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본역
화본
| |
---|---|
![]() 화본역 (2019년)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안동관리역 |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11-9 |
좌표 | 북위 36° 7′ 37.35″ 동경 128° 41′ 39.88″ / 북위 36.1270417° 동경 128.6944111° |
개업일 | 1938년 2월 1일 |
종별 | 보통역 |
등급 | 3급 |
승강장수 | 1면 2선 섬식 승강장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거리표 | |
중앙선 | |
청량리 기점 265.7 km | |
|
화본역(Hwabon station, 花本驛)은 경상북도[1] 군위군 산성면 화본리에 위치한 중앙선의 역이다. 현재 일부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2024년 12월에 중앙선 복선 전철화가 완공되면 폐지되고, 여객 열차 정차의 기능은 군위역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역 구내에 급수탑이 남아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역 광장에는 박해수 시 '화본역'이 적힌 시비가 있다.
개요[편집]
화본역이 위치한 화본마을은 마을 동쪽의 조림산을 ‘산은 꽃의 뿌리와 같으므로 꽃의 근본이다’는 뜻의 산여화근고화본(山如花根故花本)이라고 명명한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화본역은 1938년에 중앙선 보통역으로 여객 취급을 시작했다. 화본역에는 급수탑이 있는데, 이 급수탑은 1930년대 말에 지어졌고, 높이 25m, 지름 4m이다. 급수탑 내부에는 인부들이 남긴 것으로 보이는 '석탄 절약' '석탄 정돈' 등의 낙서가 새겨져있다. 또한 객차를 개조한 카페도 운영 중이며, 철도관사를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역 근처에는 옛 초등학교를 개조해 만든‘엄마 아빠 어렸을 적에'라는 테마박물관이 있다.[2]
연혁[편집]
- 1936년 12월 10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1938년 2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3]
- 1977년 5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4]
- 1990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5]
- 1997년 6월 1일 : 봉림 관리역으로 지정
- 2006년 12월 22일 : 역사 지붕 개량 및 보수
- 2006년 12월 28일 : 간이역 시비가 세워짐
- 2011년 : 화본역 역사 개수
- 2023년 7월 1일: 소재지가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로 변경
- 2024년 12월 :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면 군위군 관내 역을 통합하여 군위역으로 이전 예정이다.
승강장[편집]
↑ 탑리 |
| 1 2 | |
신녕 ↓ |
1 | 중앙선 | 무궁화호 | 동대구 · 부전 방면 |
---|---|---|---|
2 | 동해 · 청량리 방면 |
사진[편집]
화본역 시비
(박해수 시인)
기타[편집]
화본역 급수탑 내부에 삼국유사의 용마가 들어셨다.
인접한 역[편집]
중앙선 | ||
---|---|---|
탑리 청량리 방면 동해 방면 |
무궁화 중앙선 영동선 |
신녕 부전 방면 동대구 방면 |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