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기형 증기 기관차
![]() 의왕 철도박물관에서 보존 중인 혀기11형 13호 증기 기관차 | |
제작 및 운영 | |
---|---|
제작 연도 | 1927년~미상 |
제원 | |
궤간 (mm) | 762 |
성능 | |
동력 방식 | 텐더식 증기기관차 |
혀기형 증기 기관차는 1927년부터 762mm 궤간의 협궤 철도였던 수려선과 수인선에서 운행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도입된 협궤 증기기관차였다. 이름은 ‘협’(狹)의 일본어 발음과 ‘기’(機)의 한국어 발음을 합한 것에서 유래하였다.[1]
1965년 협궤 동차가 개통되면서 같이 운행하다가 점차 운행 빈도가 낮아졌다. 결국 1978년에 차량의 크기가 작아 견인력과 속도가 현저히 떨어져 운행의 타당성이 동차에 비해 낮기 때문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보존[편집]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 |
지정번호 | 등록문화재 제418호 (2008년 10월 17일 지정) |
제작시기 | 1937년 |
소유자 | 철도박물관 |
- 혀기1형: 경춘선 화랑대역.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있다가 2017년 5월 18일 이전하였다.[2]
- 혀기7형: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역사관 앞. 그 전에는 인천 남동구청 앞 담방문화근린공원에 있었으나, 옮겨 왔다.
- 혀기8형: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1978년에 어린이날 선물로 기증되었으나[3], 1996년에 한진중공업으로 매각된 후[4] 행방불명되었다.
- 혀기8-28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어린이과학관.
- 혀기11-12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성화재교통박물관.
- 혀기11-13호: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
- 혀기11-14호: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평리조트.
기타[편집]
혀기 11-14호는 영화 ‘엄마없는 하늘아래’에 등장한 적이 있다. 차호 불명의 1량이 영화 ‘오, 인천’에 등장하였다.[5]
사진[편집]
각주[편집]
- ↑ 이정구 외 (2007년 11월). 《근대문화유산 교통(철도)분야 목록화 조사보고서》 (PDF). 대전: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80쪽.
- ↑ “1950년대 미카열차와 협궤열차 '노원구로'”. 뉴스1. 2017년 5월 18일.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섬에 기차가 왔다, 《동아일보》, 1978.05.04 작성, 2013.06.15 확인
- ↑ 趙根英 (1996년 2월 29일). “흑산도(黑山島) 교육용 증기기관차 매각 결정”. 연합뉴스.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휴지통, 《동아일보》, 1979.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