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2022년 3월) |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2년 3월 19일) |



영주시 | |||||||
榮州市 | |||||||
![]() 지그재그 방향으로 첫 번째는 소수서원 (사적 제55호), 두 번째는 선비촌, 세 번째는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보물 제221호), 네 번째는 부석사 다섯 번째는 구성공원 안에 위치한 가학루(駕鶴樓), 여섯 번째는 무섬마을, 일곱 번째는 희방폭포다. | |||||||
| |||||||
![]() 영주시의 위치 | |||||||
행정 | |||||||
나라 | ![]() | ||||||
---|---|---|---|---|---|---|---|
지역 | 경상북도 | ||||||
행정구역 | 1읍 9면 9행정동 13법정동 | ||||||
시청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시청로 1 (휴천2동 470) | ||||||
시장 | 박남서(국민의힘) | ||||||
국회의원 | 박형수(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 ||||||
인구 | |||||||
인구 | 101,370명 (2022년 6월년) | ||||||
인구밀도 | 151 명/km2 | ||||||
지리 | |||||||
면적 | 668.89 km2 |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
시화 | 철쭉 | ||||||
시조 | 까치 | ||||||
마스코트 | 영주도령 | ||||||
기타 | |||||||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 중앙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봉화군, 서쪽으로는 예천군, 남쪽으로는 안동시, 북쪽으로는 마구령을 경계로 강원도 영월군, 죽령과 고치령을 경계로 충청북도 단양군과 인접한다. 풍기인삼과 소수서원, 부석사, 소백산국립공원으로 유명하다.
역사[편집]
- 1914년 4월 1일 영천군 봉향면과 망궐면, 가흥면을 영주군 영주면으로 합면하였다.[1]
- 1940년 11월 1일 영주면을 영주읍으로 승격하였다.[2]
- 1980년 4월 1일 영주읍을 영주시로 승격하고, 영주군을 영풍군으로 개칭하였다.[3]
- 1995년 1월 1일 영주시 일원과 영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영주시가 설치되었다.[4]
- 1998년 10월 15일 상망동과 하망1동을 통합하여 상망동으로, 하망2동과 하망3동을 통합하여 하망동으로, 영주1동과 영주2동, 영주3동을 통합하여 영주1동으로, 영주4동을 영주2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읍 9면 9동)[5]
- 2008년 10월 16일 문수면 벌사리를 대양리로 개칭하였다.[6]
지리[편집]
지형[편집]
경상북도의 최북단에 위치한 영주 Archived 2022년 3월 7일 - 웨이백 머신시는 남북이 길고 동서로는 협소하며, 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어 주봉인 비로봉(1,439m), 국망봉(1,421m), 연화봉(1,394m)과 죽령을 경계로 하여 도솔봉(1,315m)으로 이어진 소백산 산록 고원부지에 형성되어 있으며 봉황산과 북부 산악지대에서 발원한 내성천은 봉화군을 관류하여 문수면 수도리에 이르고, 소백산 주봉인 비로봉·연화봉과 죽령계곡에서 발원한 남원천과, 국망봉에서 발원한 죽계천이 고현동에서 합류되어 서천을 이루어 시가지를 감돌아 낙동강으로 유입되며, 토질은 대부분이 사질양토로 각종 농산물이 잘 자라며, 특히 북부 산악지대는 사양토이기 때문에 배수가 잘되어 인삼, 사과 등의 생육에 적절한 곳이다.
