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곡역
도곡
| |
---|---|
역명판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 2814 |
좌표 | 북위 37° 29′ 26.99″ 동경 127° 3′ 19.38″ / 북위 37.4908306° 동경 127.0553833° |
개업일 | 1993년 10월 30일 |
역 번호 | 344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
대화 기점 49.0 km | |
|
도곡
| |
---|---|
역명판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수서관리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 2814 |
좌표 | 북위 37° 29′ 26.99″ 동경 127° 3′ 19.38″ / 북위 37.4908306° 동경 127.0553833° |
개업일 | 2003년 9월 3일 |
역 번호 | K217 |
종별 | 배치간이역 |
승강장수 | 1면 2선(섬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분당선) | |
청량리 기점 10.8 km | |
|
도곡역(Dogok station, 道谷驛)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양재천 하저터널로 구룡역과 연결된다.
역사[편집]
- 1993년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3년 9월 3일 : 분당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8.4km로 변경
역 구조[편집]
3호선 승강장[편집]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본선 선로 중간이 많이 벌어져 있는데 그 이유는 대치역 방향에 있는 유치선(회차선) 때문이며, 이 유치선의 영향으로 대치역이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이 유치선은 비상시나 임시열차들이 사용한다. 3호선의 막차 편성 중 1개 편성이 이 역에서 종착한다.
- 매일 이 역에서 출발하는 도곡 시발 열차가 있고 이 역에서 종착하는 도곡 종착 열차가 있으나 두 열차 모두 수서차량사업소~이 역간 공차회송을 하고 회차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 승강장 끝쪽은 폐쇄형 상대식 승강장 구조여서 반대편을 볼 수 없다.
매봉 ↑ |
하 | | 상 |
↓ 대치 |
상행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양재 · 교대 · 고속터미널 · 옥수 · 약수 · 충무로 · 구파발 · 대화 방면 |
---|---|---|
하행 | 대치 · 학여울 · 일원 · 수서 · 경찰병원 · 오금 방면 |
수인분당선 승강장[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한티 |
| 21 | |
구룡 ↓ |
1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구룡 · 서현 · 기흥 · 수원 · 인천 방면 |
---|---|---|
2 | 한티 · 선릉 · 선정릉 · 왕십리 방면 |
역 주변[편집]
- 서울대치초등학교
- 서울대도초등학교
-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 숙명여자중·고등학교
- 대치1동행정복지센터
- 대청중학교
- 늘벗공원
- 양재천
- 삼성 타워팰리스
- 군인공제회관
- 아카데미 스위트
- 그랑프리엔 상가
- 대림 아크로빌
사건·사고[편집]
2014년 5월 28일 오전 10시 54분경에 매봉역에서 도곡역 방향으로 운행하던 서울 지하철 3호선 전동차에서 70대 남성이 방화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이 전동차에는 약 370여 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으나 다행히도 전동차가 역내에 진입한 순간에 불이 발생하여 역무원의 빠른 대처로 승객들이 모두 대피하였고 초기 진화에 성공하여 불은 6분만에 진화되었다. 부상자는 대피 중 발목을 삔 1명을 빼고는 발생하지 않았다.[1]
한편 방화범 조모씨는 방화과정 중 화상을 입고 달아나다가 인근 화상전문병원에서 피해자인 척 하면서 치료받다가 30분 만에 목격자의 진술을 토대로 수색을 벌이던 경찰에게 검거되었다. 경찰 조사과정에서 방화범 조씨는 "15년전 운영하던 업소의 정화조가 넘쳐 피해를 입었으며, 소송과 민원 등을 통해 보상을 받긴 했으나 기대에 못 미치는 금액이라 불을 질러 자살해 억울함을 호소하려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2]
이용객 변동[편집]
분당선의 2003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3년 9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20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8,483 | 9,788 | 9,615 | 10,206 | 8,733 | 9,088 | 9,710 | 9,563 | 9,169 | 9,178 | [3] | |||
하차 | 7,989 | 9,374 | 9,425 | 9,968 | 8,011 | 8,148 | 8,642 | 8,508 | 8,104 | 8,141 | |||||
승하차 | 16,471 | 19,162 | 19,040 | 20,174 | 16,744 | 17,235 | 18,353 | 18,070 | 17,273 | 17,319 | |||||
분당선 | 승차 | 미개통 | 1,142 | 3,330 | 3,952 | 4,069 | 3,990 | 3,921 | 3,945 | [4] | |||||
하차 | 1,101 | 3,022 | 3,931 | 4,058 | 4,067 | 4,108 | 4,140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3호선 | 승차 | 9,917 | 10,105 | 9,186 | 8,491 | 8,112 | 7,372 | 7,129 | 6,753 | 6,106 | [3] | ||||
하차 | 8,974 | 9,342 | 8,517 | 7,871 | 6,527 | 6,787 | 6,732 | 6,468 | 6,006 | ||||||
승하차 | 18,891 | 19,447 | 17,703 | 16,362 | 14,639 | 14,159 | 13,861 | 13,221 | 12,112 | ||||||
분당선 | 승차 | 3,757 | 3,574 | 3,815 | 6,321 | 6,606 | 6,671 | 6,992 | 7,026 | 6,912 | 7,022 | 5,214 | 5,333 | 6,351 | [4] |
하차 | 3,958 | 3,746 | 3,948 | 6,467 | 7,091 | 6,815 | 7,102 | 7,082 | 6,851 | 6,927 | 5,175 | 5,397 | 6,152 |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3호선 | ||
---|---|---|
343 매봉 대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3호선 |
345 대치 오금 방면 |
분당선 | ||
K216 한티 왕십리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분당선 급행 |
K218 구룡 고색 방면 인천 방면 |
사진[편집]
각주[편집]
- ↑ 도곡역 전동차 화재, “60대 남성 시너 뿌리고 불붙였다”목격자 진술, 동아일보, 2014년 5월 28일 작성.
- ↑ 도곡역 화재, 용의자 병원서 치료중 검거… "자살로 억울함 호소하려 했다" , 경인일보, 2014년 5월 28일 작성.
-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가 나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4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