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동암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암
2번 출구, 부평구 십정동의 동암광장로와 열우물로 측면
2번 출구, 부평구 십정동동암광장로열우물로 측면
역명판 (연천 방향)
역명판 (연천 방향)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인천관리역
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암광장로 10
좌표 북위 37° 28′ 15.2″ 동경 126° 42′ 10.5″ / 북위 37.470889° 동경 126.702917°  / 37.470889; 126.702917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번 154
종별 배치간이역
등급 3급
승강장 수 2면 4선(쌍섬식)
거리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로 기점 18.1km
← 153 백운
(1.5 km)
155 간석
(1.2 km)

동암역(銅岩驛, Dongam station)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전철역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간석오거리역과 꽤 가까운 곳에 있다.

동암역간석역 사이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시청역과 연결되는 선로가 있다. 인근에 인천교통공사가 있다.

개요

[편집]

동암역급행열차가 운영된다는 점에서 동암역을 기점으로 시내버스인천광역시 버스들이 운행 된다.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의 직행 덕분에 남동구부평구에 사는 시민들이 인서울 직장인들이 가장 애용하는 역이라 볼 수 있다. 급행열차를 시간 맞추어 탑승하면, 인천터미널역 또는 예술회관역에서 탑승하는 것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도착 할 수 있다.

동암역의 경우 복개 및 지하화 되지 않은터라 백범로를 통해 동부인 간석동과 서부인 주안동, 십정동과 만난다. 남동구부평구의 경계면서 만남의 역할이기도 하다.

출입문이 2개이며, 서로 양측으로 뚫려 있다보니 서부와 동부간의 시민들의 도보 경로이기도 하다.

역명 유래

[편집]

옛날 이 곳에 주안산, 만월산에서 구리를 캐는 광산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졌다.[1]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승강장

[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2개다.

배선도

[편집]

동암역과 경인선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이 역과 간석역 사이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시청역과 연결되는 선로가 있다.

백운
| 12 | | 34 |
간석
1 수도권 전철 1호선 부천 · 구로 · 광운대 · 연천 방면
2 부평 · 구로 · 영등포 · 용산 방면 (급행)
3 주안 · 제물포 · 동인천 방면 (급행)
4 제물포 · 동인천 · 인천 방면

역 주변

[편집]

이용객 변동

[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호선 승차 32,106 32,314 38,005 40,172 29,865 28,408 27,415 28,047 28,739 28,125 [2]
하차 28,159 30,503 35,738 38,953 28,532 27,705 28,177 27,089 27,662 26,956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호선 승차 29,119 29,726 28,875 27,687 26,971 26,077 23,865 20,206 18,604 18,169 13,160 12,838 [2]
하차 28,309 29,101 28,427 27,280 26,602 25,629 23,557 20,170 18,603 18,127 13,232 12,995

인접한 역

[편집]
경인선
153 백운
연천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 경원선 급행
155 간석
인천 방면
152 부평
용산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급행
156 주안
동인천 방면

사진

[편집]

시설

[편집]

각주

[편집]
  1. “홈>인천소개>인천역사>지명유래>십정동 동암역”. 《인천광역시청》. 2013년 12월 1일. 2025년 2월 21일에 확인함. 
  2. “수송현황 - 한국철도공사”. 2022년 3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