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철도청 3000호대 디젤 기관차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6월) |
![]() 단양역에 보존된 3016호 디젤 기관차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본선 여객 |
제작사 | EMD/GMC |
제작 연도 | 1958년 |
생산량 | 52 |
도입단가 | 143,608달러[1] |
제원 | |
전장 | 14,325 mm |
전폭 | 2,819 mm |
전고 | 4,210 mm |
차량 중량 | 75 t |
축중 | 19 t |
궤간 (mm) | 표준궤 1,435 |
성능 | |
동력 방식 | 디젤 전기식 |
기어비 | 62:15 |
차륜 배열 | BO-BO |
영업 최고 속도 | 105 km/h |
출력 | 875 hp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6SL |
3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대한민국 철도청이 운용하였던 디젤 기관차이다. 일반목적용으로 제작되어 비교적 축당 중량이 가벼운 편이며, 기관냉각을 위하여 크랭크축에 중속기를 연장하여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GM-EMD에서 제작하였으며, 제작사 측 형식명은 G8이다. 52량이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으나 보존된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폐차, 매각되었다.
특징[편집]
- 기관RPM : 275 ~ 835
- 치차비 : 62:15
- 주발전기형식 : D25E
- 주발전기연속정격 : 1400A
- 제동비율 : 5.58
- 제동통 수 : 4
- 공기압축기 형식 : WXE
현황[편집]
총 52대가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보존된 2대를 제외하고 모두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차호 | 시리얼[2][3][4][5] | 도입 시기[1]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3001호 | 24980 | 1958년 12월 | 1998년 | |
3002호 | 24981 | 1998년 | ||
3003호 | 24982 | 1998년 | ||
3004호 | 24983 | 1998년[6] | ||
3005호 | 24984 | 1998년 | ||
3006호 | 24985 | 1998년 | ||
3007호 | 24986 | 1959년 1월 | 1993년[6] | |
3008호 | 24987 | 1998년 | ||
3009호 | 24988 | 1998년 | ||
3010호 | 24989 | 1998년 |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에 있으나, 식당으로 개조되며 엔진룸의 경계가 없어지고 언더프레임에 창문이 설치되는 등 원형이 훼손되었다. | |
3011호 | 24990 | 1998년 | ||
3012호 | 24991 | 1998년 | ||
3013호 | 24992 | 2003년 | ||
3014호 | 24993 | 1998년 | ||
3015호 | 24994 | 1998년 | ||
3016호 | 24995 | 1998년[7]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역 광장에서 보존 중이다. 코레일 소유의 객차 1량과 단양군 소유의 객차 3량이 연결되어 있었으나, 2014년 3월~4월에 이 객차들은 고철 매각되었다. | |
3017호 | 24996 | 1998년 | ||
3018호 | 24997 | 1989년[6] | ||
3019호 | 24998 | 1998년 | ||
3020호 | 24999 | 1998년 | ||
3021호 | 25000 | 1998년 | ||
3022호 | 25001 | 1998년 | ||
3023호 | 25002 | 1998년 | ||
3024호 | 25003 | 2003년 | ||
3025호 | 25004 | 1998년 | ||
3026호 | 25005 | 1991년[6] | ||
3027호 | 25527 | 1960년 1월 | 1999년 | |
3028호 | 25528 | 1999년 | ||
3029호 | 25529 | 1999년 | ||
3030호 | 25530 | 1999년 | ||
3031호 | 25531 | 1999년 | ||
3032호 | 25532 | 1999년 | ||
3033호 | 25533 | 1999년 | ||
3034호 | 25534 | 1995년[6] | ||
3035호 | 25535 | 1999년 | ||
3036호 | 25536 | 2003년 | ||
3037호 | 25537 | 1999년 | ||
3038호 | 25538 | 1999년 | ||
3039호 | 25539 | 1999년 | ||
3040호 | 25540 | 1999년 | ||
3041호 | 25541 | 1999년 | ||
3042호 | 25542 | 1983년[6] | ||
3043호 | 25543 | 1994년[6] | ||
3044호 | 25544 | 1977년[6] | ||
3045호 | 25545 | 1987년[6] | ||
3046호 | 25546 | 1999년 | ||
3047호 | 25547 | 1999년 | ||
3048호 | 25548 | 1999년 | ||
3049호 | 25549 | 1999년 | ||
3050호 | 25550 | 1999년 | ||
3051호 | 25551 | 1999년 | ||
3052호 | 25552 | 1999년 |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변성우 외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서울: 철도차량기술검정단. 91쪽.
- ↑ Stephen Grande (2007년 5월 16일). “EMD 24900 to 24999”. 《TrainWeb》.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 Stephen Grande (2004년 6월 6일). “EMD 25000 to 25099”. 《TrainWeb》.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 Stephen Grande (2004년 6월 6일). “EMD 25500 to 25599”. 《TrainWeb》.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 “Korean National Locomotives”. 《The Diesel Shop》. 2017년 3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변성우 외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서울: 철도차량기술검정단. 98-99쪽.
- ↑ 편집부 (2012). “철도인 인터뷰 : 김기선 입석리역장”. 《레일러》. 12호 (서울: 미래테크). 4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