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디지털단지역
![]() 역사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구로관리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 |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 |
역 번호 | P142 | |
종별 | 배치간이역 | |
등급 | 3급 | |
승강장 구조 | 2면 4선(상대식) 중앙에 일반열차 통과선 있음 | |
노선 | ||
경부선 | ||
서울 기점 14.1km[1]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구로삼각선 | ||
| ||
|
(마리오아울렛) |
||
---|---|---|
![]() 역명판(부역명 표기전) | ||
승강장 (부역명 표기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 | |
개업일 | 2000년 2월 29일 | |
역 번호 | 746 | |
역 코드 | 2748 | |
승강장 구조 | 2면 2선(상대식) | |
노선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기점 41.0 km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
좌표: 북위 37° 28′ 50.52″ 동경 126° 52′ 58.62″ / 북위 37.4807000° 동경 126.8829500°
가산디지털단지역(Gasan Digital Complex station, 加山디지털團地驛)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 당시에는 역 일원이 영등포구 가리봉동(1980년 구로구에 편입)에 속하여 있었기 때문에 처음 역명은 가리봉역(加里峰驛)이었으며, 1995년 행정 구역 변경으로 일대가 금천구 가산동으로 분할된 이후에도 이 역명은 유지되었으나, 역 일원의 환경이 재래식 산업단지에서 디지털 정보통신 산업 중심지로 변화함에 따라 2005년 7월 1일에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이 바뀌었다[2].
7호선 승강장의 경우, 암반을 뚫어 건설하였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벽과 승강장이 인공 암석으로 되어있었으나, 지하 동굴형 인테리어가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에 화재에 취약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3] 여기에 2005년 1월 3일에는 다음 역인 철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게 되어 2009년 9월 승강장 벽면 교체 작업에 착수하여, 4개월 후인 2010년 1월 공사를 완료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벽면이 교체된 5호선 영등포시장역이나 신금호역, 마천역과는 달리,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의 역명판은 새로운 디자인으로 바뀌지 않았다. 7호선의 경우, 가산디지털단지역을 경유한 후 잠시 경기도 광명시로 들어간다.
역사[편집]
- 1974년 6월 30일 : 역사 준공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가리봉역이라는 역명으로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2000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 ~ 온수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 2005년 7월 1일 : 가리봉역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 변경
-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0년 : 1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스크린도어 설치
- 2017년 8월 1일: 7호선 부역명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 아울렛)역명 표기
역 구조[편집]
-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출구는 한국철도공사 소속 2개,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5개로 총 7개가 있다. 7호선의 경우 곡선 승강장으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새가 넓기 때문에, 승·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1호선 승강장[편집]
↑구로 |
1 | | | | 2 |
독산↓ |
1 | 경부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구로 · 영등포 · 용산 · 광운대 방면 |
---|---|---|---|
일반열차 통과선 | |||
2 | 광명 · 병점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
7호선 승강장[편집]
남구로↑ |
하 | | 상 |
↓철산 |
상행 | ● 서울 지하철 7호선 | 대림 · 이수 · 고속터미널 · 강남구청 · 상봉 · 도봉산 · 장암 방면 |
---|---|---|
하행 | 온수 · 부천종합운동장 · 부천시청 · 부평구청 방면 |
역 주변[편집]
- 가리봉시장
- 가산동행정복지센터
- 가산종합복지관
- 가산파출소
- 구로공단2단지
- 구로공단3단지
- 구로공단종합운동장
- 남부순환로
- 대한산업보선협회
- 서부간선도로
- 수출의 다리
- 서울영일초등학교
- 우림라이온스밸리
-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 한국생활용품시험연구소
- 금천패션타운
- 롯데팩토리아울렛
- W-MALL
- 마리오아울렛
- 현대 아울렛가산점
- 서울시립구로청소년센터
승차량 변동[편집]
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경부선 | 1296 | 9072 | 8036 | 10125 | 10098 | 9975 | 13041 | 13034 | [4] |
7호선 | 2754 | 2175 | 2002 | 3626 | 3591 | 10032 | 9975 | 13365 | [5] |
노선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경부선 | 13608 | 9072 | 9081 | 15309 | 14175 | 14091 | 14014 | 13986 | [4] |
7호선 | 13248 | 13230 | 13176 | 14168 | 15075 | 12096 | 12012 | 11718 | [5]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경부선 | ||
---|---|---|
141 구로 의정부 방면 영등포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광명 셔틀 |
P143 독산 서동탄 · 신창 방면 광명 방면 |
141 구로 청량리 (지하)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A |
P144 금천구청 신창 방면 |
서울 지하철 7호선 | ||
745 남구로 장암 방면 |
● 서울 지하철 7호선 | 747 철산 부평구청 방면 |
각주[편집]
- ↑ 소요산 기점 64.7km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102914
- ↑ “이 지하철역, 왜 동굴처럼 꾸며 놓았을까”. 동아일보. 2009년 11월 2일.
- ↑ 가 나 광역철도사업 수송통계 자료실, 코레일
- ↑ 가 나 역별 수송수입현황 Archived 2008년 6월 24일 - 웨이백 머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