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경산시청사 | |||
| |||
![]() 경산시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411.75 km2 | ||
세대 | 119,680 가구 (2020[1]) | ||
총인구 | 263,728 명 (2020[2]) | ||
인구밀도 | 641 명/km2 | ||
읍 | 3개 | ||
면 | 5개 | ||
행정동 | 7개 | ||
법정동 | 28개 | ||
시장 | 최영조(국민의힘) | ||
국회의원 | 윤두현(국민의힘) | ||
시청 | |||
소재지 | 경산시 남매로 159(중방동) | ||
홈페이지 | http://www.gbgs.go.kr/gs_k/ |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
시화 | 목련 | ||
시조 | 까치 |
경산시(慶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시이다. 북동쪽은 영천시 금호읍, 남동쪽은 청도군 금천면, 서쪽은 대구광역시 동구 및 수성구에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중방동이고, 행정구역은 3읍 6면 7동이다.
대구광역시에 인접하여 대구의 위성도시로 성장했으며, 경상북도 내에서는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다.
1990년 이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섬유공업 지역으로 성장하였고, 2012년 9월 19일에는 중산동 · 정평동과 임당동, 대동 일대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연장되었다. 영남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일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등 교육 기관이 많다. 갑제동에는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가 소재하고 있어서 대한민국의 화폐인 원의 지폐와 동전이 발행된다. 진량읍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홈구장인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와 매일유업 공장이 각각 위치하고 있다. 와촌면에는 갓바위라고 불리는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대구광역시와 밀접한 도시라는 특성으로 인해, 지역번호는 경상북도의 다른 행정 구역들과 달리 대구광역시 통화권으로 편입됐으므로 054가 아닌 053을 공용하고 있다.
역사[편집]

- 6행정동 - 중앙동, 동부동, 서부동, 남부동, 북부동, 중방동
- 1995년 1월 1일 경산시 일원과 경산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 복합 형태의 경산시가 설치되었다.[5] (1읍 7면 6행정동)
- 1997년 11월 1일 진량면을 진량읍으로 승격하였다.[6] (2읍 6면 6행정동)
- 2004년 10월 18일 서부동을 서부1동, 서부2동으로 분동하였다.[7] (2읍 6면 7행정동)
- 2007년 1월 8일 용성면 쟁광리를 일광리로 개칭하였다.[8]
- 2007년 6월 4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구간 (사월 ~ 영남대) 착공
-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구간 (사월 ~ 영남대) 개통
- 2020년 1월 1일 압량면이 압량읍으로 승격하였다.
지리[편집]
지형[편집]
경산시의 전체 면적은 411.70km2 로써 경상북도의 중앙남부에 자리하여 금박산, 용산이 동쪽으로 우뚝 솟아 영천시와 청도군을 경계로 하고 있으며, 선의산, 구룡산은 동남으로, 환성산맥은 북으로 뻗어 영천시, 대구광역시에 접하고 있다.
하천은 동남으로 흐르는 오목천과 하도지를 기점으로 하는 남천이 북으로 흘러,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하고 있으며 하천 연안평야 지역은 비옥한 토지와 관개시설로 농업생산기반 역할을 하고 있다.[9]
기후[편집]
경산시는 남부 내륙 형에 속하며, 대구 특수형에 가깝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끼여있는 남부내륙형 기후지역은 분지적 특색을 나타내어 연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며, 하계 기온이 가장 높고 기온의 연교차가 큰 지역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금호강유역 분지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산시는 한반도 연강수량에 비해 소다우지역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지형적인 영향에서 비롯된다.
즉, 한반도 강수 대부분은 저기압성 강우인데 이 저기압은 중국 대륙 및 동지나해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해 오며, 황해와 남해에서 습한 바람이 이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유입하는 과정에서 소백산맥 서사면과 남해안 지역은 풍상 측이 되어 많은 비를 오게 하지만,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벌써 많은 습기를 손실하였고 또한, 풍하 측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어진다.
또한, 동계 북동기류 형의 기압 배치가 되었을 때도 동해를 거쳐 불어오는 습윤한 북동풍이 강릉, 속초 부근에서 상륙하게 되고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태백산맥을 넘어 건조한 바람이 되기 때문에 역시 강우량이 적다.
행정 구역[편집]
경산시의 행정 구역은 3읍 5면 7동이다. 하위 행정구역은 28법정동 225리이다. 경산시의 면적은 411.70km2이며, 인구는 2015년 5월 31일 기준으로 100,037세대, 255,406명이다.[10]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행정지도 |
---|---|---|---|---|---|
하양읍 | 河陽邑 | 10,414 | 26,472 | 48.6 | ![]() |
진량읍 | 珍良邑 | 14,710 | 38,794 | 46.2 | |
압량읍 | 押梁邑 | 5,157 | 15,657 | 18.35 | |
와촌면 | 瓦村面 | 2,671 | 6,064 | 47.9 | |
자인면 | 慈仁面 | 2,810 | 6,224 | 22.05 | |
용성면 | 龍城面 | 1,754 | 3,707 | 79.4 | |
남산면 | 南山面 | 1,759 | 3,904 | 38.17 | |
남천면 | 南川面 | 1,468 | 3,486 | 70.53 | |
중앙동 | 中央洞 | 3,134 | 7,244 | 0.83 | |
동부동 | 東部洞 | 11,186 | 37,829 | 18.46 | |
서부1동 | 西部洞 | 13,619 | 40,831 | 5.64 | |
서부2동 | 7,142 | 22,938 | 1.49 | ||
남부동 | 南部洞 | 6,396 | 17,679 | 3.74 | |
북부동 | 北部洞 | 6,408 | 13,205 | 9.1 | |
중방동 | 中方洞 | 2,901 | 11,538 | 1.24 |
인구[편집]
- 경산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1]
연도 | 총인구 | |
---|---|---|
1975년 | 175,930명 | ![]() ![]() ![]() ![]() |
1980년 | 190,762명 | ![]() ![]() ![]() ![]() |
1985년 | 139,652명 | ![]() ![]() ![]() |
1990년 | 145,074명 | ![]() ![]() ![]() |
1995년 | 173,746명 | ![]() ![]() ![]() |
2000년 | 228,206명 | ![]() ![]() ![]() |
2005년 | 242,297명 | ![]() ![]() ![]() ![]() |
2010년 | 266,036명 | ![]() |
2013년 | 248,805명 | ![]() ![]() ![]() ![]() |
2017년 | 257,590명 | ![]() ![]() ![]() ![]() ![]() |
교통[편집]

