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역 (부산)
교대
| |
---|---|
![]() 역사 | |
![]()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전관리역 |
소재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196 |
개업일 | 2016년 12월 30일 |
역 번호 | K113 |
종별 | 보통역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동해선 | |
부산진 기점 8.6km | |
|
교대
| |
---|---|
![]() 역명판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부산교통공사 제1운영사업소 동래관리역 |
소재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1217 |
좌표 | 북위 35° 11′ 45″ 동경 129° 04′ 48″ / 북위 35.195868° 동경 129.079981° |
개업일 | 1985년 7월 19일 |
역 번호 | 130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다대포해수욕장 기점 30.1km | |
|
교대역(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ation, 敎大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동해선 광역전철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이 역부터 하단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역사[편집]
- 1985년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 개통과 함께 교대앞역으로 영업 개시
- 2010년 2월 24일: 교대역으로 역명 변경
- 2016년 12월 30일 : 부산진 기점 8.6km에서 동해본선 교대역 신설,[1]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역~일광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
- 2018년 2월 12일 : 동해선~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간 환승통로 개통
역 구조[편집]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개찰구와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역무실(고객서비스센터) 역시 대합실이 아니라 다대포해수욕장 방향 승강장에 있다.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출구는 부산교통공사 관할 7개, 한국철도공사 관할 4개로 총 11개다.[3]
동해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4]
↑ 거제 |
1 | | 2 |
동래 ↓ |
1 | ● 동해선 광역전철 | 거제 · 부전 방면 |
---|---|---|
2 | 동래 · 센텀 · 신해운대 · 태화강 방면 |
1호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연산 ↑ |
하 | | 상 |
↓ 동래 |
상행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부전 · 서면 · 초량 ·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
하행 | 동래 · 명륜 · 온천장 · 노포 방면 |
역 주변[편집]
- 부산교육대학교
- 부산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 국제신문
- 한양프라자
- 부전교회
- 동래경찰서
- 내성교차로
- 한양아파트(1동~3동·5동)
- 거제동 방면
- 종합운동장 방면
- 법원·검찰청
- 이사벨중학교
- 이사벨고등학교
- 지구촌고등학교
- 동래시장 방면
- 거제1동행정복지센터
- 내성중학교
- 동래소방서
- 부산은행 교대역영업소
승차량 변동[편집]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호선 | 승차 | 18380 | 16148 | 14850 | 13850 | 12071 | 11735 | 12651 | 12430 | 12676 | 12441 | 11771 | 11927 | 11866 | 11552 | [5] | |||||||
동해선 | 승차 | 미개통 | 1,748 | 2,925 | 3,671 | 4,195 | 3,326 | 3,714 | 4,716 | [6] | |||||||||||||
하차 | 2,073 | 3,251 | 4,095 | 4,684 | 3,589 | 3,909 | 5,227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1호선 동래역과 동해선 동래역이 모두 이 역에 인접하나 두 역은 서로 관련이 없는 별개의 역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
129 연산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31 동래 (도시철도) 노포 방면 |
동해선 | ||
K112 거제 부전 (지상) 방면 |
● 동해선 광역전철 | K114 동래 (동해선) 태화강 방면 |
각주[편집]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 2016년 4월 29일.
- ↑ 한국철도공사 (2016년 12월). “동해선 (부전역~일광역) 광역전철 영업개시 알림(12월 30일~)”. 2016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일에 확인함.
- ↑ 이 역은 출구 중 7번 출구만 없다.
- ↑ 이 역부터 거제역까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 ↑ 본 자료는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 Archived 2015년 2월 24일 - 웨이백 머신를 가공한 것이다.
- ↑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4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