 자국 및 10°이내의 선주각(rake)을 가지는 단층조선은 미약한 역이동성 성분이 포함된 좌수향 주향 이동 감각을 지시한다.[6]
- 우보단층(II)는 경북 군위군 의흥면과 우보면을 지나 서북서 방향으로 약 10 km 이상 연장되며, 상부 신동층군과 하부 하양층군의 사암, 미사암, 셰일을 절단하고 있다.[3]
- 군위도폭(1981)에서는 절단된 지층 경계에 근거하여 이 단층이 0.7 km 이상의 좌수향 수평 변위를 가짐을 보고하였다.[7]
군위 단층[편집]
군위 단층은 군위군 우보면과 군위읍 일원의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을 가로질러 약 7 km 연장된다. 우보 단층(II) 주변부와 함께 군위 단층 인근에는 서북서와 북북동 방향, 동북동 내지 동-서의 전단 단열들이 발달한다.[3]
금천 단층[편집]
금천 단층은 경북 의성군 의성읍 비봉리, 금성면 만천리, 춘산면 금천리와 금오리,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일대의 하양층군, 유천층군, 불국사 화강암류를 절단하며 약 35 km 이상 연장된다. 청송군 기계면에서 의성군 다인면을 지나 예천군 풍양면에 이르기까지 인지되며, 다인면 덕미리에서 안동 단층을 어긋나게 한다. 상주시 이안면 지역의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좌수향 단층(대현리 단층)은 금천 단층의 서측 연장으로 보이기도 한다.[5]
- 구산동도폭(1976)에 의하면 지표 상의 변위가 650 m~1 km로 나타나고 불국사 화강암류를 절단하고 있다.[8]
-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N 35°11'31.56", E 128°55'24.24")에서는 금천 단층의 부차 단층(subsidiary fault)에 해당하는 고각의 서북서 방향 소규모 단층들이 혼펠스화된 춘산층을 절단하고 있다. 각 단층활면에서 확인되는 단층조선은 우수향 주향 이동 감각이 우세하지만, 일부 단층 활면에서는 좌수향 주향 이동 감각이 인지된다.[3]
의성 단층[편집]
경북 의성군 의성읍과 사곡면 일대의 하양층군을 절단하여 약 20 km 연장된다. 또는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청송군 기계면 현서면까지 발달한다.[5]Choi et al., 2004 의성 단층에서 북쪽으로 약 6 km 떨어진 의성읍 상리리 지점(N 36°20'52.51", E 128°43'53.75")에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서북서 방향의 단층이 확인된다. 고각으로 경동된 점곡층이 남-북 방향의 사면을 따라 드러나는데, 주 단층면 인접부의 셰일층 내에는 서북서 내지 북서 방향의 전단면을 따라 미약한 역이동성 감각이 수반된 좌수향 주향 이동 감각의 단층조선이 확인된다.[3]
신령 단층[편집]
신령 단층은 팔공산 북쪽,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에서 군위군을 거쳐 상주시 공성면까지 약 70 km 이상의 연장을 보이는 대규모 서북서 방향 단층이다.[5]
- 선산도폭(1989)에 의하면 대부분 충적 평원 밑을 지나 인지가 어려우며 지표에서는 구미시 산동읍 적림리에서 확인된다.[11]
- 대율도폭(1980)에서는 백학동 단층이라는 이름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 단층은 북측 지괴가 남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한 것이다.[12]
- 신령 단층의 노두[6]
위치 | 좌표 | 성향 | 주향[13]과 경사 | 설명 |
---|---|---|---|---|
영천시 신녕면 부산리 | N36°03'51.49", E128°43'59.93" | 좌수향 | 북서 60°/고각 | 하양층군 점곡층의 교호하는 사암과 미사암을 절단하고 있다. 약 1.5 m의 폭의 단층핵은 담청색의 단층비지와 5 cm 이내로 파쇄되고 응집력이 없는 단층각력(incohesive fault breccia)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단층암은 전반적으로 북서 방향의 배열을 보여 좌수향 운동을 지시한다. 단층핵과 단층손상대의 경계는 미립의 단층비지로 채워진 1~2 mm 두께의 전단면으로서 단층의 변위가 가장 집중된 주단층면으로 판단되며, 단층핵 내부에도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전단이 집중된 또 다른 면이 관찰된다. |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 | N36°04'28.24", E128°42'23.83" | 좌수향 | 북서 87°/남서 72° | 하양층군 점곡층의 사암을 절단하고 있다. 북서 87°/남서 72°의 자세를 보이는 주 단층면에서는 좌수향 주향 이동 감각이 뚜렷하게 인지되며, 1 m 이내의 두께를 보이는 단층핵은 2~3 cm 두께의 단층비지대와 단층각력대로 구성되어 있다. 주 단층에서 남쪽으로 약 1 m 떨어진 지점에는 북서 38°/남서 88°의 자세를 가지는 소규모 단층이 관찰되는데, 이 단층은 모든 지층을 절단하지 못하고, N73°E/27°NW의 자세를 가지는 퇴적층의 층리를 따라 단층의 자세가 수렴하는 특징을 보인다. |