시외교통은 대부분 철도가 전담한다. 하양읍에 대구선이, 시내에 경부선이 지나간다. 경산역은 대부분의 무궁화호와 일부 KTX, 새마을호가 정차하며, 경산시 시외교통의 중추를 담당한다. 대구선에서는 하양역에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한다.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정평동을 직통하여 영남대학교까지 연장되었다. 2022년 12월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 하양역까지 연장 개통될 예정이다.
관광[편집]
- 문화유적
스포츠[편집]
-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 삼성 라이온즈 2군 홈구장
교육 기관[편집]

- 각종학교
출신 인물[편집]

정치 · 행정[편집]
경산시장[편집]

- 현재 경산시장은 최영조이다.
대수 | 시장 | 임기 | 비고 |
---|---|---|---|
초대 | 김병욱 | 1989년 1월 1일 ~ 1990년 7월 5일 | 관선 |
2대 | 김수생 | 1990년 7월 5일 ~ 1992년 6월 30일 | |
3대 | 조용수 | 1992년 7월 3일 ~ 1992년 11월 18일 | |
4대 | 신의웅 | 1992년 11월 19일 ~ 1993년 12월 27일 | |
5대 | 최재영 | 1993년 4월 28일 ~ 1994년 12월 31일 | |
6대 | 1995년 1월 1일 ~ 1995년 3월 29일 | ||
7대 | 안윤식 | 1995년 4월 11일 ~ 1995년 6월 30일 | |
8대 | 최희욱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선 1기 |
9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 2기 | |
10대 | 윤영조 | 2002년 7월 1일 ~ 2004년 11월 25일 | 민선 3기 |
권한대행 | 백준호 | 2004년 11월 26일 ~ 2005년 5월 1일 | |
11대 | 최병국 | 2005년 5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12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 4기 | |
13대 | 2010년 7월 1일 ~ 2012년 11월 15일 | 민선 5기 | |
권한대행 | 이태암 | 2011년 8월 18일 ~ 2011년 12월 31일 | |
권한대행 | 정병윤 | 2012년 1월 1일 ~ 2012년 12월 19일 | |
14대 | 최영조 | 2012년 12월 20일 ~ 2014년 6월 30일 | |
15대 | 최영조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 6기 |
16대 | 최영조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민선 7기 |
경산시의 국회의원[편집]
- 현재 경산시의 국회의원은 공석이다.
친선 도시[편집]
자매 도시[편집]
우호 도시[편집]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항저우 시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성저우 시 (사오싱 시의 현급 시)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자란툰 시 (후룬베이얼 시의 현급 시)
중화인민공화국 닝샤후이족 자치구 인촨 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버나디노 시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 ↑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 경산시 조례 제226호 진량읍설치에관한조례 (1997년 10월 22일)
- ↑ 경산시 조례 제481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4년 10월 6일)
- ↑ 경산시 조례 제592호 동·리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7년 1월 8일)
- ↑ 2010년 경산시 통계연보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2일 확인
- ↑ 경산시의 행정구역 Archived 2008년 3월 13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3일 확인
-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경산시청 (공식)
좌표: 북위 35° 49′ 동경 128° 44′ / 북위 35.817° 동경 128.733°
![]() |
대구광역시 동구 | 경상북도 영천시 | ![]() | |
대구광역시 수성구 | ![]() |
|||
![]() ![]() | ||||
![]() | ||||
경상북도 청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