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

![]() 영암군 교차로의 목동상 야경 | ||
![]() | ||
![]() 영암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604.24 km2 | |
세대 | 35,259 가구 (2020[1]) | |
총인구 | 68,806 명 (2020[2]) | |
인구밀도 | 114 명/km2 | |
읍 | 2개 | |
면 | 9개 | |
군수 | 전동평(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서삼석(더불어민주당,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
군청 | ||
소재지 | 영암읍 군청로 1 (동무리 158) | |
홈페이지 | 영암군청 | |
상징 | ||
군목 | 느티나무 | |
군화 | 매화 | |
군조 | 산비둘기 |
영암군(靈岩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서부에 있는 군이다. 동쪽으로 강진군·장흥군, 서쪽으로 목포시·무안군, 남쪽으로는 해남군, 북쪽으로 나주시와 접한다. 군의 남서부에 위치한 삼호읍에는 대불산업단지가 조성되어 현대삼호중공업 본사가 있고,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가 개최되었다. 군청 소재지는 영암읍이고, 행정구역은 2읍 9면이다.
역사[편집]
삼한시대에 마한(馬韓)의 세력 아래에 있다가,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에 속하였으며, 백제의 대외무역항이 있었다. 왕인 박사가 왜로 출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백제 시대 : 월내군(月奈郡)
- 757년 (신라 경덕왕 16) : 영암군
- 995년 (고려 성종 14) : 낭주군(朗州郡)이라 개칭하였다.
- 1096년 (고려 현종 9) : 다시 영암군이 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나주부 영암군으로 개편하였다.[3]
- 1896년 8월 4일 : 전라남도 영암군으로 개편하였다.[4]
- 1914년 4월 1일 : 11면으로 개편하였다.[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군시면(郡始面), 군종면(郡宗面) 영암면 서시면(西始面), 서종면(西終面) 군서면 금마면(金磨面), 원정면(元正面) 금정면 북이시면(北二始面), 명산면(命山面), 종남면(終南面) 시종면 북이종면(北二終面), 비음면(非音面) 신북면
- 11면 - 영암면, 북일시면, 북일종면, 시종면, 군서면, 곤일시면, 곤일종면, 곤이시면, 곤이종면, 금정면, 신북면
- 1931년 4월 1일 : 북일시면을 덕진면으로, 북일종면을 도포면으로, 곤이시면을 학산면으로, 곤이종면을 서호면으로, 곤일시면을 미암면으로, 곤일종면을 삼호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6]
- 1973년 7월 1일 : 군서면 송평리를 영암면으로, 금정면 용산리를 신북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영암면이 영암읍으로 승격하였다.[7] (1읍 10면)
- 2002년 1월 20일 : 삼호면 서부출장소를 개소하여 삼포리, 용당리를 관할하였다.
- 2003년 5월 1일 : 삼호면이 삼호읍으로 승격하였다.[8] (2읍 9면)
지리[편집]
영산강 하구가 열리고, 삼포강·영암천(靈岩川)·도갑천(道岬川)·송계천(松溪川) 등 작은 하천들이 영산강으로 흘러들어 좁은 평야들을 형성하는데 평야에 많은 관개용 저수지가 축조되어 농경지가 발달하였다.
행정 구역[편집]
영암군의 행정 구역은 2읍 9면 121법정리 385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9] 영암군의 면적은 604.24 km²이며,[10] 인구는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7045 명, 2만7190 가구이다.[11]
읍면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영암읍 | 靈岩邑 | 59.7 | 8,831 | 3,872 |
삼호읍 | 三湖邑 | 88.5 | 21,982 | 9,413 |
덕진면 | 德津面 | 26.2 | 2,018 | 1,105 |
금정면 | 金井面 | 72.9 | 2,234 | 1,212 |
신북면 | 新北面 | 48.9 | 4,214 | 2,245 |
시종면 | 始終面 | 62.0 | 3,979 | 2,232 |
도포면 | 都浦面 | 34.9 | 2,453 | 1,354 |
군서면 | 郡西面 | 57.2 | 3,461 | 1,795 |
서호면 | 西湖面 | 44.0 | 2,138 | 1,130 |
학산면 | 鶴山面 | 61.9 | 3,199 | 1,574 |
미암면 | 美岩面 | 47.6 | 2,536 | 1,258 |
영암군 | 靈岩郡 | 604.24 | 57,045 | 27,190 |
인구[편집]
영암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12]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23,674명 | ![]() ![]() ![]() ![]() ![]() |
1966년 | 139,731명 | ![]() |
1970년 | 125,848명 | ![]() ![]() ![]() |
1975년 | 118,620명 | ![]() ![]() ![]() |
1980년 | 100,037명 | ![]() ![]() ![]() ![]() ![]() |
1985년 | 86,287명 | ![]() ![]() ![]() ![]() |
1990년 | 68,833명 | ![]() ![]() ![]() ![]() ![]() |
1995년 | 55,353명 | ![]() ![]() |
2000년 | 60,343명 | ![]() ![]() ![]() |
2005년 | 61,256명 | ![]() ![]() ![]() ![]() |
2010년 | 58,748명 | ![]() ![]() ![]() ![]() |
2015년 | 58,137명 | ![]() ![]() ![]() ![]() |
교통[편집]
- 나주시로부터 국도 제13호선이 남으로 뻗어 영암을 통과해서 해남, 완도까지 이어지고 강진군과의 경계 부근인 성전에서 목포 ~ 순천 방향의 국도 제2호선과 십자로 교차하여 동서와 남북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서영암 나들목, 학산 나들목을 통해 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항공[편집]
철도[편집]
버스[편집]
- 농어촌버스 : 영암군의 농어촌버스
- 시외버스 : 영암시외버스터미널
문화·관광[편집]
먹이가 풍부한 개펄과 넓은 수면, 따뜻한 기온 때문에 철새들의 이동 통로이자 중간 기착지로서 겨울철새 100여 종 30만 마리 이상이 방문하고 있다. 방조제를 사이로 담수와 해수가 갈려 담수어와 해수어 낚시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삼호읍 삼포리에 있다. 2010년부터 7년 간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개최되었다.
영암군, 강진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월출산 서쪽 자락에 있다.
축제[편집]
왕인(王仁)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
역대 군수[편집]

교육 기관[편집]

|
- 특수학교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도령 제7호 (1931년 3월 9일)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 군조례 제1726호 읍면리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3년 4월 30일)
- ↑ 기본현황 영암군 홈페이지, 2017년 8월 11일 확인.
- ↑ 토지 영암군 홈페이지, 2017년 8월 11일 확인.
- ↑ 주민등록 인구통계 Archived 2011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행정안전부, 2017년 8월 11일 확인.
-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영암군청 (공식)
![]() |
전라남도 무안군 | 전라남도 나주시 | 전라남도 화순군 | ![]() |
전라남도 목포시 | ![]() |
전라남도 장흥군 | ||
![]() ![]() | ||||
![]() | ||||
전라남도 해남군 | 전라남도 강진군 | 전라남도 장흥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