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역

계양
| |
---|---|
역사 | |
![]() 승강장(유치선 방면)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인천교통공사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
좌표 | 북위 37° 34′ 17″ 동경 126° 44′ 11″ / 북위 37.57139° 동경 126.73639° |
개업일 | 2007년 3월 16일 |
역 번호 | I110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계양 기점 0.0 km | |
| |
|
계양
| |
---|---|
![]() 승강장(서울역 방면) | |
![]() 스크린도어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공항철도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
좌표 | 북위 37° 34′ 17″ 동경 126° 44′ 11″ / 북위 37.57139° 동경 126.73639° |
개업일 | 2007년 3월 23일 |
역 번호 | A06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인천국제공항철도 | |
서울역 기점 27.0 km | |
|
계양역(桂陽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인천교통공사와 공항철도의 전철역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간의 환승역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굴포천 하저터널로 김포공항역과 연결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이 역부터 운서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이 역부터 귤현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심야에 4편성이 주박한다.
구조[편집]
인천교통공사의 역과 공항철도의 역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인천교통공사의 역만이 도로에 접한다. 공항철도의 역에 독립된 출입구는 없으며, 인천교통공사 역에 있는 주출입구 1개를 공유한다. 양 역사 모두 지상 2층으로, 지상 1층에 맞이방과 역무실, 개찰구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승강장은 지상 2층에 있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노선간 환승에는 지상 1층의 환승통로를 이용한다. 개통 초기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수도권 전철과 별개의 운임 체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각 역의 개찰구를 통해 운임 지역 밖으로 나간 뒤 다시 환승하고자 하는 노선의 개찰구를 지나야 했으며, 운임 또한 완전히 별도로 계산되었다. 이후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서울역-청라국제도시 구간에 한하여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도입하게 됨에 따라, 기존에 두 역을 잇던 통로를 확장하고, 운임 지역을 구분하는 펜스를 설치하며 개찰구를 이전하는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2010년 12월 29일부터 추가 운임 없는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한쪽은 계양 종착 열차가, 다른 한쪽은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열차가 사용한다. 역 서쪽에는 4편성 규모의 유치선이 있어 회차나 주박에 사용된다. 인근의 귤현차량사업소와 직접 연결되는 선로는 없다. 승강장 벽면에는 계양산성을 형상화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2020년 11월 11일에 계양-검단을 연결하는 검단연장선이 착공됐으며, 향후 경인아라뱃길 하저통과를 위해 32‰의 하구배가 현 본선과 연결된 유치선의 연장선에 생길 예정이다. 인천1호선 검단연장선 기본계획 변경 문서에 의하면, 본 역과 101역간거리는 4.052km로, 현재 본 노선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긴 동막-캠퍼스타운(1.67km)보다 두 배 이상 길다.
시·종착역 |
하 | | 상 |
↓귤현 |
상행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당역 종착 |
---|---|---|
하행 | 부평구청 · 인천시청 · 원인재 ·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김포공항 |
2 | | 1 |
검암↓ |
1 | ● 인천국제공항철도 | 검암 · 운서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
2 | 김포공항 · 홍대입구 · 공덕 · 서울역 방면 |
역사[편집]
- 1994년 3월 19일: 계양역으로 역명 결정[1]
- 2007년 3월 1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 ~ 계양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7년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구간 개통
-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역 개찰구 이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간 개찰 내 환승 통로 개통
- 2021년 10월 22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방면 승강장 확장 완료
- 2024년 12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신도시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예정, 시·종착 기능 폐지예정
역 주변[편집]
역 앞에는 환승 주차장과 버스 정류장이 있다. 역 주변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대개 논·밭이나 임야이다. 인근 주거 지역과는 주로 버스를 통해 연결된다.
이용객 변동[편집]
인천1호선의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3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291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3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2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인천1호선 | 승차 | 3,215 | 4,047 | 4,641 | 5,946 | 2,676 | 2,952 | 3,647 | 3,834 | 3,640 | 3,305 | 2,857 | [2] |
하차 | 2,995 | 3,782 | 4,395 | 5,685 | 2,569 | 3,000 | 3,703 | 3,804 | 3,509 | 3,264 | 2,795 | ||
승하차 | 6,210 | 7,829 | 9,036 | 11,631 | 5,245 | 5,952 | 7,350 | 7,638 | 7,148 | 6,569 | 5,652 | ||
공항철도 | 승차 | 2,057 | 3,335 | 4,102 | 5,708 | 10,428 | 23,364 | 26,954 | 29,232 | [3] | |||
하차 | 1,964 | 3,194 | 4,036 | 5,426 | 10,202 | 22,835 | 26,194 | 28,533 |
인접한 역[편집]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
시·종착역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I111 귤현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인천국제공항선 | ||
A05 김포공항 서울역 방면 |
● 인천국제공항철도 | A07 검암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인천직할시고시 제94-35호, 1994년 3월 19일.
- ↑ “인천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일반 자료실”. 2016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