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영천관리역 |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길 1 | |
좌표 | 북위 35° 54′ 32.8″ 동경 128° 49′ 6.06″ / 북위 35.909111° 동경 128.8183500° | |
개업일 | 1917년 12월 24일 | |
종별 | 보통역 | |
등급 | 3등급 | |
승강장 구조 | 2면 4선(쌍섬식)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노선 | ||
대구선 | ||
가천 기점 14.1 km | ||
|
하양역(Hayang station, 河陽驛)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에 있는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규모가 있는 역이지만, 역 바로 앞으로는 시내버스가 거의 정차하지 않아 시내버스를 타려면 역에서 길을 건넌 후 읍내 근처로 조금 걸어서 들어가야 한다. 대구선 복선전철 완공 이후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공사가 진행되어 2023년부터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연혁[편집]
- 1917년 12월 24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
- 1991년 9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1년 9월 : 구 역사 신축
- 2004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단
- 2008년 1월 1일 : 통근열차 운행 중단
- 2011년 4월 1일 : 매표소 위탁발매로 전환
- 2015년 4월 2일 : 새마을호 운행 중단
- 2017년 9월 8일 :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 2018년 7월 16일 :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 2019년 5월 17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 착공
- 2023년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 (예정)
역 구조[편집]
현재의 역사는 2001년 신축한 건물로 구 역사는 동촌역과 비슷하였다. 차후 대구선 복선 전철화와 1호선 연장 사업과 함께 통합 역사로 신축할 예정이다. 화물상옥은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승강장[편집]
현재 승강장은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건설될 1호선 승강장 역시 대화역과 비슷한 섬식 승강장과 함께 진입 전 건넘선이 계획되어있다.
↑영천(부전·포항행)/북영천(동해행) |
| 1 2 | | 3 4 | |
동대구↓ |
1 | 2 | 중앙선·대구선·동해선 | 무궁화호·경북나드리열차 | 태화강·부전·포항·영주·동해방면 |
---|---|---|---|---|
3 | 4 | 대구선 | 무궁화호·경북나드리열차 | 동대구 방면 |
사진[편집]
인접 정차역[편집]
현재 운행되는 열차는 모두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된다.
동해선 · 대구선 | ||
---|---|---|
동대구 동대구 방면 |
무궁화 · 경북나드리열차 동해선 |
영천 포항 · 부전방면 |
영동선 · 대구선 · 영천삼각선 | ||
동대구 동대구 방면 |
무궁화 영동선 |
북영천 동해 방면 |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하양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한국철도공사 하양역
- [연말 개통예정인 대구선 복선전철의 모든것 출처: 네이버 블로그
![]() |
이 글은 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