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대우 레스타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6년 12월) |
차종 | 소형버스 |
---|---|
제조사 | 자일대우상용차 |
별칭 | LB |
생산년도 | 2012년 9월 19일 ~ |
조립 | ![]() |
차체형식 | 후륜구동 |
차대 | 프레임 |
엔진 | MWM 엔진(160ps), ISF엔진(170ps) |
변속기 | 수동 |
축간거리 | 장축-4,100mm / 단축-3,365mm |
전장 | 장축-7,180mm / 단축-6,445mm |
전폭 | 2,040mm |
전고 | 2,820mm |
연료 | 디젤 |
자일대우 레스타(Daewoo Lestar)는 자일대우상용차에서 독자 개발하여 시판하는 소형버스 차종이다.
1세대 (LB)[편집]
레스타(2012년 9월 19일~)[편집]
자일대우상용차는 2007년부터 현대 카운티의 경쟁 모델로 소형버스 시장 진출을 위한 독자 차종을 개발하였으며, 2012년 부산모터쇼에서 처음 공개한 뒤 출시하였다. 레스타의 출시 전까지 17~25인승급 소형버스는 현대자동차에서 e-카운티 차종을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판매, 독점 시장을 구축해왔고, 레스타의 출시에 따라 학원 및 교회, 음식점 (혹은 식당), 어린이집, 회사, 학교, 관공서 등 개인사업자나 쇼핑센터는 물론, 마을버스나 농어촌버스에서의 차종 선택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경쟁 모델인 현대 카운티에 없는 15인승도 역시 소형버스인 이 차량에서 시판을 하고 있다. 처음 출시하면서 데킹공법과 전착도장 공법을 적용한 바 있다.
엔진은 장축에 커민스 ISF 3.8 (170마력 / 67kg.m)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 단축에는 나비스타 맥스포스 엔진 160마력이 기본 적용되었지만 2015년부터 유로6 규제가 적용되면서 커민스 ISF 엔진이 전모델 기본 탑재된다.
레스타 1호차는 두리관광에서 처음으로 출고하였으며, 마을버스는 최초 출고 업체로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화성창운여객이 최초로 출고되었다. 카운티의 독점 체제가 깨지면서 판매량 역시 전세 역전되었다. 2013년 10월 1일부터 리무진 모델과 투어 모델이 추가되고, 그라마 시트를 선택사양으로 하는 2014년형을 시판하고 있다. 다만 카운티와는 달리 휠캡이 기본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2015년부터는 자동변속기도 선택사양에 포함되었다. 시외버스는 드물게 경산버스에서 동대구~울산 노선에 투입되기도 한다. 차량은 네이버 블로그에 따르면 중문 슬라이딩형 도어로 장착되어 있어 자가용 또는 관광버스 출신 차량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사진[편집]
운용 업체[편집]
- 서울특별시 - 합성마을버스, 미금운수 (구이삭운수), 화인운수, 서초교통, 약수교통, 봉현운수, 광일운수, 수빈운수, 미향운수, 수유운수, 승마교통, 개웅운수, 석계운수, 광장운수, 은수교통, 신호운수
- 인천광역시 - 해성운수
- 부산광역시 - 태영교통, 성진버스, 부산여객, 부영버스, 세성교통
- 울산광역시 - 무거교통, 울남지선버스, 울남마을버스, 동구운수
- 경기도 - 강남여객, 화성창운여객, 진안운수, 서경마을버스, 남정여객, 대원고속, 대원운수, 동백교통, 부광여객, 청우운수, 일상교통, 성남마을버스, 뉴시티, 신암운수, 현성교통, 자경마을버스, 대양운수, 신일여객, 진명여객, 매봉여객, 태화상운, 녹색교통, 오산교통, 수성교통, 고촌교통, 신안운수, 경기고속, 화영운수, 미금마을버스
- 강원도 - 제일여객, 현대운수, 태흥운수, 산천어운수
- 충청북도 - 신흥운수. 옥천버스, 한성운수
- 충청남도 - 새천안교통, 당진여객, 대천여객, 덕성여객, 부여여객, 청양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공주교통, 태안여객, 서령버스
- 경상북도 - 경산버스, 김천버스, 경일교통
- 경상남도 - 세원, 김해BUS, 산청교통, 동양교통, 거창고속, 웅진교통, 서흥여객, 함양지리산고속
경쟁 차종[편집]
- 선롱버스 - 선롱 듀에고
- 토요타 - 토요타 코스터
- 미쓰비시후소트럭 버스 - 미쓰비시후소 로자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 닛산 자동차 - 닛산 시빌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