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분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동 분지충청남도 영동군 일대, 옥천 습곡대 동부, 영남 지괴와의 경계에 위치한 북동-남서 방향의 분지로, 영동읍부터 모동면, 상주시 화서면 일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의 육성(陸成) 퇴적층[1]으로 구성되어 있다.[2][3]이 분지는 옥천 습곡대영남 지괴 사이에 발달한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형성되었으며[4]남동쪽은 주향 이동 단층으로 경계를 이루나 옥천층군[5][6] 등과 접하는 북서쪽은 단층인지 부정합인지는 명확하지 않다.[7] 길이 45km, 폭 12km로서 면적은 540km2이다.[8]

영동 단층[편집]

분지의 남동쪽에 위치한 좌수향 주향 이동성 단층으로 영남 지괴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9][10]

각주[편집]

  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548725 <Remagnetization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Yeongdong Bas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6. '영동층군'으로 불린다.
  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07747 <영동분지(백악기) 북부 지역의 단층 및 부정합 경계에 대한 지구물리탐사> 대한지질학회, 2001.10
  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195462 <단층이동자료를 이용한 백악기 영동분지의 고응력장 복원과 지구조운동사> 대한지질학회, 2013.06
  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625507 <Electrical resistivity and seismic reflection mapping fo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Yongdong basin (Cretaceous), Korea>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00
  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195462 <단층이동자료를 이용한 백악기 영동분지의 고응력장 복원과 지구조운동사> 대한지질학회, 2013.06
  6.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09.php 한반도 지질 현황, 지질도상에 파란색 'og'로 표기되어 있다.
  7.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07747 <영동분지(백악기) 북부 지역의 단층 및 부정합 경계에 대한 지구물리탐사> 대한지질학회, 2001.10
  8. “한반도 지각변형 연구 [1], 제 6 절 영동분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8년. 영동분지는 옥천습곡대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에 발달된 영동단층대의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의 결과로서 형성된 육성기원의 퇴적분지이며,분지의 길이가 45 km, 폭이 12 km로서 540 km2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다 (Lee & Paik, 1989, 1990; Lee, 1990). 영동분지의 백악기 퇴적암은 남동변에서는 영남육괴와 단층접촉하고 있으며, 북서변에서는 분지의 북측 끝부분의 단층접촉을 제외하면 옥천층군, 평안층군, 선백악기의 화강암 등을 부정합적으로 피복하고 있다. 영동분지는 좌수향 주향이동단층대에서 형성된 인리형분지이며...분지는 남서측으로부터 북동측으로 성장 발달하였다. 
  9.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666843 <Surface geophysical surveys the northern part of the Yongdong basin (Cretaceous), Korea>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0.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09.php 한반도 지질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