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버스(영어: bus, 문화어: 뻐스)는 많은 사람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운송 수단으로, 운전사가 각 버스마다 배치되어 운행한다. 버스는 많으면 30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1]
목차
용어[편집]
"버스"라는 용어는 라틴어 낱말 ‘옴니버스’의 줄임말이다. 1819~1820년 파리에서 "모두를 위한 마차"의 뜻을 가진 (voiture) omnibus가 등장하였고, 영국 런던에서는 1829년 등장하였다.[2]
역사[편집]
버스의 역사는 종류에 따라 다르다. 한국에는 1920년대 대구에서 처음 운행되었다고 한다.[3]
증기 버스[편집]

증기로 움직이는 일반적인 도시 간 버스 서비스는 1830년대 영국에서 골드워시 거니 등과 함께 월터 핸코크가 개척하였다.
트롤리 버스[편집]
버스의 발전과 병행하여 전기 트롤리 버스가 발명되었으며 보통 가공 전차선에 의해 트롤리 폴을 통해 움직인다. 잉글랜드의 윌리엄과 독일의 에른스트 베르너가 트롤리버스 개념을 발전시키는 일에 협업했다.
최초의 차량 일렉트로모트(Electromote)가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에 의해 개발되었고 1882년 독일 할렌제에 대중에게 제공되었다.[4]
전동 버스[편집]
독일 Siegerland에서 2인용 버스 노선이 단기간 운영되었고 1895년 6인용 전동 차량이 1893년 벤츠 빅토리아에서 개발되었다.[5]
종류[편집]
- 대형 버스 : 주로 시외버스나 시내버스용으로 사용된다. 자가용이나 전세버스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 중형 버스 : '미디버스'라고도 부른다. 주로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용으로 사용된다.
- 준중형 버스 : '미니버스' 또는 '마이크로버스'라고도 부른다.
- 소형 버스 : 대한민국에서는 단순히 '승합차'로 불리는 버스이며, 화물적재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밴'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봉고차', '봉고'[6]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생산되는 차종으로 현대 스타렉스가 있다.
- 경형 버스 : 대한민국에서는 단순히 '승합차'로 불리는 버스보다 낮은 등급의 차량이다. 차종은 경차이지만, 버스의 형태로 만들어졌다고 하여 경형 버스라고 한다. 현재 한국GM 다마스만 생산되고 있으나, 기아 타우너도 예전에 생산되었던 적이 있다.
- 버럭 : 버스와 트럭의 합성어로 본래 트럭이었던 차량을 버스로 개조한 차량이며, 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사업용으로도 쓰인다.
법률상 구분[편집]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에서 버스는 법률상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로 불리며,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 제2조에 따라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로 구별한다. 이 중에서 승합자동차는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로 규정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자동차도 승차인원에 관계없이 승합자동차로 규정하고 있다.
- 내부의 특수한 설비로 인하여 승차인원이 10인 이하로 된 자동차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형자동차로서 승차인원이 10인 이하인 전방조종자동차
- 캠핑용 자동차 또는 캠핑용 트레일러
세분화 기준은 엔진 배기량, 길이와 승차정원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세분화한다.
차종 | 분류 기준 |
---|---|
경승합자동차 | 배기량 1,000㏄미만으로서 길이 3.6m·너비 1.6m·높이 2.0m 이하인 것 |
소형승합자동차 | 승차정원이 15인 이하인 것으로서 길이 4.7m·너비 1.7m·높이 2.0m 이하인 것 |
중형승합자동차 | 승차정원이 16인 이상 35인 이하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여 길이가 9m 미만인 것 |
대형승합자동차 | 승차정원이 36인 이상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여 길이가 9m 이상인 것 |
소형승합자동차의 경우, 본래 11인승 이상으로 분류되었으나, 1997년 12월에 IMF 사건으로 인해 세제혜택의 범위를 확대하면서 7인승 이상으로 바뀌었다. IMF사건이 종료된 2001년부터는 소형승합차 분류가 11인승 이상으로 환원되었다.
또 승합자동차의 유형별 기준은 아래와 같다.
- 일반형 : 주 목적이 여객운송용인 것
- 특수형 : 특정한 용도(장의ㆍ헌혈ㆍ구급ㆍ보도ㆍ캠핑 등)에 사용되는 것
버스 서비스[편집]
![]() |
대한민국[편집]
버스 서비스의 종류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규정되어 있다. 다음 버스 서비스의 분류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규정된 버스 면허의 종류이다.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 금지[편집]
서울시는 '서울시 시내버스 재정지원 및 안전운행기준 조례'를 개정하면서 서울시 시내버스 내에 음식물 반입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커피 뿐 아니라 아이스크림, 떡볶이, 햄버거 등 포장구매한 음식들을 가지고 버스를 탈 수 없게 된 이 규칙이 시행된 것은 실제론 2018년 1월 4일부터 “버스 기사는 음식물이 담긴 포장 컵 또는 불결·악취 물품의 운송을 거부할 수 있다”는 ‘서울시 시내버스 재정지원 및 안전 운행기준에 관한 조례’가 시행되면서부터다. 그러나 아직도 이 새로운 규칙이 잘 알려지지 않고 승객과 버스 기사들의 실랑이가 끊이지 않아 결국 2018년 4월부터안내문을 붙이고 대대적인 홍보에 나선 것이다.[8]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China's longest bus unveiled in Shanghai”. Jongo.com. 2007년 3월 15일. 2011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Omnibus (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한국 첫 시내버스는 대구서 운행 조선일보, 2007년 9월 19일
- ↑ Elektromote, Siemens History website. Retrieved 2011-08-28
- ↑ Eckermann, Erik (2001), 《World History of the Automobile》, SAE, 67–68쪽, ISBN 9780768008005, 2013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기아자동차의 상표인 봉고에서 유래되었으며,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언어이다.
- ↑ 농어촌버스에서 좌석형 노선은 몇 없으며 많이 있지도 않다.
- ↑ “커피 들고 서울시내버스 못탄다…음식물 반입 금지”.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버스 | ||
---|---|---|
형태 | ![]() | |
체계 |
대중교통 | |
---|---|
버스 교통 | |
철도 교통 | |
노상교통 | |
카풀 | |
해운·수운 | |
기타 교통수단 | |
교통상의 지점 | |
입장권 및 운임 | |
시설 | |
스케줄링 | |
그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