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역 (고양)

![]() 일산선 하행 승강장 | |
![]() 경의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
좌표 |
북위 37° 37′ 51.15″ 동경 126° 48′ 37.92″ / 북위 37.6308750° 동경 126.8105333° |
개업일 | 1996년 1월 30일 |
역 번호 | 3호선 : 314 경의·중앙선 : K322 |
종별 | 관리역(운전간이역) |
등급 | 2급 |
승강장 구조 | 경의본선 : 2면 4선(쌍섬식) 수도권 전철 3호선 : 2면 2선(상대식) |
비고 | 일영역, 장흥역 스탬프 대리 비치역 |
노선 | |
경의본선 | |
서울 기점 18.2 km |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 |
교외선 | |
능곡 기점 1.5 km | |
| |
일산선 | |
지축 기점 11.4 km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
대곡역(大谷驛)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에 있는 일산선, 경의선, 교외선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한국철도물류정보시스템에는 일산선 대곡역이 “3대곡”으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대곡”으로 표기되고 있다. 2021년에는 서해선(대곡-소사선)이 개통될 예정이다.
역명 유래[편집]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大莊洞)과 내곡동(內谷洞)의 경계 지점에 있어 역명 결정 과정에 논란이 일자, 두 동명에서 한 글자씩 조합하여 '대곡'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
연혁[편집]
-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
- 2004년 4월 1일 : 교외선 여객 취급 중단
- 2005년 : 그룹대표역 지정
- 2005년 5월 : 일산선, 교외선 간 환승통로 폐쇄
- 2008년 3월 : 교외선 선로이설과 함께 승강장 철거
-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의 환승역이 되면서 서울 기점이 18.0 km에서 18.2 km로 변경[2]
- 2013년 3월 4일 : 경의선 대곡발 공덕급행 신설
- 2013년 10월 3일 : 경의선 대곡발 공덕급행 주말 및 공휴일로 운행 확대
- 2013년 12월 16일 : 동절기 에너지 절약과 함께 경의선 대곡발 공덕급행 운행중단
- 2014년 3월 1일 : 경의선 대곡발 공덕급행 운행 재개
- 2014년 12월 27일 : 원흥역 개통과 함께 일산선 역번호가 314로 변경됨
- 2015년 12월 22일 : 서해선(대곡-소사선) 착공[3]
- 2021년 : 서해선(대곡-소사선)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의 3개 노선 환승역이 됨 (예정)
역 구조 및 특징[편집]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역으로, 당초부터 일산선 역 신설과 함께 건설되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은 기존 일산선 역에 연결되는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일부를 공유하며, 독자적인 출입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개찰구는 지상2층 일산선 역에 위치하며 지상2층에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과 연결되는 환승 통로가 있다. 승강장은 일산선 역이 지상3층, 경의·중앙선 역이 지상1층에 있으며 향후 서해선(대곡-소사선) 역도 승강장을 공유할 예정이다.
일산선, 경의선, 교외선 등이 교차하나 실제 경의선, 교외선 분기역은 능곡역이고 일산선은 고가로 통과하기 때문에 삼각선 등의 연결 선로가 존재하지 않고,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연계를 목적으로 건설되었고, 전력 공급이 직류로 받기 때문에 한국철도공사 관할 전철화 노선처럼 교류로 전력 공급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호 간 직접적 연계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과거 수도권 전철 개통 이전에는 통근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였는데, 그 당시에는 일산선 대합실에서 경의선 승강장을 잇는 통로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일산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로 대체되었지만, 기존 환승 통로보다 지나치게 우회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3호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백석 ↑ |
2 | | 1 |
↓ 화정 |
1 | ■ 수도권 전철 3호선 | 백석·정발산·주엽·대화 방면 |
---|---|---|
2 | 불광·충무로·옥수·오금 방면 |
경의·중앙선 승강장[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가진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가 있다. 현재 두 노선 승강장에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능곡 |
| 12 | | 34 | |
곡산 ↓ |
1·2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능곡·행신·서울역 방면 |
---|---|---|
3·4 | 곡산·일산·문산 방면 |
역 주변[편집]
사진[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개찰구를 3호선과 경의·중앙선 구분없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어 모든 승차량이 일산선 승차량으로 간주된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681 | 954 | 1,058 | 1,092 | 833 | 881 | 883 | 872 | 882 | 914 | [4] |
하차 | 435 | 482 | 571 | 802 | 648 | 703 | 711 | 703 | 720 | 775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3호선 | 승차 | 843 | 941 | 1,021 | 1,197 | 1,312 | 1,436 | 1,536 | 1,632 | 1,696 | [4] | |
하차 | 647 | 722 | 782 | 919 | 1,004 | 1,102 | 1,169 | 1,237 | 1,303 |
인접한 역[편집]
일산선 | ||
---|---|---|
313 백석 대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3호선 | 315 화정 오금 방면 |
경의본선 | ||
K324 백마 문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급행 서울 급행 |
K320 행신 지평 · 서울 방면 |
K323 곡산 문산 방면 문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앙선 급행 · 경의·중앙선 완행 |
K321 능곡 지평 방면 서울 방면 |
각주[편집]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6-2호, 1996년 1월 26일
-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2009년 6월 18일.
- ↑ 대곡~소사 복선전철 마침내 첫삽, 2020년 개통 국민일보 2015년 12월 22일
-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