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송정역
광주송정
| |
---|---|
![]() 역 전경(2015년 3월) | |
구 역사(2009년 10월)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광주송정관리역 |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01 |
좌표 | 북위 35° 8′ 16.24″ 동경 126° 47′ 24.84″ / 북위 35.1378444° 동경 126.7902333° |
개업일 | 1913년 10월 1일 |
종별 | 관리역 |
등급 | 1급 |
승강장수 | 5면 10선(쌍상대식)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정확히는 호남고속선과 호남선을 경유하는 거리이다. | |
거리표 | |
호남고속선 | |
오송 기점 182.4 km | |
| |
호남선 | |
대전조차장 기점 185.7 km | |
| |
경전선 | |
삼랑진 기점 277.7 km | |
| |
|
광주송정역(GwangjuSongjeong station, 光州松汀驛)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는 호남선과 호남고속선, 경전선의 철도역이자 경전선의 종점이며, 한국철도공사의 그룹대표역이다. 역 인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과도 연결된다.
본래 역명은 송정리역으로, 옛 행정구역 명칭을 본따서 사용했다. 하지만 타 지역 주민들과 외국인들이 광주광역시를 방문할 때 이 역이 광주광역시 소재 철도역임에도 불구하고 역명 때문에 큰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아, 2009년 4월 1일부터 "광주송정"으로 개칭하여 지금에 이른다. 이후 도시철도역도 광주송정역으로 통일했다.
용산 방면에서 올 때 광주선 광주역과는 서로 반대편에 있다. 호남고속선의 완공 후에는 배선과 평면교차 문제 등의 이유로 광주역에 더 이상 고속철도가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고속철도 환승 편의를 위해 광주 - 광주송정 간 광주선 셔틀 통근열차가 운행 중이다.
행신역, 서울역,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KTX, 수서역에서 출발하는 SRT 열차 외에는 호남선, 광주선 일반열차가 정차하고, 순천역 착발 경전선 열차는 광주역으로 연장 운행하는 1왕복을 제외하고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KTX는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무궁화호는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용산역 기준 요금이 광주역에 비해 저렴하지만 고속철도역 일원화 이전까지는 광주의 도심 지역에서 거리가 멀어 광주역에 비해 이용객이 적었으며, 현재도 광주의 구 도심과 가까운 북구 및 동구 지역에서는 광주송정역이 너무 멀리 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2008년 4월 11일에 평동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광주송정역을 통한 교통편이 많이 편리해졌으나, 북구 및 동구에서도 도시철도 사각지대에 있는 몇몇 지역에서는 여전히 광주송정역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현재의 역사는 호남고속선 개통을 앞두고 2015년 2월 17일에 확장을 마쳤다.
이 역 남쪽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평동역으로 들어가는 반입 선로가 있으나, 현재 차단 장치로 막혀 있다. 또한 이 역 부근에는 공군 제1전투비행단으로 분기하는 선로가 있다.
호남고속선의 완공 후에는 2015년 4월 2일부터 광주광역시의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일원화됐으며, 배선 등의 문제 때문에 광주선으로는 더 이상 고속열차가 다니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일부 시간대에 광주송정 착발 열차가 생겼다.
연혁[편집]
- 1913년 10월 1일 : 송정리역(松汀里驛)이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
- 1976년 1월 1일 : 민수용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2]
- 1988년 9월 18일 : 역사 신축 준공
- 2004년 3월 31일 : 역사 및 승강장 개축 공사
-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4월 1일 : 광주송정역으로 역명 변경[3][4]
- 2013년 7월 26일 : 선상역사 공사로 인해 임시역사로 이전
- 2015년 2월 13일 : 호남고속철도 역사 사용개시 고시[5]
- 2015년 2월 17일 : 선상역사 영업 개시
- 2015년 4월 2일 : 호남고속선 개통
- 2015년 5월 29일 : 화물 취급 중지[6]
- 2016년 12월 9일 : SRT 및 누리로 운행개시
- 2016년 12월 19일 : 광주송정역 ~ 광주역 간 무궁화호 셔틀열차 운행개시
- 2020년 1월 1일 : RDC 동력 객차 2량 CDC 동력제어차 1량으로 광주송정역 ~ 광주역 간 (통근) 셔틀열차로 운행 개시
- 2021년 1월 5일 : 남도해양열차의 시간표변경에 따라서 부산~ 보성간 운행노선을 광주송정역까지 연장
승강장[편집]
5면 10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정읍(호남고속선)/↑장성(호남선)/↑극락강(광주선)/↑서광주(경전선) |
| 12 11 | | 10 9 | | 87 | | 65 | | 43 | |
나주 ↓ |
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
3~4 | 경전선 · 광주선 | 무궁화호 | 순천 · 진주 · 마산 · 부전 · 극락강 · 광주 · 목포 방면 |
5~6 | 호남선 하행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나주 · 함평 · 목포 방면 |
7~8 | 호남선 상행 | 장성 · 익산 · 서대전 · 천안 · 수원 · 용산 방면 | |
9~10 | 호남고속선 하행 | KTX · SRT | 나주 · 목포 방면 |
11~12 | 호남고속선 상행 | 정읍 · 익산 · 용산 · 수서 · 서울 · 행신 방면 |
역 주변[편집]
인접한 역[편집]
KTX | ||
---|---|---|
정읍 행신 방면 |
KTX 호남선 |
나주 목포 방면 |
장성 서울 방면 |
KTX 호남선 서대전 · 김제 경유 |
나주 목포 방면 |
SRT | ||
정읍 수서 방면 |
SRT 호남선 |
나주 목포 방면 |
호남선 | ||
장성 용산 방면 |
ITX-새마을 호남선 |
나주 목포 방면 |
장성 용산 방면 |
무궁화호 호남선 |
나주 목포 방면 |
경전선·호남선 | ||
서광주 부전 방면 |
무궁화호 경전선 |
나주 목포 방면 |
경전선 | ||
서광주 부산 방면 |
남도해양열차 | 시·종착역 |
광주선·호남선 | ||
극락강 광주 방면 |
무궁화호 호남선 |
나주 목포 방면 |
광주선 | ||
극락강 광주 방면 |
통근열차 광주선 |
시·종착역 |
사진[편집]
광주송정역에 있는 K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