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재역
원인재
(인천힘찬병원) | |
---|---|
![]() 역명판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인천교통공사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지하285 |
좌표 | 북위 37° 24′ 44.66″ 동경 126° 41′ 16.46″ / 북위 37.4124056° 동경 126.6879056° |
개업일 | 1999년 10월 6일 |
역 번호 | I130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계양 기점 20.8 km | |
|
원인재
| |
---|---|
![]() 오이도역 방면 역명판 (수인선3단계 개통 전) | |
![]()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송도관리역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벚꽃로 195 |
개업일 | 2012년 6월 30일 |
역 번호 | K265 |
종별 | 배치간이역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거리표 | |
수인선 | |
청량리 기점 96.5 km | |
|
원인재역(Woninjae station, 源仁齋驛)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2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이다. 인천 1호선의 부기역명은 인천힘찬병원이지만, 인천힘찬병원은 연수역과 더 가깝다. 인근에 인천 이씨 중시조 이허겸의 묘역인 원인재가 있다.
역사[편집]
- 일자 불명 : 승기역(承基驛)으로 영업 개시
- 1994년 3월 19일 : 남인천역(南仁川驛)으로 역명 결정[1]
- 1999년 10월 6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
- 2012년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 ~ 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3]
- 2014년 3월 5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른 기점 및 거리 수정.[4]
- 2020년 9월 12일 : 수원 - 오이도 구간 개통으로 분당선과 직결운행
-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역번호가 K265으로 변경
역 구조[편집]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인천1호선의 경우 수인선 개통에 대비하여 설계했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천 1호선 승강장[편집]
신연수 ↑ |
하 | | 상 |
↓ 동춘 |
상행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터미널 · 인천시청 · 부평 · 계양 방면 |
---|---|---|
하행 | 캠퍼스타운 · 인천대입구 · 국제업무지구 ·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수인분당선 승강장[편집]
↑ 남동인더스파크 |
2 | | 1 |
연수 ↓ |
1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연수 · 송도 · 인하대 · 인천 방면 |
---|---|---|
2 | 남동인더스파크 · 수원 · 왕십리 방면 |
역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수인선의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6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인천1호선 | 승차 | 6,325 | 5,982 | 5,797 | 6,176 | 5,782 | 5,633 | 5,680 | 6,018 | 6,018 | 5,262 | [5] | |
하차 | 5,834 | 5,516 | 5,394 | 5,784 | 5,451 | 5,340 | 5,417 | 5,801 | 5,858 | 5,009 | |||
승하차 | 12,159 | 11,529 | 11,190 | 11,960 | 11,232 | 10,973 | 11,097 | 11,818 | 11,877 | 10,271 | |||
수인선 | 승차 | 미개통 | 1,300 | [6] | |||||||||
하차 | 1,142 | ||||||||||||
노선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인천1호선 | 승차 | 3,935 | 3,871 | 3,528 | 3,199 | 3,078 | |||||||
하차 | 3,651 | 3,600 | 3,244 | 2,881 | 2,706 | ||||||||
승하차 | 7,585 | 7,471 | 6,772 | 6,080 | 5,784 | ||||||||
수인선 | 승차 | 1,540 | 1,782 | 2,339 | 2,506 | 2,430 | 2,416 | 1,856 | 2,096 | 2,258 | |||
하차 | 1,380 | 1,624 | 2,083 | 2,209 | 2,165 | 2,146 | 1,665 | 1,903 | 2,044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
I129 신연수 계양 방면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I131 동춘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수인선 | ||
K264 남동인더스파크 왕십리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
K266 연수 인천 방면 |
K262 인천논현 오이도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급행 |
K266 연수 인천 방면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인천직할시고시 제94-35호, 1994년 3월 19일.
-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공고 제1999-54호, 1999년 10월 4일.
-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7호 (2012.06.22)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2020.5.29)
- ↑ “인천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일반 자료실”. 2016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4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