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역 (성남)

판교
(판교테크노밸리) | |
---|---|
![]() 광교 방향 역명판 | |
![]() 정자 방향 승강장(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신분당선주식회사 |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160 |
개업일 | 2011년 10월 28일 |
역 번호 | D11 |
역 코드 | AFC 코드 : 4311 |
승강장수 | 2면 2선 |
거리표 | |
● 신분당선 | |
신사 기점 16.6km | |
|
판교
| |
---|---|
![]() 여주 방향 역명판(번호 변경 전) | |
![]() 여주 방향 승강장(신분당선 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스크린도어 교체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경기광주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160 |
개업일 | 2016년 9월 24일 |
역 번호 | K409 |
종별 | 보통역 |
승강장수 | 2면 2선 |
거리표 | |
경강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
판교 기점 0.0km | |
| |
|
판교역(Pangyo station, 板橋驛)[1] 또는 판교(판교테크노밸리)역(Pangyo(Pangyo Techno Valley) station, 板橋(板橋테크노밸리)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신분당선과 경강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은 이 역부터 이매역까지 지하 구간이며, 이매교 하저터널로 연결된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신분당선은 심야에 판교주박기지에서 2편성이 주박한다.
역사[편집]
- 2011년 10월 28일 : 신분당선 강남역~정자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6년 9월 24일 : 경강선 판교역~여주역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환승역이 됨
- 2023년 12월 28일: 경강선 판교역 ~ 중부내륙선 충주역 방향 KTX 개통 예정[2]
- 2026년 : 경강선 연수역 ~ 판교역 구간 추가 개통과 함께 예정
개요[편집]
근처에 신분당선 본사가 있다. 경강선은 이 역부터 이매역까지 이매교 탄천 하저터널로 연결된다. 신분당선은 이 역부터 상적천, 운중천 하저터널로 청계산입구역과 연결된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서현역처럼 역사가 대로변에 없기 때문에, 이 역과 연계되는 시내버스를 이용하려면 정류장을 숙지해야 한다. 역 바로 앞에는 마을버스가 정차하며, 대부분의 광역버스나 직행좌석버스는 역 남쪽의 낙생육교로 이동해야 한다.
양 노선에 유치선이 있다. 심야에 경강선 2편성이 주박하고, 신분당선 2편성은 판교주박기지에서 주박한다.
역 구조[편집]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 출입구는 4개다. 출입구 4개 모두 신분당선 관할이며, 한국철도공사 관할은 없다.
신분당선 승강장[편집]
↑ 청계산입구 |
상 | | 하 |
정자 ↓ |
상행 | ● 신분당선 | 판교주박기지 출고 1부 열차 |
---|---|---|
하행 | 정자 · 미금 · 수지구청 · 광교 방면
판교주박기지 입고 1부 열차 당역 종착 |
경강선 승강장[편집]
현재 KTX-이음이 들어올 예정이므로 스크린도어 교체 공사중이다.
시·종착역 |
2 | | 1 |
이매 ↓ |
1 | 하행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이매 · 경기광주 · 이천 · 부발 · 여주 방면 |
---|---|---|---|
2 | 상행 | 당역 종착 |
역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경강선의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9월 24일(토요일)부터 12월 31일(토요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경강선 | 승차 | 3,333 | 3,390 | 3,964 | 4,545 | 3,664 | 3,914 | 4,826 | [4] |
하차 | 3,337 | 3,407 | 3,936 | 4,529 | 3,639 | 3,850 | 4,836 |
사진[편집]
-
개찰구(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외부 간판(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3번 출입구(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신분당선 정자 방향 승강장(역명 변경·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설치 예술 작품
-
신분당선 강남 방향 역명판(역명 변경·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3번 출입구(역명 변경·정자역~광교역 구간(미금역 제외) 연장·경강선·강남역~신사역 구간 연장 개통 전)
-
환승통로(신분당선→경강선)
인접한 역[편집]
신분당선 | ||
---|---|---|
D10 청계산입구 신사 방면 |
● 신분당선 | D12 정자 광교 방면 |
경강선 | ||
시·종착역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K411 이매 여주 방면 |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