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본진 | |
---|---|
UTC 시각 | 1944-12-19 14:08:53 |
ISC 지진번호 | |
USGS-ANSS | ComCat |
현지일 | 1944년 12월 19일 |
현지시간 | 23시 8분 52.9초 (KST, JMA 기준)[1] 23시 8분 56초 (KST, CENT 기준)[2][3] 23시 9분 3초 (KST, ISC 기준)[4] |
규모 | 모멘트 규모[4] Mw 6.6 -6.8[1] 표면파 규모 MS6.8[5] |
최대 진도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VII :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조선 룡천군 등 |
진원 깊이 | 35[4] km |
진앙 | 한국-중국 국경 지역 북위 39° 53′ 13″ 동경 124° 08′ 53″ / 북위 39.887° 동경 124.148° / 39.887; 124.148 북위 38° 49.9′ 동경 124° 04.5′ / 북위 38.8317° 동경 124.0750° / 38.8317; 124.0750 (JMA 기준) |
종류 | 유발지진 |
피해 | |
피해액 | 미상 |
사상자 | 3명 부상으로 추정[6] |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또는 1944년 압록강 하구 지진은 1944년 12월 19일 한국-중국 국경지대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 시 둥강 시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6.6-6.8의 지진이다.[4] 지진 발생 당시엔 일제강점기 조선과 만주국의 국경 지대였다. 이 지진은 한반도 전역에서 감지되었다.[5] 일본에서도 규슈 북부의 나가사키현, 사가현, 가고시마현과 혼슈의 히로시마현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진도1을 관측하였다.[1]
지진 12일 전에 일본 구마노나다에서 일어난 도난카이 지진인 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단층을 자극시켜 일으킨 유발지진인 것으로 추정된다.[7]
추정 규모
[편집]1944년 일어난 압록강 하구 지진의 규모는 여러 학자나 기관에서 서로 다르게 추정하고 있다. 이 지진에 대해 기록한 최초의 서적인 1960년 리샨방의 "중국지진목록"에서는 지진 진원지를 서조선만 중앙으로 추정하고 규모를 대략 M6.75라고 추정했다.[6] 국제지진센터에서는 1944년 지진의 규모를 Mw6.8로 추정하고 진원 깊이는 35.0km라고 밝혔다.[5] "조선지진목록"에 기재된 1944년 지진에서도 역시 규모 M6.8이라 추정하고 있다. 1952년 일본 중앙기상관측소에서 발표한 지진 규모는 대략 M7.1이라고 추정했다.[6]
흔들림 및 피해
[편집]1955년 리게위가 평양지진센터와 중국 랴오닝성 지진국 기록을 분석한 결과,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중국 단둥시, 둥강시, 좡허시 및 현재 북한의 룡천군과 같은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서 대략 VI(6)에 해당하는 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8][9] 이 외에도 일본 규슈 및 혼슈 일부 지역에서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진도1의 미약한 진동을 관측하였다.[1]
기록에서는 단둥시에서 지진으로 오래된 집 2채가 무너져 3명이 부상을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둥안현 및 신농향에서는 여러 주택이 무너졌다고 한다. 북한의 룡천군 기록에서는 지진이 일어나 걷거나 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땅이 흔들렸다는 기록이 있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ISS.CAT”. International Seismological Summary. 1964년.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centennial.cat”. Centennial Earthquake Catalog. 2002년.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 6.6 - China-North Korea border region”. USGS.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899663 North Korea”.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라 张志中; 潘华; 鄢家全; 吴宣; 李金臣 (2009). “北黄海重要历史地震参数复核”. 《中国地震》 (중국어 간체) 25 (4): 436–444. doi:10.3969/j.issn.1001-4683.2009.04.011. 2019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5일에 확인함.
- ↑ 徹大内; 泰雨張; 清華黄 (2007년 4월 13일). “Korea及びその周辺域の地震・火山活動とアジア東縁のテクトニクス : 地震活動に現われる潜在構造”.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研究報告》 (일본어)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 6: 211-227. doi:10.24546/00317634. ISSN 1342-9167. 2018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什么?丹东地震了?原来真相是这样……” (중국어 간체). 搜狐新闻. 2017년 11월 11일. 2019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5일에 확인함.
