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곡성군청 | |||
| |||
![]() 곡성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547.44 km2 | ||
세대 | 15,414 가구 (2020[1]) | ||
총인구 | 28,039 명 (2020[2]) | ||
인구밀도 | 51 명/km2 | ||
읍 | 1개 | ||
면 | 10개 | ||
군수 | 유근기(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서동용(더불어민주당,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
군청 | |||
소재지 | 곡성읍 군청로 50 | ||
홈페이지 | 곡성군청 | ||
상징 | |||
군목 | 느티나무 | ||
군화 | 철쭉, 코스모스 | ||
군조 | 청둥오리 |
곡성군(谷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다. 동쪽으로 구례군, 서쪽으로 담양군, 북쪽으로 전라북도 남원시, 순창군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순천시, 화순군과 경계를 이룬다. 곡성읍은 섬진강 곡성분지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으며 군청 소재지이다. 시가는 서쪽에 700m 이상의 고봉이 솟아 있으나 동쪽으로는 저평하다.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목기·죽기 등의 가내수공업이 성하며 이의 집산지이기도 하다.
역사[편집]
백제시대에는 욕내(欲乃) 혹은 욕천(浴川)군으로 불렸는데, 산맥과 하천의 흐름을 본따 신라 경덕왕 때는 곡성(曲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시골장을 떠돌아 다니는 장사꾼들이 교통이 불편하여, 통행에 어려움을 느낀 나머지, 지나갈 때마다 통곡을 한다하여 곡성(哭聲)이라 불렀고, 그 후 곡성(穀城)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국가에서, 지명만을 생각하고 조세를 부과한다는 주민여론에 따라 이를 개칭하여, 곡성(谷城)으로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고려 초에 승평군(昇平郡)에 속하였다가 후에 나주에 속하고 1172년(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고 조선시대에는 현으로 승격되었다. 임진왜란 후에 남원에 예속시켰다가 1608년(광해군 원년) 다시 현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년) 군으로 승격, 1914년 창평군의 옥산면 등 8면을 합쳐 지금의 곡성군이 되었다. 1979년 곡성면이 곡성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83년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에 옥과면 송전리가 입면에, 겸면 봉산리가 옥과면에 편입되었다. 1읍(곡성), 10면(오곡·삼기·석곡·목사동·죽곡·고달·옥과·입·겸·오산)을 관할한다.
연혁[편집]
- 본래 백제의 욕내군(欲乃郡)이다.
- 757년 곡성군(谷城郡)으로 개칭하고 부유현(富有縣), 구례현(求禮縣), 동복현(同福縣)을 관할하였다.
- 940년 승평군(순천시)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부유현은 곡성과 함께 승평군, 구례현은 남원부, 동복현은 보성군의 속현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 뒤에 나주목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에 감무가 파견됨으로써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409년 전라도의 모든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곡성현의 율곡부곡(栗谷部曲)이 폐지되어 직촌이 되었다.
- 1597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피폐해져 곡성현이 폐지되어 남원도호부에 편입되었다.
- 1608년 곡성현이 복설되었다.
- 1895년 남원부 곡성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 곡성군이 되었다.
- 8면 : 도상면(道上面), 예산면(曳山面), 오지면(梧枝面), 우곡면(牛谷面), 삼기면(三岐面), 석곡면(石谷面), 목사동면(木寺洞面), 죽곡면(竹谷面)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곡성군 도상면(道上面), 예산면(曳山面) 곡성면 일원 곡성군 오지면(梧枝面), 우곡면(牛谷面) 오곡면 일원 곡성군 삼기면, 목사동면, 석곡면, 죽곡면 (변동 없음) 창평군 화면(火面), 입면(立面) 창평군 옥산면(玉山面), 수면(水面) 옥과면 일원 창평군 지면(只面), 겸방면(兼坊面) 겸면 일원 구례군 고달면(古達面) 고달면 일원
- 1949년 화면(火面)을 오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73년 7월 1일 오곡면 묘천리가 곡성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곡성면이 곡성읍으로 승격하면서 11개면에서 1읍 10면 126 리로 개편되었다.[4]
- 1983년 2월 15일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 옥과면 송정리가 입면, 겸면 황산리가 옥과면에 편입됨에 따라 1읍 10면 125리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리[편집]
평균 500m 고도로서, 도내에서 가장 높은 지대이다. 여기서는 산맥이 종횡으로 지나면서 4개의 소지역으로 갈라 놓았다. 이들 소지역은 각각 생활권을 이루고 있다. 이중 곡성은 지리산맥, 팔량치산맥(八良峙山脈), 육십치산맥(六十峙山脈) 사이에 있는 남원권에 속한다. 한편, 섬진강과 보성강, 기타 군소 하천은 이들 산지를 남북에서 개석하면서 유역의 평야를 관개한다. 평야 중에서 동북부 곡산을 중심한 곡산분지는 비교적 넓고 비옥한 편이다. 지질은 화강편마암계와 편상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면적 547.45km2, 인구 3만 1,886명(2010.12)이다.
