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산 지진 (중국어 : 唐山地震 )은 1976년 7월 28일 3시 42분에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탕산 시 부근을 진원으로서 발생한 규모 7.5(미국지질조사소 발표, 중국지진국은 규모 7.8로 구분)의 직하형 지진이다. 시가지를 북북동에서 남남서로 달리는 단층을 따라서 큰 수평 오른쪽에 차이가 발생하면서, 격진에 의해서 당시 중국의 유수한 공업도시인 탕산은 괴멸 상태가 되었다. 공식 기록에 의하면 이 지진에 의한 사망자는 242,419명이며, 이것은 20 세기 최대의 피해이다.
가장 피해가 컸던 지진
순위
일자
장소
이름
사망자
규모
1
1556년 1월 23일
중국 산시
산시 대지진
830,000
8.0
2
1976년 7월 28일
중국 탕산
탕산 지진
255,000 (공식)
7.5
3
2010년 1월 12일
아이티
2010년 아이티 지진
230,000 이상
7.0
4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230,210
9.1-9.3
5
1138년 10월 11일
시리아 알레포
1138년 알레포 지진
230,000
8.5
6
1920년 12월 16일
중국 닝샤 - 간쑤
1920년 하이위안 지진
200,000 - 240,000
7.8 또는 8.5
7
893년 3월 23일
이란 아르다빌
893년 아르다빌 지진
150,000
8
1923년 9월 1일
일본 간토
간토 대지진
143,000
7.9
9
1948년 10월 6일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1948년 아시가바트 지진
110,000
7.3
2010년 7월 22일, 《탕산대지진》 개봉.
2010년 11월 4일, 《탕산대지진 》 한국 개봉.
같이 보기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역사지진
태산 (기원전 1813년?, M?)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윈난성 리장 (1515년, M?)
산시성 (1556년, M8.5)
백두산 인근 (1597년, M8)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광둥성 (1605년, M?)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충칭 (1856년, M?)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신장 우차 (1985년, M7.4)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신장 가스 (1997년, M6.4)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신장 피산 (2015년, M6.4)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신장 징허 (2017년, M6.3)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