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원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역사(바깥쪽)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조치원관리역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으뜸길 215 |
좌표 |
북위 36° 36′ 15.61″ 동경 127° 17′ 43.54″ / 북위 36.6043361° 동경 127.2954278°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종별 | 관리역 |
등급 | 2급 |
승강장 구조 | 3면 5선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노선 | |
경부본선 | |
서울 기점 129.3 km | |
| |
충북선 | |
조치원 기점 0.0 km | |
| |
|
조치원역(鳥致院驛)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원리에 있는 경부선과 충북선의 철도역이다. 충북선이 분기하는 기점이기도 하다.
일부 ITX-새마을 열차와 모든 정규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다만 한국고속철도 이전에도 새마을호가 극히 일부 정차하였으나 무궁화호 열차가 무정차 통과한 경우도 있었다. 역사 매표소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역사[편집]
- 1905년 1월 1일 : 영업 개시
- 1914년 8월 1일 : 구 역사 신축준공
- 1999년 10월 1일 : 구 역사 철거 및 현재 역사 신축 (건물 외형은 "새 조(鳥)"자를 형상화)
- 2005년 7월 1일 : 그룹대표역으로 지정됨.
- 2006년 11월 1일 : 열차전면개편에따라 제천역~조치원역 충북선 노선을 대전역까지 확대운행
- 2008년 11월 21일 : 역사 증축 (매표실을 2층으로 이전)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5월 17일 : ITX-새마을 정차개시
- 2016년 1월 1일 : 누리로 개통으로 운행 개시
- 2017년 5월 1일 : ITX-청춘 경부선 운행 개시
-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중지[1]
- 2018년 3월 23일 : ITX-청춘 경부선 운행 중지
역 구조[편집]
3면 5선의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으로, 경부본선 측에 2면 4선이, 충북선 측에 1면 1선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전의(경부선)/↑오송(충북선) |
| 54 | | | 32 | | 1 |
부강↓ |
1 | 충북선 | 무궁화호 · 누리로 | 오송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
---|---|---|---|
2·3 | 경부선 |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대전 · 동대구 · 부산 · 진주 · 신해운대 방면 |
호남선 | 목포 · 광주 · 순천 · 여수엑스포 방면 | ||
4·5 | 경부선 |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천안 · 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
역 주변[편집]
인접한 역[편집]
경부선·호남선 | ||
---|---|---|
천안 용산 방면 |
ITX-새마을 호남선 |
서대전 목포·광주 방면 |
천안 서울 방면 |
ITX-새마을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
대전 부산·진주·신해운대 방면 |
전의 서울 방면 용산 방면 |
무궁화호 경부선 호남선 · 전라선 |
부강 부산 방면 광주 · 여수엑스포 방면 |
천안 서울 방면 용산 방면 |
무궁화호 경부선 · 경전선 경전선 |
신탄진 진주 방면 순천 방면 |
전의 용산 방면 |
무궁화호 호남선 |
신탄진 목포 방면 |
천안 용산 방면 |
누리로 호남선 |
부강 광주 방면 |
충북선 | ||
오송 영주 방면 |
무궁화호 충북선 |
부강 동대구 방면 |
오송 제천 방면 |
누리로 충북선 |
신탄진 대전 방면 |
사진[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