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역

삼성
(무역센터) | |
---|---|
![]() 역명판 |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지하538 |
좌표 | 북위 37° 30′ 31.48″ 동경 127° 3′ 48.67″ / 북위 37.5087444° 동경 127.0635194° |
개업일 | 1982년 12월 23일 |
역 번호 | 219 |
승강장수 | 1면 2선 (섬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시청 기점 18.5 km | |
|
삼성(무역센터)역 (Samseong(World Trade Center Seoul) station, 三成(貿易센터)驛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전철역이다. 무역센터는 서울특별시 고시로 지정된 병기역명이다.[1] 테헤란로와 영동대로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하며, 코엑스와 연결되어 있다.[2] 심야 주박역으로 내·외선 심야 막차는 이 역까지 운행한다. 북쪽으로 7호선 청담역과 9호선 봉은사역, 남쪽으로는 3호선 학여울역이 있다. 삼성교 하저터널로 종합운동장역과 연결된다.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역명 유래[편집]
공사 당시에는 '종합전시장역', '삼성역', '봉은사역'이 거론되었으나 종합전시장이라는 역명은 부적절하다는 결론이 내려졌고, 삼성역은 경부선 상에 동일한 이름을 가진 역이 있지만 지역적 위치 특성상 매표업무에 있어서 혼동할 우려가 없어 삼성역을 쓰기로 결정했다.[3] 지명의 유래는 닥점(저자도리, 楮子島里), 봉은사(奉恩寺), 무동도(舞童島)의 세 마을을 합하여 삼성리라 한 데서 유래한다.
역사[편집]
- 1982년 12월 9일 : 삼성역으로 역명 결정[3]
- 1982년 12월 23일 :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6년 : 스크린도어 설치
- 2010년 11월 12일 :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로 인해 당역 무정차 통과
- 2012년 3월 26일 ~ 3월 27일 오후 6시 :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로 인해 당역 무정차 통과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심야 주박 역이다. 출구는 8개가 있다.
승강장[편집]
종합운동장 ↑ |
| 내 외 | |
↓ 선릉 |
외선 순환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잠실 · 성수 · 왕십리 · 을지로3가 방면 |
---|---|---|
내선 순환 | 선릉 · 교대 · 사당 · 신도림 방면 |
역 주변[편집]
- 글라스타워
- 프릭 업 스튜디오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롯데면세점
- 서울강남경찰서
- 서울강남소방서
- 도로교통공단 강남운전면허시험장
- 대명중학교
- 러시아 대사관
- 영동대로복합환승센터 (2023년 예정)[4]
- 봉은사
- 인터파크
- 삼성1동행정복지센터
- 카카오M
- 키이스트
- 삼성메디슨빌딩
- 삼탄빌딩
-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 세아벤처타워빌딩
- 아셈타워
- 파크하얏트서울호텔
-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
- 하이브로
- 한국남부발전
- 한국산업은행
- 한국중부발전
- 한국종합무역센터
-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지사
- 휘문고등학교
- 한국도심공항터미널
-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 현대자동차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2021년 예정)
- KT&G 서울사옥
- ●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방면
영업 중단[편집]
코엑스와 가장 인접해 있고, 직접 연결되어 있는 역이기 때문에 국가 정상회의 등이 개최되면 안전을 위해 행사 기간 중에는 무정차 통과하며 당일 종착열차는 종합운동장역, 선릉역에 정차한 다음, 주박선으로 향한다.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호선 | 승차 | 69,161 | 75,488 | 75,444 | 76,164 | 75,992 | 74,371 | 73,402 | 72,765 | 71,556 | 70,331 | [5] |
하차 | 72,174 | 78,699 | 78,267 | 78,719 | 78,357 | 77,043 | 76,196 | 75,374 | 74,043 | 73,360 | ||
승하차 | 141,335 | 154,187 | 153,710 | 154,883 | 154,349 | 151,414 | 149,598 | 148,140 | 145,598 | 143,691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2호선 | 승차 | 69,863 | 70,501 | 68,002 | 63,261 | 60,051 | 59,117 | 56,277 | 56,078 | 59,064 | ||
하차 | 73,228 | 73,174 | 70,096 | 65,033 | 62,146 | 60,951 | 58,136 | 57,908 | 60,508 | |||
승하차 | 143,091 | 143,675 | 138,098 | 128,295 | 122,197 | 120,068 | 114,413 | 113,986 | 119,572 |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 ||
---|---|---|
218 종합운동장 외선 순환 |
● 서울 지하철 2호선 | 220 선릉 내선 순환 |
사진[편집]
각주[편집]
- ↑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소속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특별시 고시로 지정된 공식 역명으로 한국철도공사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 ↑ 다만, 코엑스몰과는 지하에서 직결되지 않고, 밀레니엄 광장으로 나와야 한다.
- ↑ 가 나 서울특별시고시 제505호, 1982년 12월 9일.
- ↑ 사업비 1조 '영동대로 복합개발' 가시화… 서울시, 이르면 5월 첫 삽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