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H1에서 넘어옴)

아시안 하이웨이
(국제 간선 도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노선도
총연장 20,557km[1]
개통년 1959년
기점 일본의 기 일본 도쿄도 주오구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 에도가와 분기점
주요
경유국가
(모든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남북 단절로 사실상 끊겨져 있는 상태)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의 기 베트남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태국의 기 태국
미얀마의 기 미얀마
인도의 기 인도(間방글라데시의 기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기 아프가니스탄
이란의 기 이란
종점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에디르네주 카피쿨레
(터키, 불가리아 국경)
주요
교차도로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Asian Highway 1, )은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로, 총연장 20,557km[1]으로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명목상 일본도쿄를 출발점으로 하여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남북 단절로 사실상 끊겨져 있는 상태) - 중화인민공화국 - 동남아시아 - 인도를 거쳐 튀르키예하고 불가리아의 국경선을 종착점으로 한다.

종점은 유럽 고속도로망하고 연결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하고 일본 사이를 연결하는 대한해협 노선은 카페리뉴 카멜리아호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종점인 튀르키예에서는 유럽 고속도로 E 80 을 따라 불가리아, 세르비아,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을 거쳐 포르투갈리스본에 이른다.

경유 도시[편집]

일본의 기 일본[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이 시작되는 지점
간몬 해협을 지나가고 있는 간몬 교의 모습

일본 국내 구간()은 총 연장 1,108km로[2] 2003년 11월에 AH-1에 편입되었다.[1] 아래 구간은 일본 국내에서의 루트이며 괄호 안에 있는 번호는 섹션 번호이다.[3]

  •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 (에도바시 JCT -<1>- 다니마치 JCT(다케바시 JCT 경유))
  • 수도고속도로 3호선 시부야 선 (다니마치 JCT -<1>- 요가 램프)
  • E1 도메이 고속도로 (도쿄 IC -<1(완)>- 요코하마마치다 IC -<2>- 아쓰기 IC -<3>- 고텐바 IC -<4>- 누마즈 IC -<5>- 시즈오카 IC -<6>- 하마마쓰 IC -<7>- 도요카와 IC -<8>- 나고야 IC -<9>- 고마키 JCT -<10-> 고마키 IC)
  • E1 메이신 고속도로 (고마키 IC -<10(완)>- 마이하라 JCT -<11>- 교토미나미 IC -<12>- 스이타 JCT)
  • E2A 주고쿠 자동차도 (스이타 JCT -<13>- 고베 JCT)
  • E2 산요 자동차도 (고베 JCT -<14>- 산요히메지가시 IC -<15>- 오카야마 JCT -<16>- 후쿠야마니시 IC -<17>- 히로시마 JCT -<18>- 하스카이치 JCT)
  • E2 히로시마이와쿠니 도로 (하스카이치 JCT -<18(완)>- 오오타케 JCT)
  • E2 산요 자동차도 (오오타케 JCT -<18(완)>- 도쿠야마히가시 IC -<19>- 야마구치 JCT)
  • E2A 주고쿠 자동차도 (야마구치 JCT -<20>- 시모노세키 IC)
  • E2A 간몬 자동차도 (시모노세키 IC -<21>- 모지 IC)
  • E3 규슈 자동차도 (모지 IC -<21(완)>- 고쿠라히가시 IC -<22>- 후쿠오카 IC)
  • 후쿠오카 고속 4호 가스야 선 (후쿠오카 IC -<23>- 가이즈카 JCT)
  • 후쿠오카 고속 1호 가시이 선 (가이즈카 JCT -<23(완)>- 하카타 항 국제 터미널)

후쿠오카부터는 하카타 항 국제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카페리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도착한다.

이 구간을 관통하는 한일해저터널도 구상되었으나 대한민국 국토해양부는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이 사업을 백지화하였다.[4]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국내 구간()은 총 연장이 약 500km이다.

대한민국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표지판
대한민국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표지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실상 남북 단절로 끊겨져 있는 상태)[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내의 구간은 총 연장 405km이다.[1]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편집]

중화인민공화국 국내 구간()은 총 연장 4,283km이다.[1]

이후부터는 일반 국도와 고속 국도 두 개의 루트로 갈 수 있다.

일반 국도[편집]

고속공로[편집]

베이징 근교에 있는 징강아오 고속공로의 모습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에 편입된 고속공로의 모습

베트남의 기 베트남[편집]

박닌 근교에 있는 남북고속도로 (베트남)의 모습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편집]

태국의 기 태국[편집]

미얀마의 기 미얀마[편집]

인도의 기 인도[편집]

  • NH39: 모레 - 임팔 - 코히마 - 디마푸르
  • NH36: 디마푸르 - 나가온
  • NH37: 나가온 - 누말리가르 - 조라밧 - 가우하티
  • NH40: 가우하티 - 실롱 - 다우키

방글라데시의 기 방글라데시[편집]

인도[편집]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편집]

아프가니스탄의 기 아프가니스탄[편집]

이란의 기 이란[편집]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Asian Highway Handbook” (PDF). UNESCAP. 2003. 2012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1일에 확인함. 
  2. “国別AH概要 > 日本 (Japan) - アジアハイウェイ路線とその現状” (일본어). 일본 국토교통성 총합정책국. 2012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1일에 확인함. 
  3. “アジアハイウェイ標識の設置場所” [아시안 하이웨이 표지의 설치 장소] (일본어). 일본 국토교통성 도로국. 2012년 5월 11일에 확인함. 
  4. “국토부, 한중ㆍ한일 해저터널 기술적 검토”. 한국일보. 2010년 9월 21일.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9일에 확인함. 
  5.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서는 해제된 구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