기후[편집]
영주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2.4 (36.3) |
5.4 (41.7) |
11.0 (51.8) |
18.8 (65.8) |
23.6 (74.5) |
27.1 (80.8) |
28.6 (83.5) |
29.5 (85.1) |
25.4 (77.7) |
19.9 (67.8) |
12.0 (53.6) |
5.1 (41.2) |
17.4 (63.3) |
일 평균 기온 °C (°F) | −2.9 (26.8) |
−0.3 (31.5) |
4.8 (40.6) |
11.7 (53.1) |
16.9 (62.4) |
21.0 (69.8) |
23.8 (74.8) |
24.2 (75.6) |
19.1 (66.4) |
12.5 (54.5) |
5.6 (42.1) |
−0.6 (30.9) |
11.3 (52.3) |
평균 최저 기온 °C (°F) | −8.2 (17.2) |
−5.8 (21.6) |
−1 (30) |
4.4 (39.9) |
10.0 (50.0) |
15.4 (59.7) |
19.8 (67.6) |
20.0 (68.0) |
14.0 (57.2) |
6.2 (43.2) |
−0.2 (31.6) |
−5.8 (21.6) |
5.7 (42.3)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9.8 (0.78) |
28.8 (1.13) |
54.3 (2.14) |
82.9 (3.26) |
109.9 (4.33) |
164.6 (6.48) |
303.6 (11.95) |
273.1 (10.75) |
153.2 (6.03) |
43.2 (1.70) |
39.3 (1.55) |
18.3 (0.72) |
1,290.9 (50.82)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5.1 | 5.7 | 7.6 | 7.7 | 8.1 | 9.5 | 14.8 | 14.2 | 8.9 | 5.3 | 6.4 | 5.0 | 98.3 |
평균 상대 습도 (%) | 61.4 | 59.0 | 59.1 | 55.4 | 61.9 | 69.5 | 78.3 | 78.1 | 75.7 | 70.2 | 66.4 | 63.7 | 66.6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92.5 | 192.4 | 220.1 | 240.3 | 256.2 | 225.3 | 170.0 | 188.8 | 189.0 | 215.3 | 179.7 | 184.2 | 2,461.5 |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7] |
지질[편집]
영주시는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육괴의 북부에 위치해 있어, 전 지역이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중생대에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8]
선캄브리아기[편집]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은 주로 북서부인 소백산 주변과, 예천전단대가 지나는 남동쪽 끝 지역에 분포한다. 북서부의 소백산 주변에 분포하는 소위 소백산 변성암 복합체는 편암류, 화강암질 편마암,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등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캄브리아기 이후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차례의 광역 변성 작용을 받았다.[9]
- 반상 변정질 편마암(PCEpqn; Precambrian porphyroblastic gneiss, 斑狀 變晶質 片麻巖)은 단양군과의 경계 지역인 소백산 국립공원의 국망봉 일대에 대략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암석으로,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정장석, 흑운모 등이다.[9][8]
-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PCE(b)ggn; Precambrian (biotite) granite gneiss, 黑雲母 花崗巖質 片麻巖)은 죽령에서 비로봉, 국망봉까지 단양군과의 경계 지역을 따라 발달하는 암석으로 반상 변정질 화강암과 암상이 매우 유사하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정장석, 흑운모 등이다.[9][8]
-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PCEmgn; Precambrian migmatite gneiss)은 소백산 남동부인 부석면 소천리에서 단산면 좌석리, 순흥면 덕현리, 풍기읍 삼가리, 죽령에 이르기까지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미그마타이트질 암석이다. 죽령 단층 북부인 죽령 및 희방사 사이에서는 북동 45°의 주향을 가진다.[10][9][8]
- 영주시 평은면 남동부에는 예천전단대를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선캄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가 발달한다. 이 암석은 봉화군의 원남층으로 이어지며 암층의 두께는 1,500 m 이상으로 추정된다. 변성 퇴적암류를 구성하는 주요 암석은 호상 및 안구상 편마암, 혼상 화강편마암이며 여기에 석회규산염암, 흑운모/백운모 편암, 초압쇄암, 각섬암, 흑색 점판암, 및 대리암이 대상(帶狀) 분포하거나 소규모로 협재되어 있다.
- 편마암류(PCEgnc)는 주로 호상 편마암과 안구상 편마암으로 구성된다. 주로 석영, 사장석, 흑운모 등으로 구성된다.
중생대 화강암[편집]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영주시 시가지 지역을 포함한 동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 영주 화강암은 영남 육괴 북동부에 위치한 분포면적이 약 1180 km2인 저반형 암체로 흑운모 화강암, 반상편마상화강암 등 여러 가지 조성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11]
단층[편집]
영주시 내에는 죽령을 중심으로 발달하는 죽령 단층과 남동부의 예천 전단대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소규모의 단층이 있다.
