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 버스
2층 버스(영어: double-decker bus)는 일반적인 단층의 버스와는 달리 복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버스로서, 많은 사람을 실어 나를 때 사용된다. 2층 버스가 많은 나라로 영국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외의 여러 국가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장·단점[편집]
많은 사람을 수송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굴절버스하고 비슷하며, 탑승 가능 인원이 동일한 경우를 기준으로 굴절 버스에 비해 차량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2층에서의 승하차 승객 동선이 길어지고 차량의 높은 높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게 설치된 도로 시설물의 통과가 어려워 운행 지장을 많이 받게 되는 큰 단점이 있다.
운행 사례[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동아시아+영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2년 3월) |
영국[편집]
red London bus 즉, 루트마스터 버스를 운행 중이다.
대한민국[편집]
- 서울특별시에서 1991년 9월 30일부터 서울시청 ~ 과천 간 노선에 승차인원 90명 수준의 2층 버스를 3대 투입하여 시험 운행하였으나, 차량의 높이가 도로 시설물들의 높이제한보다 높아 정식 운행은 성사되지 못하였다.[1]
- 2011년 경기도에서 '2층 버스' 시범운행을 했지만 사실상 어려움이 많고 그중 버스 가격이 높아서 해외에서 생산하는 2층 버스는 대당 7억원으로, 국내 기존 버스 1억6000만원의 4배를 넘는다. 국내 생산을 해야 가격을 낮출 수 있는데 제조업체 측은 일정량 이상의 수요와 정부지원을 기대하고 있다.[3]
- 볼보버스의 B8RLE 섀시를 기반으로 한 2층 버스를 출고하여 2015년 10월 22일부터 8601번을 시작으로 정식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또한 일부는 만트럭버스코리아에서 출고해서 정식 운행을 시작하였다.
- 현대자동차의 일렉시티 더블데커 2층 전기버스를 출고하여 2021년 4월 26일부터 M6450번에 투입되었다.
홍콩[편집]
홍콩에도 영국의 영향을 받아 오래 전부터 2층 버스가 이미 운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홍콩은 국토가 협소한 지형 특성상 2층 버스가 홍콩 시민들의 발 역할을 하는 버스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홍콩에서는 모든 운수회사에서 2층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홍콩의 버스 문서를 참고.
사진[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2층버스 시범운행 시작, 《동아일보》 1991년 9월 30일 (네이버 디지털 뉴스 어카이브)
- ↑ 부산시티투어, Open-Top 2층버스 운행, 《HNN 어니스트뉴스》, 2011년 9월 17일 확인.
- ↑ 경기도 '2층 버스' 시범운행…승차감·안전성은?, 《SBS》, 2011년 9월 17일 확인.
- ↑ “경기도 2층버스, 15~19일 김포~서울역구간 시범운행 : 뉴스 : 동아닷컴”. 2014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