- ↑ 吴戈 (1995). 《黄海及其周围地区历史地震》 (중국어 간체). 北京: 地震出版社.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朝鮮半島北部地震[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일본 기상청
- M 6.6 - China-North Korea border region - USGS
-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암석 |
| ||||||||||||||||||||||||||||||||||||||||||||||||||||||||||||||||||||||||||||||||||||||||||||||||||||||||||||||||||||||||||||||||||||||||||||||||||||||||||||||||||||||||||||||||||||||||||||||||||||||||||||||||||||||||||||||||||||
---|---|---|---|---|---|---|---|---|---|---|---|---|---|---|---|---|---|---|---|---|---|---|---|---|---|---|---|---|---|---|---|---|---|---|---|---|---|---|---|---|---|---|---|---|---|---|---|---|---|---|---|---|---|---|---|---|---|---|---|---|---|---|---|---|---|---|---|---|---|---|---|---|---|---|---|---|---|---|---|---|---|---|---|---|---|---|---|---|---|---|---|---|---|---|---|---|---|---|---|---|---|---|---|---|---|---|---|---|---|---|---|---|---|---|---|---|---|---|---|---|---|---|---|---|---|---|---|---|---|---|---|---|---|---|---|---|---|---|---|---|---|---|---|---|---|---|---|---|---|---|---|---|---|---|---|---|---|---|---|---|---|---|---|---|---|---|---|---|---|---|---|---|---|---|---|---|---|---|---|---|---|---|---|---|---|---|---|---|---|---|---|---|---|---|---|---|---|---|---|---|---|---|---|---|---|---|---|---|---|---|---|---|---|---|---|---|---|---|---|---|---|---|---|---|---|---|---|---|---|
주요 지질 구조 |
| ||||||||||||||||||||||||||||||||||||||||||||||||||||||||||||||||||||||||||||||||||||||||||||||||||||||||||||||||||||||||||||||||||||||||||||||||||||||||||||||||||||||||||||||||||||||||||||||||||||||||||||||||||||||||||||||||||||
주요 지진 |
| ||||||||||||||||||||||||||||||||||||||||||||||||||||||||||||||||||||||||||||||||||||||||||||||||||||||||||||||||||||||||||||||||||||||||||||||||||||||||||||||||||||||||||||||||||||||||||||||||||||||||||||||||||||||||||||||||||||
지역별 지질 | |||||||||||||||||||||||||||||||||||||||||||||||||||||||||||||||||||||||||||||||||||||||||||||||||||||||||||||||||||||||||||||||||||||||||||||||||||||||||||||||||||||||||||||||||||||||||||||||||||||||||||||||||||||||||||||||||||||
지질 명소 |
| ||||||||||||||||||||||||||||||||||||||||||||||||||||||||||||||||||||||||||||||||||||||||||||||||||||||||||||||||||||||||||||||||||||||||||||||||||||||||||||||||||||||||||||||||||||||||||||||||||||||||||||||||||||||||||||||||||||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 |||||||||||||||||||||||||||||||||||||||||||||||||||||||||||||||||||||||||||||||||||||||||||||||||||||||||||||||||||||||||||||||||||||||||||||||||||||||||||||||||||||||||||||||||||||||||||||||||||||||||||||||||||||||||||||||||||||
한국의 산맥 | |||||||||||||||||||||||||||||||||||||||||||||||||||||||||||||||||||||||||||||||||||||||||||||||||||||||||||||||||||||||||||||||||||||||||||||||||||||||||||||||||||||||||||||||||||||||||||||||||||||||||||||||||||||||||||||||||||||
관련 기관 | |||||||||||||||||||||||||||||||||||||||||||||||||||||||||||||||||||||||||||||||||||||||||||||||||||||||||||||||||||||||||||||||||||||||||||||||||||||||||||||||||||||||||||||||||||||||||||||||||||||||||||||||||||||||||||||||||||||
옛날 지질지도 | |||||||||||||||||||||||||||||||||||||||||||||||||||||||||||||||||||||||||||||||||||||||||||||||||||||||||||||||||||||||||||||||||||||||||||||||||||||||||||||||||||||||||||||||||||||||||||||||||||||||||||||||||||||||||||||||||||||
고려 시기 이전 (- 1392) | |
---|---|
조선 시기 (1392-1905) |
|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
|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
|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
역사지진 |
|
---|---|
20세기 |
|
21세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