- 죽령 단층은 죽령을 중심으로 중앙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북서 70°의 주향으로 발달하는 총 연장 23 km의 주향 이동성 단층이다. 단양군 지역에서 수평 낙차(변위)가 500 m이며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죽령역 부근에서는 1800 m에 달한다. 풍기읍 수철리에서는 지질도 상으로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을 약 1.2 km 정도 변위시키고 있다.[12][10][8]
예천 전단대와 북북동 주향의 단층[편집]
예천전단대(醴泉剪斷帶, Yecheon Shear Zone)는 영남 지괴 내에 존재하는 연장 100 km, 너비 3.5 km[13]의 연성 전단대로, 점촌에서 순창 전단대에서 분리된 후 (동)북동-(서)남서의 주향을 갖고 예천군과 영주시 평은면/안동시 북후면 경계 지역을 지나 울진군까지 연장된다.[14] 이 전단대는 평은면 동부 지역에서 북북동-남남서 방향 단층에 의해 절단된다. 이 북북동 주향의 단층은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서 평은면 오운리까지 지방도 제915호선과 일치하게 발달하며 위성 사진으로도 명확히 보이는 뚜렷한 선형구조 (lineamnet)를 보이고 있다.[15]
행정 구역[편집]
영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주시의 면적은 668.89km2이며, 인구는 2021년 12월을 기준으로 50,271세대 101,942명이다.[16]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풍기읍 | 豊基邑 | 5,473 | 10,485 | 75.93 |
이산면 | 伊山面 | 1,197 | 2,295 | 53.24 |
평은면 | 平恩面 | 787 | 1,422 | 62.18 |
문수면 | 文殊面 | 1,116 | 1,938 | 41.25 |
장수면 | 長壽面 | 1,163 | 2,143 | 42.06 |
안정면 | 安定面 | 1,583 | 2,962 | 43.69 |
봉현면 | 鳳峴面 | 1,404 | 2,700 | 51.93 |
순흥면 | 順興面 | 1,121 | 1,983 | 54.35 |
단산면 | 丹山面 | 1,075 | 1,831 | 92.2 |
부석면 | 浮石面 | 1,688 | 2,995 | 91.68 |
상망동 | 上望洞 | 3,467 | 7,430 | 15.78 |
하망동 | 下望洞 | 2,889 | 6,007 | 2.55 |
영주1동 | 榮州洞 | 2,228 | 3,912 | 1.02 |
영주2동 | 2,549 | 4,915 | 0.49 | |
휴천1동 | 休川洞 | 2,796 | 6,511 | 5.24 |
휴천2동 | 5,030 | 9,837 | 0.88 | |
휴천3동 | 3,549 | 7,599 | 10.32 | |
가흥1동 | 可興洞 | 6,735 | 15,303 | 7.08 |
가흥2동 | 4,421 | 9,674 | 17.12 |
인구[편집]
- 영주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7]
연도 | 총인구 | |
---|---|---|
1975년 | 173,977명 | ![]() |
1980년 | 163,397명 | ![]() ![]() ![]() ![]() |
1985년 | 157,292명 | ![]() ![]() ![]() |
1990년 | 140,889명 | ![]() ![]() |
1995년 | 131,097명 | ![]() ![]() ![]() ![]() |
2000년 | 126,507명 | ![]() ![]() ![]() ![]() ![]() |
2005년 | 114,081명 | ![]() ![]() ![]() |
2010년 | 113,926명 | ![]() ![]() ![]() |
2015년 | 109,735명 | ![]() ![]() ![]() |
2020년 | 103,119명 | ![]() ![]() |
정치 · 행정[편집]
국회의원[편집]
- 2016년 기준으로 국회의원은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최교일 의원이다.
역대 시장[편집]
영주시청[편집]
영주시 상징물[편집]
상징물[편집]
캐릭터[편집]
영주시의 캐릭터는 "영주도령"이다. 선비의 고장인 영주를 상징하는 선비의 모습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게 도령의 모습으로 만들었다. 앞으로 영주시를 새롭게 만들어 갈 영주의 도령은 활력이 넘치고 희망이 가득한 영주시를 상징하고 과거의 정신을 바탕으로 밝은 미래가 있는 영주시로 거듭나겠다는 영주시의 의지를 담고 있다.