군위군 부계면 명산리 | N36°05'57.75", E128°38'09.12" | 하양층군 일직층의 사암과 미사암을 절단하고 있다. 노출된 북북동 방향의 단면상에서 대규모 단층비지대는 인지하기 어려우나 단층핵으로 추정되는 부분에서는 열수로 인해 담청색으로 변질된 파쇄암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십 m 이상의 폭을 보이는 단층의 남쪽 손상대 내에는 고각으로 경동된 퇴적층이 확인되는데 단층핵으로 갈수록 퇴적층의 주향이 단층의 방향성과 유사하게 배열되고 경사가 고각이 된다. 이 노두에서는 불량한 노출 상태로 인해 단층의 북쪽 손상대를 인지할 수 없다. | ||
군위군 효령면 장군리 | N36°07'50.38", E128°33'29.62" | 좌수향 | 북서 79°/고각 | N79°W의 주향과 고각의 경사를 보이며 하산동층의 사암을 절단하고 있다. |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 | N36°08'14.59", E128°32'25.84" | 북서 66°/북동 72° | 하산동층의 담회색 사암과 탄층을 경계 짓고 있다. 주단층면은 N66°W/72°NE의 자세를 가지며 단층면을 따라 수 cm 폭의 단층비지가 관찰되는 반면, 인접하여 위치하는 부차 단층은 북서 56°/남서 54°의 자세로 주단층면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 |
구미시 해평면 괴곡리 | N36°10'28.14", E128°24'51.72" | 좌수향 | 경상 분지의 기반암에 해당하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및 편암을 절단하고 있다. 노출된 노두에는 상당히 풍화된 모암을 수매의 서북서 방향의 단층들이 절단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층에서는 단층암이 거의 인지되지 않거나 수 mm 폭의 좁은 단층비지대가 간혹 인지된다. 즉, 앞선 백악기 퇴적암을 절단하는 지점에서는 망상의 단층비지대를 포함하는 수 cm~수 m 폭의 단층핵이 인지되지만, 이 지점에서는 단층암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여러 개의 단층면으로 구성된 단층대가 관찰된다. |
팔공산 단층[편집]
대구 북부의 팔공산 화강암체를 자르며, 서북서 방향으로 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단층면은 서북서 방향의 주향에 북으로 고각 경사하는 양상을 보인다.[5]
관련 기사[편집]
"활성단층 지도 관련 예산 늘려야" - 주간경향, 2017.12.05일자 활성단층 연구팀의 1단계 조사계획 중에 가음단층계의 집중 조사가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기계-가음 간 경상누층군 내에 발달하는 단층계”. 대한지질학회. 1994년 11월.
- ↑ 이병주; 황재하 (1997년 3월). “Relationship between the Kaum fault and the Yangsan fault at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retaceous Ky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대한지질학회.
- ↑ 가 나 다 라 마 바 천영범; 하상민; 손문 (부산대학교) (2017년 4월). “경상분지 의성지괴에 발달하는 단층계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분지진화 동안의 역할”. 대한지질학회.
- ↑ “'가음단층계'의 분포와 운동 특성에 대하여”. 한국자원연구소.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가 나 다 천영범 (2018년).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 ↑ 가 나 장기홍 (1981년). “軍威 地質圖幅說明書 (군위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가 나 “九山洞 地質圖幅說明書 (구산동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7년.
- ↑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 ↑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가 나 정창희 (1989년). “善山圖幅 地質報告書 (선산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新寧 地質圖幅說明書 (신령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년.
- ↑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