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주
역사
역사
경부고속선 역명판(역명 변경 전)
경부고속선 역명판(역명 변경 전)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경주관리역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경주역로 80
좌표 북위 35° 47′ 54″ 동경 129° 08′ 20″ / 북위 35.79833° 동경 129.13889°  / 35.79833; 129.13889
개업일 2010년 11월 1일
종별 관리역(운전간이역)
승강장수 6면 8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기점 316.5km
동대구
(49.0 km)
울산
(30.0 km)
동해선
부산진 기점 110.3 km
외동
(20.5 km)
모량
(4.4 km)

경주역(Gyeongju station, 慶州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에 있는 경부고속선동해선철도역으로, 경부고속선 KTX · SRT동해선 무궁화호, 누리로가 정차한다.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이 완공되면서 2010년 11월 1일부터 신경주역이라는 역명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21년 12월 28일부터 철로가 이설됨에 따라 구 경주역과 통합하여 무궁화호 열차도 정차한다. 경부고속선 건설 계획 당시부터 건설이 예정되어 있었고, 때마침 유네스코가 경주 시내 철로 이설을 권고하여 2010년 완공 당시부터 일반열차 정차홈도 마련해 두고 있었다.

개요[편집]

경부고속철도를 계획하던 1990년 6월에 동대구-경주-부산 구간을 확정하고, 배후 지역으로 영천시, 경주시, 포항시, 울산광역시가 거론되었다. 그 중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역사적 도시”, “대한민국의 관광 대표 도시”로서 경주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포항시에는 포항경주공항, 울산광역시울산공항이 있는데 반해 경주시는 공항이 없었고, 관광도시 접근의 편의성이 중요해 경부고속선의 첫 계획부터 신경주역을 만들기로 했다.[1]

이후 경주역을 동해안권 대표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천명하였으나 울산 지역에서 광역시의 위상을 들어 울산역의 신설을 요구했고, 때마침 2003년에 갓 대통령으로 취임한 노무현울산역 신설을 승인했다.[2] 2004년건설교통부에서 고속철도역 추가를 승인함에 따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을 수정하여 오송역, 김천(구미)역, 울산역을 추가하도록 했다.[3]

유네스코가 문화재 보호를 위해 경주 시내에 있는 철로를 이설하라고 권고했고, 이에 따라 중앙선과 동해선을 이설하여 신경주역을 성동동에 있는 경주역과 통합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이 계획에 따라 신경주역은 동해선 무궁화호가 정차할 수 있도록 플랫폼과 계단을 미리 설치했다. 중앙선과 동해선은 기존 경주역 대신 모량역이 실질적인 분기점으로 변경됐으며, 동시에 무궁화호가 신경주역으로 들어오게 됐다. 다만 이 때문에 서경주역나원역과 통합하여 동해선상으로만 다니는 여객열차들이 출입하게 됐고, 이는 서경주역에 정차하는 여객열차들이 대거 감축되는 결과를 낳았다.

2023년 2월 6일에 신경주역에서 경주역으로 역명을 개칭하기로 결정했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승강장은 6면 8선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장[편집]

아화(중앙선) / ↑서경주(동해선) / ↑동대구(경부선)
| | | | | | | |
울산(경부선)↓ / 북울산(동해선)↓
7 동해선 무궁화호 · 누리로 태화강 · 신해운대 · 부전 방면
3 경부고속선 KTX · SRT 울산 · 부산 방면
통과선
4 동대구 · 대전 · 수원 · 광명 · 서울 · 행신 · 수서 방면
8 동해선 무궁화호 · 누리로 동대구 · 포항 · 동해 · 영주 · 청량리 방면

인접한 역[편집]

경부고속선
동대구
행신 방면
KTX
경부고속선
울산
부산 방면
동대구
서울 방면
KTX
경부선 수원 경유
울산
부산 방면
SRT
동대구
수서 방면
SRT
경부고속선
울산
부산 방면
중앙선 · 동해남부선 · 영동선
아화
동대구 방면
누리로
동해선
북울산
태화강 방면
서경주
포항 방면
누리로
동해선
북울산
태화강 방면
아화
동대구 · 청량리 · 동해 방면
무궁화호
동해선 · 중앙선 · 영동선
북울산
부전 방면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