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정동
십정1동 十井1洞 | |
---|---|
Sipjeong 1(il)-dong | |
십정1동 주민센터 | |
![]() | |
면적 | 1.79 km2 |
인구 | 13,903 명(2022년 2월) |
인구 밀도 | 7,770 명/km2 |
세대 | 5,851가구 |
법정동 | 십정동 |
통·리·반 | 37통 231반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부평구 열우물로 103 |
웹사이트 | 십정1동 주민센터 |
십정2동 十井2洞 | |
---|---|
Sipjeong 2(i)-dong | |
면적 | 1.09 km2 |
인구 | 22,834 명(2022년 2월) |
인구 밀도 | 20,900 명/km2 |
세대 | 11,566가구 |
법정동 | 십정동 |
통·리·반 | 36통 239반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암산로33번길 6-7 |
웹사이트 | 십정2동 주민센터 |

십정동(十井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법정동으로서의 십정동은 행정동 십정1동과 십정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래[편집]
십정동은 구한말에는 인천부 주안면 십정리 지역으로 우물 10개가 있으므로 열우물 또는 십정(十井), 십정리라 하였다. 또다른 일설에는 현 상정초등학교가 있는 위쪽에 큰 대동우물이 있어 물량이 많고 아무리 추워도 물이 따뜻한 열(熱)이 많이 나는 우물이라 하였다는 말도 있다. 백운역에서 동암역 사이를 열우물고개라 하고 이 고개 너머 산중턱에 있는 마을을 열우물이라 한다. 열우물은 다른 마을에서는 대동우물 하나 파기에도 온 마을 사람들이 서둘러 몇 날 몇 달이 걸렸는데 이 마을에서는 혼자서 몇 시간이면 우물을 팔 수 있어서 몇 집 안 되는 마을 사람들이 너도 나도 우물을 파서 한 마을에 우물이 열 개도 넘는다 하여 열우물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십정이나 십정리는 열우물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일설에는 십정은 십정(十丁)의 오기로 십정리(十丁里)는 이곳에서 산맥이 십(十)자로 교차되어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즉 소래산 산맥이 서쪽으로 흘러 주안산에 이르러 크게 꺽이어 계양산 남쪽 줄기인 원적산 줄기와 교차되어 대정(大丁)도 생기고 십정(十丁)도 생겼다는 것이다.[1]
연혁[편집]
- 1883년 인천부 주안면 상십정1동
- 1914년 부천군 다주면 십정리
- 1936년 부천군 문학면 십정리
- 1940년 인천부 대도정(大島町) (인천부 재편입)
- 1946년 인천부 십정동
- 1949년 인천시 십정동
- 1975년 4월 5일 동청사 신축 (1층 : 54.6평)
- 1981년 7월 1일 인천직할시 승격[2]
- 1985년 1월 5일 십정 1, 2동 분동[3]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로 명칭변경[4]
- 1995년 3월 1일 부평구로 명칭변경[5]
교육[편집]
문화[편집]
- 십정시장
아파트[편집]
- 대한주택공사
- 십정뜨란채 - 2005년 7월 입주 / 효동종합건설
- 더샵 부평센트럴시티 - 2022년 5월 입주 / 포스코건설
교통[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인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