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宜寧 西洞里 咸安層 빗방울 자국) (Rain Prints in Haman Formation, Seodong-ri, Uiryeong) | |
천연기념물 제196호 | |
지정일 | 1968년 5월 23일 |
소재지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리 316번지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宜寧 西洞里 咸安層 빗방울 자국)은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의 경상 누층군 함안층 상에 드러난 빗방울 자국 화석이다. 1968년 5월 23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196호로 지정되어 있다.
개요[편집]
1965년 11월 14일 경북대학교 지질학과의 장기홍 교수는 의령읍 서동리 국도변 암벽에 도로로부터 177 cm 높이, 경상 누층군 함안층 기저로부터 150 m 회적색 셰일지층면에서 빗자국(rain print)을 발견하고 1967년 이를 논문에 기재하였다. 분포 면적은 400 m2이며 많은 빗방울 자국들이 1 cm2당 1.5개의 밀도로 밀집해 있다. 빗방울 자국의 모양은 둥근 편이고 크기는 지름 8∼15 mm, 깊이는 1mm 미만이다. 빗방울 자국이 있는 이 지층은 약 1억 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당시 가뭄으로 한때 호수의 물이 줄어들어 바닥에 쌓였던 퇴적물이 노출되었고, 그 위에 떨어진 빗방울의 충격으로 자국이 생긴 것이다. 빗방울 자국이 생긴 퇴적물의 표면이 마르고 그 위에 새로운 퇴적물이 쌓인 후 오랜 시간이 흐르는 가운데 굳어져 돌로 변한 것이다.[1][2]
외부 링크[편집]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의령 신라통중의 우흔 Archived 2007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 남북의 천연기념물
- 의령 신라통중의 우흔 - 문화재청
각주[편집]
- ↑ 장기홍 (1967년 3월). “An Occurrence of Late Cretaceous fossil rain prints in Korea (白堊紀 化石빗자국의 한 出産)”. 대한지질학회.
-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에코타임스. 2013년 6월 11일.
![]() |
이 글은 경상남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