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역

팔당
| |
---|---|
역사 | |
![]() 역명판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망우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07 |
좌표 | 북위 37° 32′ 53.78″ 동경 127° 14′ 38.35″ / 북위 37.5482722° 동경 127.2439861° |
개업일 | 1939년 4월 1일 |
역 번호 | K128 |
종별 | 보통역 |
등급 | 3급 |
승강장수 | 2면 4선 |
거리표 | |
중앙본선 | |
청량리 기점 22.9 km | |
|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 |
![]() | |
팔당역 구 역사 | |
지정번호 | 등록문화재 제295호 (2006년 12월 4일 지정)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98-1 외 |
제작시기 | 일제강점기 |
팔당역(八堂驛)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에 있는 중앙선의 전철역이다.
개요[편집]
이 역은 한강을 마주보고 있는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과 가까운 편이여서, 종종 남양주시의 시민들뿐만 아니라 팔당대교를 통하여 하남시 시민들의 수도권 전철 이용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2010년 4월 27일에는 팔당역사 바로 옆에 남양주 역사박물관이 개관하였다.
현재의 역사가 2007년에 완공되어 사용을 개시함에 따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된 팔당역의 옛 역사는 보존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게 승강장에 역사가 설치된 점, 일제 강점기 후반부의 철도 역사 건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점 등이 인정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다만, 옛 역사가 위치한 구 팔당역 구내는 쌍용양회공업 사이로의 화물취급을 위하여 계속 사용되고 있는 관계로 출입문을 잠그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어렵다. 구역사의 선로는 남한강 자전거길의 선로와 연결되나, 구역사 중간에서 열차가 진행할 수 없도록 폐쇄시켜 놓았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동차를 제외한 ITX-새마을, 무궁화호와 같은 일반 열차는 모두 무정차 통과한다. 현재 5호선 팔당역 연장이 논의되고 있다.
역명 유래[편집]
고대전설에 의하면 원시시대에 수목이 울창하고 인가는 전무하였다가 할 시대에 웃마을에는 인가 여덟호(八戶)가 있고, 아래 마을에 인가 여덟호(八戶)가 있어 이를 지칭하여 팔당(八堂)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
역 구조[편집]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상역이다. 곡선 승강장이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 도심 |
| 43 | | 21 | |
운길산 ↓ |
1·2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양수 · 양평 · 용문 · 지평 방면 |
---|---|---|
3·4 | 덕소 · 구리 · 회기 · 문산 방면 |
역 주변[편집]
역사[편집]
- 1939년 4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1]
- 1940년 6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승격[2]
- 1944년 4월 11일 : 보통역으로 승격[3]
- 1977년 5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4]
- 1977년 5월 16일 : 수소화물 취급 중지[5]
- 1991년 3월 15일 : 벌크양회 화물 한 화물취급 지정[6]
- 1991년 4월 1일 : 쌍용양회 팔당공장 전용선 부설
- 1997년 5월 1일 : 전용선 화물 한 화물취급 지정[7]
- 2006년 9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06년 9월 27일 : 팔당역사 근대문화재 지정예고
- 2006년 12월 4일 : 옛 역사 등록문화재로 지정
- 2007년 11월 20일 : 역무실 신 역사로 이전
- 2007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팔당 간) 개통
- 2008년 1월 1일 : 무궁화호 열차 무정차 통과
- 2008년 12월 29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팔당~국수 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됨. 이와 더불어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이용객 변동[편집]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1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미개통 | 934 | 1,331 | 777 | 776 | 800 | 847 | 928 | 983 | [8] | |
하차 | 1,198 | 1,383 | 789 | 807 | 847 | 892 | 970 | 1,017 | ||||
노선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953 | 878 | 1,067 | 1,018 | 1,008 | 915 | 968 | ||||
하차 | 949 | 863 | 1,054 | 1,016 | 1,022 | 942 | 1,011 |
인접한 역[편집]
중앙본선 | ||
---|---|---|
K127 도심 문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완행 |
K129 운길산 용문 방면 지평 방면 |
사진[편집]
구 역사와, 현재도 쓰고 있는 쌍용양회 사일로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