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지질도

조선지질도
(朝鮮地質圖)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가등록문화재
종목국가등록문화재 제603호
(2014년 9월 2일 지정)
시대일제강점기
위치
주소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좌표북위 36° 22′ 48″ 동경 127° 21′ 39″ / 북위 36.38000° 동경 127.36083°  / 36.38000; 127.36083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조선지질도(朝鮮地質圖)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지질도이다. 2014년 9월 2일 국가등록문화재 제603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조선지질도는 한반도를 구성하는 지층의 층서적 관계, 지질구조, 암석, 광물, 화석 등 다양한 특성의 지질관련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어, 한반도의 지질조사와 지질도 작성의 기념물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지질도를 통해 일제 강점기 당시의 한반도의 자연환경과 지질노두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이 지질도에 표시되어 있는 각종 광산과 화석 산지에 대한 정보는 국내 부존자원 조사와 지질유산 보존에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고 있다.

조선지질도가 비록 일본인에 의하여 일본어영어로 제작되어 있지만 지질학이 도입되고, 한국에서 지질학자원공학(지하자원 개발)이 발전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아직도 한국에서 지질도가 발행되지 않은 지역은 조선지질도를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1:50,000 조선지질도는 학술적인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조선지질도는 근대 학문의 하나인 지질학을 기념하거나 상징하는 가치가 있으며, 지질 탐사와 같은 기술의 발전 등 그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세부 내역[편집]

번호 지질도명
(축적)
발행처 발행년도 크기
(cm)
지역
1 조선지질도 1집
(1:50,000)
조선총독부
지질조사소[편]
1924 65x47 밀양, 유천
2 조선지질도 2집
(1:50,000)
" 1924 64x46 연일, 구룡포, 조양, 감포
3 조선지질도 3집
(1:50,000)
" 1925 33x46 하응봉, 길주, 사포동, 임명
4 조선지질도 4집
(1:50,000)
" 1925 33x46 극동, 명천, 칠보산, 고참동
5 조선지질도 5집
(1:50,000)
" 1925 64x47 진안, 전주
6 조선지질도 6집
(1:50,000)
" 1926 33x46 신흥, 고토수, 원평장, 오노리, 함흥, 서호진
7 조선지질도 7집
(1:50,000)
" 1927 64x47 청산, 영동
8 조선지질도 8집
(1:50,000)
" 1929 34x47 겸이포, 사리원, 재령
9 조선지질도 9집
(1:50,000)
" 1929 62x46 해남, 우수영
10 조선지질도 10집
(1:50,000)
" 1929 61x45 경주, 영천, 대구, 왜관
11 조선지질도 11집
(1:50,000)
" 1930 65x47 완도, 노화도, 청산도, 태광도, 소안도
12 조선지질도 12집
(1:50,000)
" 1931 34x47 동창, 은산, 별창리, 성천
13 조선지질도 13집
(1:50,000)
" 1931 62x45 청양, 대천리, 부여, 남포
14 조선지질도 14집
(1:50,000)
" 1932 34x47 재덕, 신복장, 고보, 올족리
15 조선지질도 15집
(1:50,000)
" 1933 32x47 북진, 우현진
16 조선지질도 16집
(1:50,000)
" 1933 32x47 연진, 청진
17 조선지질도 17집
(1:50,000)
" 1936 32x47 청성진, 천마동, 영산시
18 조선지질도 18집
(1:50,000)
" 1937 32x47 영해, 영덕
19 조선지질도 19집
(1:50,000)
" 1938 32x47 어평리, 고성리, 직동, 상동리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 제2014-86호, 《문화재 등록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340호, 58면, 2014-09-02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