행정 구역[편집]
곡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성군의 면적은 547.45km2이다.[5] 인구는 2015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15,060 세대, 30,850명이고 그 중 27.1%가 곡성읍에 거주한다.[6]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곡성읍 | 谷成邑 | 3,569 | 8,317 | 52.31 |
오곡면 | 梧谷面 | 1,019 | 2,240 | 62.86 |
삼기면 | 三岐面 | 967 | 1,850 | 38.18 |
석곡면 | 石谷面 | 1,349 | 2,612 | 53.19 |
목사동면 | 木寺洞面 | 832 | 1,508 | 46.75 |
죽곡면 | 竹谷面 | 1,076 | 2,015 | 103.39 |
고달면 | 古達面 | 681 | 1,312 | 41.93 |
옥과면 | 玉果面 | 2,410 | 4,746 | 29.95 |
입면 | 立面 | 1,322 | 2,799 | 34.06 |
겸면 | 兼面 | 1,004 | 1,949 | 38.25 |
오산면 | 梧山面 | 831 | 1,585 | 46.56 |
곡성군 | 谷成郡 | 15,060 | 30,850 | 547.43 |
군청[편집]

- 현재 곡성군청은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편집]
곡성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7]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00,672명 | ![]() ![]() ![]() ![]() ![]() |
1966년 | 109,739명 | ![]() |
1970년 | 97,764명 | ![]() ![]() ![]() ![]() ![]() |
1975년 | 93,104명 | ![]() ![]() ![]() |
1980년 | 75,101명 | ![]() ![]() ![]() ![]() |
1985년 | 63,826명 | ![]() ![]() ![]() |
1990년 | 49,707명 | ![]() ![]() ![]() |
1995년 | 41,026명 | ![]() ![]() ![]() ![]() |
2000년 | 38,042명 | ![]() ![]() |
2005년 | 34,157명 | ![]() ![]() ![]() ![]() ![]() |
2010년 | 31,886명 | ![]() ![]() ![]() |
산업[편집]
주산업은 농업이며 쌀농사와 보리농사가 활발하고 양봉, 양잠, 축산도 하고 있다. 전체 면적의 70.31%가 임야이다. 경지 면적 9,408㏊ 중 논 6,516㏊, 밭 2,892㏊이며,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면화, 삼 등이고, 농가 부업으로 양잠이 성업하여 많은 수익을 올린다. 또, 유축 농가가 많아 한우, 돼지 사육을 주로 한다. 야산을 개간하여 조성한 왜성(矮性) 사과단지에서는 당도가 높고 맛이 좋은 사과가 많이 생산되며 토란과 인삼 등의 특용작물도 많이 생산된다. 가내 수공업으로 부채, 종이, 도자기와 그 밖에 죽세공품들이 생산된다. 주요 특산물로는 사과, 배, 대추, 딸기, 오이, 수박, 멜론 등이 유명하다.
문화·관광[편집]
1998년 전라선 복선화공사로 발생한 섬진강 협곡의 폐선부지를 활용했다.
- 천사장미원
2010년 기차마을내에 이 개장을 하였다.
- 기존의 폐선철로에 증기기관차가 운영하며 또한 레일바이크를 이용하게 되었다.
문화재[편집]
교통[편집]
철도[편집]
전라선철도가 곡성역을 통과한다. 일일 왕복 19회 (주말 20회) 정차하며 새마을호, 무궁화호 모두 정차한다. 또한 2011년부터 KTX가 매일 상행 4회, 하행 4회 총 8회 운행되고 있다.
도로 교통[편집]
인접 각군으로 도로가 뻗어 산간지방이지만 교통이 편리하다. 호남고속도로(25호선)이 연결되고 군내 3개 인터체인지(석곡, 곡성, 옥과)가 생기면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또한, 완주와 순천을 잇는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하였다.
버스[편집]

곡성버스터미널에서 광주, 구례로 가는 버스가 약 30분마다 운행하며, 순천, 여수, 서울호남으로 운행하는 버스도 있다. 그 외에 남원시의 시내버스도 약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동구(1996년 3월 18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창군(1998년 10월 9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구(2000년 6월 29일)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2010년 11월 5일)
중국 저장성푸퉈 구
필리핀 올더내타 시
미국 하와이주 하와이 카운티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공포)
- ↑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대통령령 제9409호)
- ↑ 곡성군 면적
- ↑ 곡성군 통계연보 2010, 2015년 7월 9일 확인
-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 ↑ 섬진강기차마을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곡성군청 (공식)
![]() |
전라북도 순창군 | 전라북도 남원시 | ![]() | |
전라남도 담양군 | ![]() |
전라남도 구례군 | ||
![]() ![]() | ||||
![]() | ||||
전라남도 화순군 | 전라남도 순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