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관역
왜관
| |
---|---|
![]()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대구관리역 |
소재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종별 | 보통역 |
등급 | 2급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거리표 | |
경부선 | |
서울 기점 296.0 km | |
|
왜관역(Waegwan station, 倭館驛)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905년에 낙동강 동변 왜관의 설치와 더불어 건설되어 영업을 시작하였다. 모든 정규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주변에 낙동강과 다부동전적기념관이 있다. 2013년 8월 말에 대구역에서 일어난 3중 추돌사고로 모든 서울발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이 역에 임시종착한 적이 있었다.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그룹대표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업무 효율과 핵심 사업 실행, 현장중심의 경영체제 확립을 위한 조직 개편으로 2009년 9월 각 지사가 지역 본부로 축소되면서, 그룹대표역에서 보통역으로 격하되었다.
2015년 8월 1일부터 서울~진주, 서울~부산을 왕복 운행하는 ITX-새마을이 하루 4차례 정차한다.
연혁[편집]
- 1905년 1월 1일 : 영업 개시
- 1962년 1월 1일 : 미군기지창 전용선 개설
- 1972년 1월 1일: 5급역으로 승격
- 2010년 11월 1일 : 새마을호 무정차 통과
- 2013년 7월 1일 : 대합실 리모델링 공사 시작
- 2013년 9월 1일 : 대합실 리모델링 공사 완료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8월 1일 : ITX-새마을 하루 4회(상행, 하행 각 2회) 정차 개시
-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중지[1]
역 구조[편집]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승강장[편집]
↑ 약목 |
| 43 | | 21 | |
신동 ↓ |
4▪3 | 경부선(상행) | 서울▪영주 방면 |
---|---|---|
2▪1 | 경부선(하행) | 부산▪진주 방면 |
인접한 역[편집]
새마을호 | ||
---|---|---|
구미 서울 방면 |
ITX-새마을 경부선 |
대구 부산 방면 |
구미 서울 방면 |
ITX-새마을 동해선 |
대구 신해운대 방면 |
구미 서울 방면 |
ITX-새마을 경전선 |
대구 진주 방면 |
무궁화호 | ||
약목 서울▪영주 방면 |
무궁화호 경부선▪충북선 |
신동 부산▪동대구 방면 |
사진[편집]
각주[편집]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2017년 12월 18일.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