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량역
![]()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영천관리역 |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내서로 1424-21 | |
좌표 | 북위 35° 49′ 37″ 동경 129° 7′ 27″ / 북위 35.82694° 동경 129.12417° | |
개업일 | 1922년 12월 25일 | |
종별 | 신호장 | |
* 정확히는 경부고속본선과 건천연결선을 경유하는 거리 | ||
노선 | ||
건천연결선 | ||
분기점 기점 3.3 km | ||
| ||
| ||
동해선 | ||
모량 기점 0.0 km | ||
| ||
| ||
중앙선 | ||
청량리 기점 330.9 km | ||
|
모량역(Moryang station, 牟梁驛)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모량1리에 위치한 중앙선 및 동해선의 역이다. 중앙선 구역사 위로 동해선 신호장이 십자 교차하는 형태의 역 구조를 갖고 있다. 1922년 11월 1일 '광명역'이라는 역명의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1939년 6월 1일에 모랑(毛良)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2001년 7월 1일에 모량역(牟梁驛)으로 변경되었다. 동대구 ~ 포항 간 통근 열차가 2008년 1월 1일부터 폐지되면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향후[편집]
2020년에 중앙선 및 동해선이 이설되면 현재의 동해선 신호장으로 중앙선의 선로가 옮겨질 예정이다. 현재는 열차 교행을 돕는 신호장 역할을 하고 있다.
연혁[편집]
- 1922년 12월 25일 : 광명역(光明驛)이라는 이름으로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1]
- 1928년 12월 10일 : 보통역으로 승격[2]
- 1930년 4월 1일 : 화물 취급 개시[3]
- 1939년 6월 1일 : 모랑(毛良)역으로 역명 변경 및 표준 궤로 개량하면서 역사를 현위치로 이전[4]
- 1976년 7월 10일 : 화물 취급 중지[5]
- 1977년 5월 16일 : 수소 화물 취급 중지[6]
- 1997년 6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7]
- 2001년 7월 1일 : 역명 한자를 모량(毛良)에서 모량(牟梁)으로 변경[8]
- 2004년 12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및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9]
- 2007년 6월 1일 : 일반 열차 통과
- 2015년 2월 24일 : 건천연결선 및 동해본선 모량신호장 사용 개시[10]
- 2017년 12월 18일 : 여객 취급 중지 및 신호장으로 격하[11]
각주[편집]
-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철도정차장설치, 1922년 12월 28일
- ↑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444호, 1928년 11월 29일
- ↑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75호, 1930년 2월 26일
- ↑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 452, 453호, 1939년 5월 25일
- ↑ 철도청고시제15호, 1976년 7월 2일
- ↑ 철도청고시제10호, 1977년 5월 7일
- ↑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2001-22호, 2001년 6월 27일
- ↑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87호”.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2017년 12월 18일.
![]() |
이 글은 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