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청역
보이기
시흥시청
| |
---|---|
3번 출입구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부천관리역 서해철도 (위탁 관리) |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시흥대로 지하 467 (광석동) |
좌표 | 북위 37° 22′ 49.8″ 동경 126° 48′ 23.4″ / 북위 37.380500° 동경 126.806500° |
역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2018년 6월 16일 |
역 번호 | S22 |
승강장수 | 2면 2선 (상대식) |
거리표 | |
서해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신안산선(2026년 개통예정) | |
일산 기점 37.3 km | |
|
시흥시청역(Siheung City Hall station, 始興市廳驛)은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향후 이 역은 경강선과 환승역이 될 예정이며 신안산선과 분기가 예정되어 있다. 이 역부터 원시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이 역과 신현역 사이에는 일부 지상 구간이 존재한다.
연혁
[편집]- 2013년 10월 21일: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 및 시흥시청역으로 역명 결정[2]
- 2018년 4월 6일: 철도거리표 고시[3]
- 2018년 6월 16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4]
승강장
[편집]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나 향후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대피선 설치를 염두에 두고 설계하였기 때문에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되었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신현 |
상 | | 하 |
시흥능곡 ↓ |
1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시흥대야 · 소사 · 김포공항 · 대곡 · 일산 방면 |
---|---|---|
2 | 달미 · 초지 · 원시 방면 |
역 주변
[편집]- 복합환승센터(예정)
- 시흥시청
- 시흥시청공원
- 연성119안전센터
- 연성동행정복지센터
- 시흥시종합일자리센터
- 경기도노인전문시흥병원
- 둔대교차로
- 능곡선사유적공원
- 시흥능곡고등학교
- 승지초등학교
- 시흥장현초등학교
- 시흥시의회
사진
[편집]-
1번 출입구
-
역명판
-
역 게이트
이용객 변동
[편집]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3,480 | 3,985 | 3,989 | 2,054 | 2,305 | [5] |
인접한 역
[편집]수도권 전철 서해선 | ||
---|---|---|
S20 신현 일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S23 시흥능곡 원시 방면 |
각주
[편집]- ↑ 아직 하중역이 미개통 상태이므로 현재 전역은 S20 신현역이다.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15호, 2013년 10월 21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07호, 2018년 4월 6일.
- ↑ 교통정책과 철도팀 (2018년 2월 1일). “소사-원시 복선전철 올해 6월 개통”. 《미디어시흥》. 2018년 4월 6일에 확인함.
- ↑ “서해철도(주) > 알림마당 > 자료실”. 2021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