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길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역명판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영등포관리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327 | |
좌표 | 북위 37° 31′ 01″ 동경 126° 55′ 03″ / 북위 37.51694° 동경 126.91750° | |
개업일 | 1997년 4월 30일 | |
역 번호 | 138 | |
종별 | 배치간이역 | |
등급 | 3급 | |
승강장 구조 | 3면 4선(쌍상대식) | |
노선 | ||
경부선 | ||
서울 기점 8.1km[1]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역명판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114가길 지하9 | |
개업일 | 1996년 8월 12일 | |
역 번호 | 525 | |
역 코드 | 2526 | |
승강장 구조 | 2면 2선(상대식) | |
노선 | ||
서울 지하철 5호선 | ||
방화 기점 15.8 km | ||
● 수도권 전철 5호선 | ||
|
신길역(Singil station, 新吉驛)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과 영등포동1가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5호선의 환승역이다.
연혁[편집]
- 1996년 8월 12일: 서울 지하철 5호선 까치산 ~ 여의도 간 7.8km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7년 4월 30일: 경부선 신길역이 운전간이역으로 영업 개시[2](역사는 5호선 이용), 환승 통로 개통
- 1998년 1월 7일: 현 역사 준공, 배치간이역으로 변경
- 2002년 3월 13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2003년 3월: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급행 승강장 제외) 시범 설치
- 2003년 9월 15일: 운전간이역으로 승격
- 2004년 12월 29일: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급행 승강장 제외) 정식 설치
- 2008년: 5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 2018년 1월 23일: 1호선 급행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역 구조[편집]
1호선은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이고 5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형태이며, 두 노선의 승강장은 곡선이다.또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새가 넓기 때문에, 승·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한국철도공사 소속 2개, 서울교통공사 소속 1개로 총 3개가 있다.
- 1호선 승강장
↑대방 |
4 | | 32 | | 1 | | |
영등포↓ |
1 | ● 수도권 전철 1호선 | 부평 · 주안 · 동인천 방면 (급행) |
---|---|---|
2 | 용산 방면 | |
3 | 구로·인천·병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일반, 급행) | |
4 | 광운대·의정부·양주·소요산 방면 |
- 5호선 승강장
영등포시장↑ |
하 | | 상 |
↓여의도 |
상행 | ● 수도권 전철 5호선 | 목동 · 까치산 · 김포공항 · 방화 방면 |
---|---|---|
하행 | 여의도 · 공덕 · 충정로 · 광화문 · 종로3가 · 하남풍산 · 마천 방면 |
환승[편집]
수도권 전철 5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수도권 전철 1호선상에 새로운 역을 설치하였으며, 신길역 환승통로가 완공된 다음에 완공되었다.(환승 거리는 약 272m[3]) 1호선 영등포역 방향 끝부분에 있는 지하로 연결된 내림 계단과 5호선 여의도역 방향 끝부분에 있는 오름 계단을 이용한다. 5호선 개통 이후에도 공사가 지연[4]되어 환승 통로는 1997년 4월 30일에 개통되었다.[5]
역 주변[편집]
- 근로복지공단
- 금융감독원
- 노들로
- 대윤병원
- 사학연금회관
- 여의도공원
- 여의도샛강다리
- 영등포공원
- 영등포동행정복지센터
-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여자고등학교
- 영등포장애인복지관
- 영원중학교
- 장훈고등학교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회관)
- 한국제과기술고등학교
- KT여의도지사
- 한국방송공사 본관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7,570 | 8,755 | 9,209 | 10,687 | 7,592 | 8,316 | 8,728 | 9,022 | 9,241 | 9,247 | [6] |
하차 | 2,978 | 5,884 | 8,021 | 8,073 | 6,358 | 6,781 | 7,038 | 7,265 | 7,352 | 7,305 | ||
5호선 | 승차 | 1,723 | 1,695 | 1,707 | 1,790 | 1,763 | 1,823 | 1,859 | 2,032 | 2,104 | 2,087 | [7] |
하차 | 2,261 | 2,150 | 2,098 | 2,116 | 2,068 | 2,162 | 2,255 | 2,477 | 2,596 | 2,613 | ||
승하차 | 3,983 | 3,845 | 3,805 | 3,906 | 3,830 | 3,985 | 4,114 | 4,508 | 4,700 | 4,700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호선 | 승차 | 9,007 | 9,240 | 8,929 | 8,799 | 8,770 | 8,386 | 8,384 | 8,152 | 7,809 | [6] | |
하차 | 7,070 | 7,312 | 7,218 | 7,235 | 7,324 | 7,195 | 7,227 | 7,095 | 6,900 | |||
5호선 | 승차 | 2,066 | 2,190 | 2,332 | 2,646 | 2,940 | 3,059 | 3,146 | 3,132 | 3,313 | [7] | |
하차 | 2,584 | 2,750 | 2,854 | 3,129 | 3,386 | 3,502 | 3,592 | 3,620 | 3,826 | |||
승하차 | 4,651 | 4,940 | 5,186 | 5,775 | 6,326 | 6,561 | 6,738 | 6,752 | 7,139 |
사진[편집]
5호선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인접한 역[편집]
경부선 | ||
---|---|---|
137 대방 소요산 방면 의정부 방면 용산 방면 청량리 (지하)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 경원선 급행 경부선 완행 경인선 급행 경부선 급행 A |
139 영등포 인천 방면 서동탄 · 신창 방면 동인천 방면 신창 방면 |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 ||
524 영등포시장 방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5호선 | 526 여의도 하남풍산·마천 방면 |
각주[편집]
- ↑ 소요산 기점 58.7km
- ↑ 철도청고시 제1997-21호, 1997년 4월 24일.
- ↑ 종로3가역 환승거리 315m...환승·연계 기능 상실 - 연합뉴스
- ↑ 지하철 1·5호선 신길역 환승통로 공사 지연 - 연합뉴스
- ↑ 5호선 신길역 환승통로 30일 개통 - 연합뉴스
-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신길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