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동 (강남구)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성1동 三成1洞 | |
---|---|
Samseong 1(il)-dong | |
![]() 삼성1동주민센터 | |
![]() | |
면적 | 1.94 km2 |
인구 (2018.06.30.) | 15,186 명 |
인구 밀도 | 7,830 명/km2 |
세대 | 5,840가구 |
법정동 | 삼성동 |
통·리·반 | 23통 147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616 |
웹사이트 | 삼성1동 주민센터 |
삼성2동 三成2洞 | |
---|---|
Samseong 2(i)-dong | |
![]() 삼성2동주민센터 | |
면적 | 1.24 km2 |
인구 (2018.06.30.) | 30,000 명 |
인구 밀도 | 24,200 명/km2 |
세대 | 13,021가구 |
법정동 | 삼성동 |
통·리·반 | 45통 287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19 |
웹사이트 | 삼성2동 주민센터 |
삼성동(三成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이다.
개요[편집]
삼성동은 조선시대 말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의 자연부락인 봉은사마을, 무동도마을, 닥점마을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일제에 의한 경기도 구역 확정때 세 마을을 합하여 ‘삼성리’라 명명한데서 시작되었다.[1] 삼성2동은 강남구청이 소재하고 있는 강남구의 중심부로, 테헤란로, 학동로, 삼성로, 선능로를 경계로 한다. 테헤란로 주변으로 업무용 빌딩이 밀집되어있고,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일반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6,000여평의 선정릉은 수목이 울창하여 지역주민의 산책 등 휴식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2]
삼성동 거주자[편집]
연혁[편집]
- 1914년 3월 1일 경기도 구역확정(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삼성리)
- 1963년 1월 1일 경기도에서 서울특별시 언주출장소 수도동으로 편입
- 1970년 5월 18일 수도동이 청담동으로 개칭
- 1977년 9월 1일 청담동에서 삼성동이 분동
- 1985년 9월 1일 삼성동이 삼성1동, 삼성2동으로 분동
행정 구역[편집]
법정동 | 행정동 |
---|---|
삼성동 | 삼성1동 |
삼성2동 |
교육[편집]
삼성1동[편집]
삼성2동[편집]
명소[편집]
- 선정릉은 수목이 울창하여 지역주민의 산책 등 휴식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조선왕조 제9대 성종과 2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능인 선릉과 제11대 중종의 능인 정릉을 합쳐 선정릉이라고 한다.
교통[편집]
- 서울 지하철 2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분당선
- 주요 도로 : 영동대로
각주[편집]
- ↑ 삼성1동의 연혁과 유래 Archived 2010년 1월 22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6월 20일 확인
- ↑ 삼성2동의 연혁과 유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6월 20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