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마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TX-마음
ITX-마음 전동차
개요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급행여객열차
현황운행 중
지역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기간2023년 9월 1일~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기점서울 · 용산 · 청량리
종점부산 · 목포 · 여수엑스포 · 동해
운행 노선경부선 · 호남선 · 전라선 · 태백선 · 영동선
차내 서비스
장애인 접근성지원
좌석264석
세부 정보
철도 차량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궤간1,435 mm (표준궤)
전철화교류 25,000V 60Hz
운행 속도ATS/ATP 구간 150 km/h

ITX-마음(ITX-MAUM)은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명칭이다. 노후화가 된 무궁화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등장하였으며, 2023년 9월 1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태백선 등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법적으로 ITX-새마을과 등급이 동일하고 운임도 기존 ITX-새마을과 동일한 요금으로 책정하였다. 다원시스가 제작한 간선 전기 동차 (EMU-150)가 운행된다.

연혁[편집]

차량/기술 사양[편집]

간선 전기 동차로 4량 편성, 또는 중련 편성으로 운행된다.

차체[편집]

차호[편집]

ITX-새마을의 210000번대에 이어 220000번대 차호를 부여받아 운행된다. 총 12편성이 운행 중이며, 12편성이 시운전 중이고 3편성이 추가로 도입 될 예정이다.

  • 220101-220104~222701-222704 : 2023년 제작

운행 노선[편집]

2023년 12월 18일 기준 ITX-마음이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구간 열차번호 비고
경부선 서울 - 부산 1101~1104
호남선 용산 - 목포 1161~1164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전라선 용산 - 여수엑스포 1181~1184
동해선 동대구 - 부전 1172, 1175
태백선 청량리 - 동해 1191, 1192

정차역[편집]

필수 정차역은 굵은 글씨로 표현하였다. 호남선(목포행) 열차와 전라선(여수엑스포행) 열차는 용산역부터 익산역까지 중련 운행한다.

차내 안내 방송[편집]

음원[편집]

  • 출발시 : 봄 소나기
  • 도착시 : 어린 달
  • 종착시 : 날자꾸나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ITX-마음의 상표 정보》, doi:10.8080/4020230152774 
  2. “태백선 신규 열차 ‘ITX-마음’…다음 달 1일부터 운행”. 2023년 8월 25일. 2023년 9월 1일에 확인함. 
  3. 하행 1대만 정차하며 상행열차 1대 하행열차 1대는 모두 평택역 통과
  4. 하행 2대는 전부 정차하고 상행 2대는 전부 통과한다.
  5. 상행, 그 중에서도 1164만 정차한다.
  6. 하행, 그 중에서도 1163만 통과하며, 함평나비축제 기간에는 정차한다.
  7. 상행, 그 중에서도 1162만 정차한다.
  8. 하행 1대만 정차하며 상행열차 1대 하행열차 1대는 정차 나머지는 모두 평택역 통과
  9. 상행, 그 중에서도 1184만 정차한다.
  10. 상행,하행 각각 1편씩 정차한다.
  11. 하행 1대만 정차하며 상행열차 1대 하행열차 1대는 정차 나머지는 구례구역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