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심야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야버스(深夜bus)는 주로 심야 시간대에 운행되는 버스다.

대한민국

[편집]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지의 일부 지역에서 시내버스의 형태로 운영중이다. 또한 시외버스(또는 고속버스)의 형태로는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광역 교통편으로 운행중이다. 다만 수도권은 이음1, 반디1, 반디1-1, 반디2, 이음2, 33, 33-1, 500-1A번 심야버스와 부산의 경우는 심야 141, 183, 1000, 1002, 1004번은 주간노선과 심야노선 경로가 완전히 다른 게 특이사항이다.

2011년 8월 1일부터 전라남도 화순군에 화순읍내로 가는 심야버스를 신설하였다.[1]

2013년 4월부터 서울특별시에 심야전용버스 N26번과 N37번을 시범 운행하였으며, 반응이 좋자, 그 뒤에 노선을 추가로 신설하였다. 해당 노선은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다.[2] 2017년까지 약 4년동안 서울시 올빼미버스를 이용한 이용객은 11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3]이는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사례로 꼽힌다. 서울시 올빼미버스의 인기에 힘입어 2017년 서울시는 우크라이나에 올빼미버스의 노하우를 전수하기로 결정했다.[4]

연번 업체명 노선번호 기~종점 운행대수 운행거리 배차간격
1 흥안운수, 한국BRT N13 상계7단지 ~ 송파공영차고지 8대 74.5km 25~30분
2 동아운수, 우신운수 N15 우이동 ~ 사당역(남태령역) 8대 76.0km 30분
3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 양천운수 N16 도봉산역 광역환승센터 ~ 온수동 8대 76.1km 25~30분
4 메트로버스, 다모아자동차 N26 개화역 광역환승센터 ~ 중랑공영차고지 8대 72.3km 30~35분
5 서울승합 N30 강동공영차고지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4대 45.5km 30~35분
13 선진운수 , 한국BRT N73 구산동차고지~ 송파공영차고지 8대 76.0km 25~30분
6 대원여객 , 대진여객 N31 강동공영차고지 ~ 국민대 8대 73.7km 25~30분
7 한국BRT, 제일여객 N37 송파공영차고지 ~ 진관공영차고지 8대 69.0km 25분
8 범일운수, 한성여객 N51 시흥동 ~ 하계동 8대 77.4km 25~30분
9 관악교통, 삼화상운 , 영인운수 N61 양천공영차고지 ~ 상계7단지 12대 90.0km 15~30분
10 도원교통, 경성여객 N62 양천공영차고지 ~ 면목8동 8대 72.3km 30분
11 공항버스, 삼성여객 N64 개화역 광역환승센터 ~ 염곡동 8대 70.3km 30분
12 보광교통 , 유성운수 , 북부운수 N72 은평공영차고지 ~ 중랑공영차고지 9대 70.4km
14 제일여객 , 한남여객 N75 진관공영차고지 ~ 서림동 8대 88.2km 25분

일본

[편집]
일본의 심야버스

일본에서는 심야 급행 버스와 심야 중거리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중국·홍콩

[편집]
홍콩의 심야버스 N680번


각주

[편집]
  1. “<광주∼화순간 심야 셔틀버스 운행>, newsis, (2011년 7월 24일)”. 2014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2. “심야 전용 시내버스(올빼미버스) 운행”. 2017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3. 헤럴드경제 (2017년 9월 21일). “‘열일’한 올빼미 버스…4년간 1,100만 명 실어날랐다”.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4. 박초롱 (2017년 6월 5일). “우크라이나 키예프, 서울 '올빼미버스' 노하우 배운다”. 《연합뉴스》.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