심볼[편집]
은행잎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활기차게 뻗어나가는 높은 기상과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의 영문 첫머리의 Y자를 의미한다. 적색의 원은 특산물인 사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마름모형을 이룬 원은 특산물인 인삼꽃(딸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 기의 바탕(백색) : 인심이 순후하고 품위가 높은 시민의 기상
- 은행잎(초록색) : 시목을 뜻하며,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의 영문 머리글자인 "Y"
- 원(금적색) : 영주시의 특산물인 "사과"
- 원(4개): 영주시의 특산물인 "인삼꽃(딸기)"을 상징
출신인물[편집]
개그맨 이상훈
관광[편집]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세운 화엄종 종찰 부석사가 부석면 북지리에 있다. 국보5점, 보물4점, 도유형문화재2점 등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중 하나로 몇 안 되는 고려시대 건축물인 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하다. 관광문화해설사가 관광지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광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부석사 무량수전앞 석등(국보 제17호)
-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
-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
-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
- 부석사 조사당벽화(국보 제46호)
-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제249호)
-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제255호)
-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보물 제1562호)
- 소수서원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된 소수서원이 있다. 조선 중종 37년(1542년)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안향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 순흥면 내죽지에 있다. 그리고 소백산국립공원이 소재하고 있다. 관광문화해설사가 관광지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광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영풍 단촌리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273호)
- 영풍 태장리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274호)
- 영풍 병산리 갈참나무(천연기념물 제285호)
교통[편집]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중앙선, 영동선, 경북선의 분기점이며 서울(청량리역),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 김천으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며, 코레일 경북본부가 위치한 철도의 요충지이다. 2022년 경에 중앙선 복선전철화 및 고속화가 완료되면 서울(청량리역)로 1시간 내외, 대구(동대구역)로 45분 내외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서산↔️울진 동서횡단철도(예정)
국도 · 고속도로[편집]
중앙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영주를 관통하며 영주 나들목과 풍기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 남북으로 국도 제5호선, 제28호선이 지나며, 동서로 국도 제36호선이 있다.
- 고속도로
- 국도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19] : (영주시 부석면) - (영월군 김삿갓면)
버스[편집]
- 시내버스 : 영주시의 시내버스
- 시외버스 : 영주시외버스터미널, 풍기IC터미널, 꽃동산시외버스정류장
항공[편집]
영주시에는 공항이 입지하고 있지 않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나 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20] 국내선 및 일부 일본 · 중국 ·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김해국제공항, 또는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교육 기관[편집]
|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동구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보저우 시
중화민국 난터우현 난터우 시
중화민국 난터우현 차오툰 진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샤오관 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각주[편집]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년 10월 23일)
- ↑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시행 1980. 4. 1.] [ 법률 제3188호], 1979. 12. 28., 제정]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영주읍 일원 영주시 안정면 아지리 이산면 조암리 문수면 적서리 - ↑ 시조례 제267호 영주시행정운영동·리의설치에관한조례 (1998년 10월 9일)
- ↑ 시조례 제672호 리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8년 10월 16일)
- ↑ “평년값자료(1981-2010) 영주(272)”.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가 나 다 라 마 바 “豊基圖幅 地質報告書 (풍기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년.
- ↑ 가 나 “丹陽 地質圖幅說明書 (단양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년.
- ↑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와 그 의미”. 한국암석학회. 2014년 9월.
- ↑ “단양 지역에 발달하는 죽령 단층의 특성 연구”. 대한지질학회. 2000년 10월.
- ↑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영남육괴 내 화강암의 정치심도와 그 의미”. 암석학회지. 2001년.
- ↑ “경상북도 북후면-평은면 지역에 발달된 예천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한국암석학회. 2014년 6월.
- ↑ “경상북도 북후면-평은면 지역에 발달하는 예천전단대에서 구조적 특성과 초압쇄암대의 분포”. 한국암석학회. 2014년 5월.
소백산육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북후면-평은면 지역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예천전단대가 발달한다. 지질도상에서 인지될 수 있는 주요 단층으로는 북북동-남남서향 단층과 북동-남서향 단층 등이 있으며, 이들 주요 단층은 본 역(域)의 주요 구성암류와 예천전단대를 절단한다.
- ↑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참조
-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 ↑ 영주시청 - 열린시정
- ↑ 영주시 마구령 터널공사 3도 연결도 개설
- ↑ 예천공항 개항 15년 만에 폐쇄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영주시청 (공식)
![]() |
충청북도 단양군 | 강원도 영월군 | ![]() | |
![]() |
경상북도 봉화군 | |||
![]() ![]() | ||||
![]() | ||||
경상북도 예천군 | 경상북도 안동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