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리역

임성리
| |
---|---|
![]() 역명판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목포관리역 |
소재지 | 전라남도 목포시 임성로62번길 18 |
개업일 | 1913년 5월 15일 |
종별 | 보통역 |
승강장수 | 2면 4선 |
거리표 | |
호남선 | |
대전조차장 기점 245.2 km | |
| |
호남고속선 | |
오송 기점 254.1 km | |
|
임성리역(Imseong-ri station, 任城里驛)은 전라남도 목포시 옥암동에 있는 호남선의 철도역이다. 임성역으로 잘못 일컬어지기도 한다.
개요[편집]
역명은 개역 당시 위치했던 인근 마을인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임성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나, 1987년에 역 일대가 목포시로 편입되어 현 소재지는 전라남도 목포시 옥암동이다. 호남선 복선화와 함께 2001년 역사를 신축했다.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인근 무안군 삼향읍에 전라남도청이 있지만, 연계 교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로 이용하기에는 불편하다. 남악신도시 임성지구의 개발이 시작되었고, 완료되면 목포 남악신도시 도심권이 연결되어 이용객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현재 무궁화호 열차가 하행 (목포 방향) 1회, 상행 (일로 방향) 2회 정차하며 상행의 경우 광주, 부전행 무궁화호 열차가 1회 정차한다. 이 역과 보성역을 연결하는 경전선 직선화 신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2025년 호남고속선 2단계(고막원~무안국제공항~목포) 구간이 개통하면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의 분기역 역할을 할 예정이다.
역사[편집]
- 1913년 5월 15일 : 영업 개시[1]
- 1919년 5월 21일 : 배치간이역으로 승격
- 1924년 1월 1일 : 화물 취급 개시
- 1930년 2월 26일 : 소화물 취급 개시[2]
- 1939년 7월 23일 : 태풍으로 역사가 소괴되면서 구 역사 신축 착공
- 1939년 8월 23일 : 구 역사 신축 준공
- 1945년 6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3]
- 1950년 11월 10일 : 한국전쟁에 따른 역무원 배치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1951년 7월 31일 : 보통역으로 재승격
- 1977년 5월 16일 : 수소화물 취급 중지[4]
- 1980년 8월 1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5]
- 1981년 7월 27일 : 연탄선 착공
- 1981년 8월 27일 : 연탄선 준공
- 1997년 8월 18일 : 연탄선 지정 취소
- 2001년 12월 4일 : 복선전철 공사에 따른 이설과 함께 현재의 역사로 이전
- 2002년 12월 8일 : 복선전철 개통과 함께 자동폐쇄방식으로 변경
- 2006년 11월 15일 : 화물 취급 중지[6]
역 구조[편집]
승강장[편집]
승강장은 2면 4선 구조로 운영되며, 쌍섬식 구조로 운영된다.
↑ 일로 |
| 12 | | 34 | |
목포 ↓ |
1 | 호남선 | 무궁화호 | |
---|---|---|---|
2 | 부전 · 광주 방면 | ||
3 | 목포 방면 | ||
4 |
역 주변[편집]
- 국립목포병원
- 남악신도시
인접한 역[편집]
이 역을 운행하는 열차는 부전역과 광주역을 기점으로 운행하는 열차만 정차하고, 용산행 열차는 없다.
호남선 | ||
---|---|---|
일로 광주 · 부전 방면 |
무궁화호 호남선 · 경전선 |
목포 목포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