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역
![]() 제천역 구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제천관리역 |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1 |
개업일 | 1941년 9월 1일 |
종별 |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
등급 | 1급 |
승강장 구조 | 2면 6선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노선 | |
중앙본선 | |
청량리 기점 144.6 km | |
| |
제천조차장선 | |
제천 기점 0.0 km | |
| |
| |
태백본선 | |
제천 기점 0.0 km | |
| |
|
제천역(堤川驛)은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중앙선과 태백선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에서 태백선이 분기한다. 충북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1]하지만 일부는 영주역까지 운행된다.향후 평일 막차한정으로 제천발 청량리행열차가 운행된다 단 아침 첫차는 그대루 두지만 두번째로 출발하는 차를 평일한정으로 막차로 변경한다 단 주말은 운행하지 않는다
현재 일반 열차가 30편 정차하지만, 여객보다는 단양, 영월 지역의 시멘트 화물 운송 중계 및 태백 지역의 석탄 화물 운송 중계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6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380명(27위)이고, 화물 수송 톤키로는 약 33,379,000톤km이다. 서울로 가는 여객열차는 서울행은 2회[2]이며 나머지는 모두 청량리행으로 운행한다. 2014년 5월 1일부터 충북도민의 충북선 이용 및 KTX 오송역 환승편의를 위하여 동대구역 ~ 대전역 ~ 제천역 ~ 영주역간 무궁화호가 왕복 2회 편성되었다. 역 구내에 제천기관차승무사업소 등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사업소와 충북본부가 있다.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2017년 11월 24일부터 임시 역사에서 영업하며, 2020년 12월에 중앙선 서원주 - 제천역 구간 복선 전철화가 끝나면 신 역사가 완공될 예정이다. 누리로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무궁화호가 심야에 3편성이 주박한다.
역사[편집]
- 1941년 9월 1일 : 중앙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3]
- 1947년 2월 1일 : 5급역으로 승격
- 1955년 12월 31일 : 태백선 개통과 함께 분기역으로 지정
- 1958년 12월 31일 : 충북선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지정
- 1963년 5월 30일 : 4급역으로 승격
- 1971년 9월 30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4]
- 1971년 12월 30일 : 역사신축 준공
- 1974년 5월 11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취소[5]
- 1982년 12월 15일 : 역사 증축 준공
- 2000년 1월 1일 : 지역관리역으로 변경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 조직개편으로 충북지사관할역이 됨
- 2010년 3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개시
- 2010년 5월 : 2010년 9월 16일부터 2010년 10월 16일까지 열린 2010 제천 국제 한방 바이오 엑스포 행사를 앞두고 제천역 앞의 택시 승강장을 길이 20여m, 높이 2.78m, 폭 2.5m 규모의 승강장으로 교체[6]
- 2010년 12월 30일 : 화물 취급 중지[7]
- 2012년 9월 17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종료
- 2013년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 운행 개시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11월 1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5년 1월 22일 : 정선아리랑열차(A-Train) 운행 개시
- 2016년 1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재개
- 2016년 12월 9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종료
- 2017년 11월 24일 : 임시 역사로 이전[8]
- 2018년 3월 23일 : 중앙선 ITX-새마을 운행 재개
-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1281,1282열차 누리로 운행 개시
역 구조[편집]
승강장[편집]

2면 6선의 혼합식 승강장이 있는 역이다. 당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신림(중앙선)/↑삼탄(충북선) |
| 43 | | | 21 | |
단양(중앙선)↓/쌍룡(태백선)↓ |
1·2 | 충북선 | 무궁화호 · 누리로 | 충주 · 청주 · 조치원 · 대전 방면 |
---|---|---|---|
누리로 | 충주 · 청주 · 수원 · 서울 방면 | ||
3 | 중앙선 | ITX-새마을 | 단양 · 풍기 · 영주 방면 |
무궁화호 | 영주 · 안동 · 태화강 · 부전 방면 | ||
영동선 | 중부내륙순환열차 | 단양 · 영주 · 분천 · 철암 방면 | |
태백선 | 무궁화호 | 영월 · 태백 · 동해 · 강릉 방면 | |
정선아리랑열차 | 영월 · 민둥산 · 정선 · 아우라지 방면 | ||
4 | 충북선 · 경부선 | 무궁화호 | 청주 · 대전 · 구미 · 동대구 방면 |
중부내륙순환열차 | 충주 · 오송 · 수원 · 서울 방면 | ||
중앙선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정선아리랑열차 | 원주 · 양평 · 청량리 방면 |
관련 문화[편집]
- 제천역 가락국수가 유명하였다. 제천역에서 충북선-중앙선-태백선 간의 환승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대전역과 같이 빨리 주문하여 빨리 먹을 수 있는 가락국수가 유행하였다.
- 1박 2일 최초의 낙오 사건이 이 역에서 발생하였고, 낙오자는 김종민이었으며, 당시 PD 1명과 카메라맨 2명도 김종민과 함께 이 역에 낙오되었다.
- 영화 불량남녀에서의 두 노인이 택시를 탄 장면에서 이 역이 나온다.
인접한 역[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중앙본선 | ||
---|---|---|
원주 청량리 방면 |
ITX-새마을 중앙선 |
단양 영주 방면 |
신림 청량리 방면 |
무궁화 중앙선 |
단양 부전 방면 |
충북선 · 중앙본선 | ||
삼탄 동대구 방면 |
무궁화 충북선 |
단양 영주 방면 |
충주 서울 방면 |
누리로 충북선 |
시·종착역 |
충주 서울 방면 |
O-train | 단양 철암 방면 |
중앙본선 · 태백본선 | ||
신림 청량리 방면 |
무궁화 태백선 |
쌍룡 강릉 방면 |
원주 청량리 방면 |
A-train | 영월 아우라지 방면 |
각주[편집]
- ↑ 실제로 이 역은 충북선의 역이 아니며 충북선의 종점은 봉양역이다.
- ↑ 제천발 서울행 무궁화 1282열차,철암발 서울행 O-Train 4852열차
- ↑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801호, 1941년 6월 2일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7호, 1971년 9월 9일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23호, 1974년 5월 10일
- ↑ 제천역 “택시 승강장” 새단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와이뉴스》 2010년 5월 22일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987호 , 2010년 12월 27일.
- ↑ 제천역 임시역사 영업 시작, 2017년 11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