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단층
포천 단층은 한반도 경기 지역에 있는 북북동 주향의 단층이다.
개요[편집]
추가령 단층대의 일부이며, 동쪽의 왕숙천 단층과 평행하게 발달한다.[1] 임진강 습곡대의 경계부 혹은 습곡대 내에서 대규모의 연장성을 갖는 단층으로 중생대 이전 연성전단대 천부를 따라 형성된 대규모의 취성 전단단층이다. 철원군, 연천군, 의정부시를 지난다.[2] 포천시 내부에서 이 단층은 국도 제43호선과 포천천(川)을 따라가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구조선으로 인지되나 충적층에 의해 피복되어 단층의 노두가 관찰되지 않으며, 포천시 소흘읍 축석령 부근에서 단층이 소멸되어 남남서 방향으로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다.[3]
통과 지역[편집]
포천시 신북면 - 신읍동 (포천시청 소재지) - 소흘읍 - 축석령[4]
각주[편집]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년 1월.
- ↑ “의정부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5년.
- ↑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이 글은 지구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