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주상절리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무등산 주상절리대 (無等山 柱狀節理帶) | |
![]() | |
천연기념물 제465호 | |
지정일 | 2005년 12월 16일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354-1 일원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산96 일원 |
천연기념물 무등산 주상절리대 (無等山 柱狀節理帶)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帶)는 무등산에 있는, 기둥 모양의 절리가 늘어선 것이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65호로 지정되어 있다.[1] 입석대와 서석대 그리고 규봉에 있으며, 입석대와 서석대에 있는 절리대의 돌기둥 하나의 크기가 지금까지 남한에서 보고된 것 중 가장 커서 주목받고 있다.[2]
천연기념물 지정사유[편집]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석영안산암질 용암이 지표부근에서 냉각되면서 물리적 풍화에 의해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 화산활동의 산물로서, 수직으로 솟아오른 굵은 돌기둥과 동서로 길게 발달한 돌병풍 등이 빼어난 지질경관을 이루고 있는 등 학술적·경관적 가치가 매우 크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문화재청고시제2005-89호,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문화재청장, 2005-12-16
- ↑ 구길용 기자 (2013년 9월 8일). “무등산 주상절리대 가치 세계에 알린다”. 기상백과. 2015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편집]
- 무등산 주상절리대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이 글은 전라남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