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삼각선
전경삼각선 | |
---|---|
인근 육교에서 내려다 본 전경삼각선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지선 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평화역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
종점 | 성산역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
역 수 | 2 |
노선 번호 | 30708 |
개통일 | 2011년 10월 31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3.0km |
궤간 | 1,435mm(표준궤) |
선로 수 | 1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
신호 방식 | ATS |
전경삼각선(全慶三角線)은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에 있는 경전선 평화역에서 전라선 성산역을 잇는 길이 3.0km의 철도 노선이다. 경전선의 지선으로 되어 있다.
개요[편집]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의 개최가 결정되고, KTX가 여수엑스포역까지 직결운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KTX가 전라선 구간을 빠르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공사가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순천역 부근의 전라선을 경전선 아래로 입체교차화하는 과정에서 순천-광양간 경전선도 복선전철화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이 과정에서 이 노선을 신축하기로 한 경전선 순천-광양복선전철화 사업을 통해 2011년 후반에 개통되었다. 다만 이 부근의 전라선과 경전선은 지하에서 분기와 함께 입체교차를 하고 지상으로 올라오는 반면, 전경삼각선은 전선이 지상에 위치해 있다. 평화역 방면 쪽이 상행으로 설정되어 있다.[1]
이 노선을 건설하지 않았다면 경전선을 통해 진주나 광양에서 여수엑스포 방향으로 향하는 화물열차가 순천역을 경유하면서 8.7 km(성산-순천간 5.0 km, 순천-평화간 3.7 km)를 운행해야 하고, 순천역에서 기관차의 방향을 돌리는 데 시간과 에너지, 그리고 선로용량을 소비해야 했다. 그러나 노선 건설과 동시에 이러한 시간 소모가 줄어들고,운행거리도 5.7km를 절약해 효율적인 철도 운행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이 선의 주변으로는 현재 신대지구 신도시가 형성되었다.
연혁[편집]
역 목록[편집]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평화 | Pyeonghwa | 平化 | 0.0 | 0.0 | 경전선 | 전라남도 | 순천시 | 신호장 |
성산 | Seongsan | 星山 | 3.0 | 3.0 | 전라선 |
사진[편집]
평화역에서 보이는 전경삼각선 (맨 왼쪽의 노선)
각주[편집]
- ↑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 시행세칙 [별표 2] 본선의 운전 기본방향 기준 Archived 2015년 7월 12일 - 웨이백 머신
-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468호, 2011년 8월 25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