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소사선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해선 (대곡-소사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광역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상태 | 공사 중 |
기점 | 일산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 |
종점 | 소사역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 |
역 수 | 6 |
개통일 | 2023년 상반기 (예정)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열차 운행 기관) 서부광역철도 주식회사 (건설, 역무 관리, 선로 유지보수운영 수탁 기관)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17.8 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수 | 2(복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
신호 방식 | RF-CBTC |
대곡-소사선(大谷-素砂線)은 서해선의 일부로 고양시 일산역과 부천시 소사역을 이을 예정인 철도 노선이다. 소사역에서 서해선 소사 ~ 원시 구간과 연결된다. 2019년 10월 일산역으로 추가 연장하는 직결 운행 방식으로 최종 확정되었다.[1]
노선 개요[편집]
- 사업상황: 착공
- 사업성격: 신설 노선
- 영업기관: 한국철도공사
- 건설기관: 서부광역철도[2]
- 사업구간: 일산역 ~ 대곡역 ~ 능곡역[3] ~ 김포공항역 ~ 원종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소사역 (→ ●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직결)
- 노선연장: 30km
연혁[편집]
역 목록[편집]
일산~능곡 구간은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노
선
|
역 번호 | 역명 | 한자 역명 | 로마자 역명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경의선 | S07 | 일산 | 一山 | Ilsan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기도 | 고양시 | |||
S08 | 풍산 | 楓山 | Pungsan | |||||||
S09 | 백마 | 白馬 | Baengma | |||||||
S10 | 곡산 | 谷山 | Goksan | |||||||
S11 | 대곡 | 大谷 | Daegok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S12 | 능곡 | 陵谷 | Neunggok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서해선 | S13 | 김포공항 | 金浦空港 | Gimpo Int`l Airport | ● 수도권 전철 5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골드라인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
S14 | 원종 | 遠宗 | Wonjong | 경기도 | 부천시 | |||||
S15 | 부천종합운동장 | 富川綜合運動場 | Bucheon Stadium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S16 | 소사 | 素砂 | Sosa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서해선 직결 |
관련 노선[편집]
특징[편집]
- 현재 경부선 및 경의선(수원역 ~ 서울역 ~ 대곡역)에 집중되는 남북 물류 운송을 분산하기 위한 철도 사업이다. 즉, 대곡역에서 경의선으로 연결되어 북한 지역으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 수도권 광역 철도 사업에 지정되어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할 예정이다.[5]
논란[편집]
방화대교 밑으로 우회하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지하로 통과해 행신역 부근을 지하로 통과하여, 행신동 주민들이 행신역에 정차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6]
각주[편집]
- ↑ 대곡~소사선 일산역 연장, 2021년 개통과 동시 이뤄져출처: 고양일보
- ↑ 대곡-소사선 개통 후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를 수탁 관리한다.
- ↑ 전철타고 서해선 공사구간 둘러보기 출처: 유튜브
- ↑ 대곡~소사 복선전철 마침내 첫삽, 2020년 개통 국민일보 2015년 12월 22일
- ↑ “국토해양부 교통정책실”. 2008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대곡-소사 전철 행신역 없다.”.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