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서해선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
![]() 서해선 광역전철을 달리는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간선철도, 광역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 |
상태 | 소사-원시 : 운행중 대곡-소사 : 공사중 |
기점 | 소사역 (경기도 부천시) |
종점 | 원시역 (경기도 안산시) |
역 수 | 12 |
개통일 | 2018년 6월 16일(소사~원시)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서해철도, 이레일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23.4 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수 | 2(쌍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
신호 방식 | ATP, ATS |
영업 최고 속도 | 11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20 km/h |
수도권 전철 서해선(首都圈 電鐵 西海線)는 서해선의 일부 구간인 경기도 부천시 소사역과 안산시 원시역을 운행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다. 열차 운행은 한국철도공사가 담당하지만, 소사-원시선의 역무 업무는 민간 업체인 서해철도에서 위탁 관리하고, 치안 서비스는 국토교통부 산하의 서울지방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한다.
소사역 이후 구간은 대곡-소사선과, 원시역 이후 구간은 서화성남양역까지 광역철도를 운행할 예정이다. 그 밖에 간선철도·화물열차도 운행된다. 신현 - 시흥시청 구간은 지상으로, 그 외 구간은 지하며, 안산선과의 연결 선로가 설치되었다. 또한 신현 - 시흥시청 구간 사이에는 가칭 하중역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시흥시청 - 원시 구간은 신안산선과 노선을 공용한다.
안내에 사용되는 노선 색상은 ●연두색이다.
연혁[편집]
- 2011년 4월 22일: 착공
- 2013년 10월 21일: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 및 역명 결정[1]
- 2017년 9월 4일: 시설물 검증 위한 시운전 실시
- 2017년 9월 5일: 서울교통공사, 이레일간의 소사-원시 복선전철 관리운영계약 체결[2]
- 2018년 1월 12일: 서울교통공사 자회사 소사원시선운영 설립[3]
- 2018년 4월 6일: 철도거리표 고시 및 소새울역, 시흥대야역, 시흥능곡역, 달미역, 초지역 역명 변경[4]
- 2018년 6월 16일: 개통[5]
-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21로 변경[6]
- 2020년 11월 6일: 서해선(홍성~송산)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7]
- 2020년 11월 24일: 원곡역의 역명을 시우역으로 변경[8]
- 2021년 11월 14일: 대곡-소사선 김포공항역 ~ 능곡역 간 한강하저 터널 개통[9]
역 목록[편집]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노선색으로 표시된 구간(일산-능곡)은 경의선과 선로를 공유할 예정이다.
노선 |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경의선 | S07 | 일산 | Ilsan | 一山 | 경기도 | 고양시 | ||||
S08 | 풍산 | Pungsan | 楓山 | |||||||
S09 | 백마 | Baengma | 白馬 | |||||||
S10 | 곡산 | Goksan | 谷山 | |||||||
S11 | 대곡 | Daegok | 大谷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S12 | 능곡 | Neunggok | 陵谷 | |||||||
서해선 | S13 | 김포공항 | Gimpo Int'l Airport | 金浦空港 | ● 수도권 전철 5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 도시철도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
S14 | 원종 | Wonjong | 遠宗 | 경기도 | 부천시 | |||||
S15 | 부천종합운동장 | Bucheon Stadium | 富川綜合運動場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S16 | 소사 | Sosa | 素砂 | 0.6 | 0.6 |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S17 | 소새울 | Sosaeul | - | 1.7 | 2.3 | |||||
S18 | 시흥대야 | Siheung Daeya | 始興大也 | 2.1 | 4.4 | 시흥시 | ||||
S19 | 신천 | Sincheon | 新川 | 1.4 | 5.8 | |||||
S20 | 신현 | Sinhyeon | 新峴 | 3.3 | 9.1 | |||||
S22 | 시흥시청 | Siheung City Hall | 始興市廳 | 3.6 | 12.7 | |||||
S23 | 시흥능곡 | Siheung Neunggok | 始興陵谷 | 1.3 | 14.0 | |||||
S24 | 달미 | Dalmi | - | 2.4 | 16.4 | 안산시 | ||||
S25 | 선부 | Seonbu | 仙府 | 1.6 | 18.0 | |||||
S26 | 초지 | Choji | 草芝 | 1.7 | 19.7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S27 | 시우 | Siu | 時雨 | 1.4 | 21.1 | |||||
S28 | 원시 | Wonsi | 元時 | 1.5 | 22.6 |
논란[편집]
소사원시선 선정 과정에서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940.48점으로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의 936.9점을 근소하게 제쳤으나, 대우건설이 0점 처리 되어야 하였던 항목에서 19.71점을 얻는 등의 문제가 드러나고 이 과정에서 뇌물을 주었다는 의혹이 나왔다. 재판은 2011년 무혐의로 종결되었으나 대우건설이 8천만 원을 건넨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10] 한편 이 사업의 선정 과정에 국가정보원장 원세훈이 관여했다는 제보도 나왔다.[11]
각주[편집]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15호, 2013년 10월 21일.
- ↑ 박초롱 (2017년 9월 5일). “소사∼원시 복선전철, 서울교통공사가 20년간 운영”. 연합뉴스. 2018년 4월 6일에 확인함.
- ↑ 소사원시선운영 회사소개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07호, 2018년 4월 6일.
- ↑ 교통정책과 철도팀 (2018년 2월 1일). “소사-원시 복선전철 올해 6월 개통”. 《미디어시흥》. 2018년 4월 6일에 확인함.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 ↑ 국토교통부장관 (2020년 11월 6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781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대한민국관보 제19871호. 17쪽. 2020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국토교통부장관 (2020년 11월 24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35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대한민국관보 제19883호. 155-157쪽.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고양 대곡~소사선 전철 최대 난공사 ‘한강하저 터널’ 개통 출처: 경기일보
- ↑ 무혐의 사건이 1년 뒤 대구지검서 뇌물죄로, 한겨레 11면, 2013년 1월 11일
- ↑ 정영철·김수영 ,1조 5천억원 국책사업에 '원세훈 개입' 의혹 검찰, 공무원 진술받고도 수사 안해, 노컷뉴스, 2013년 6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