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철도공단
국가철도공단 본부가 위치한 철도기관 공동사옥
국가철도공단 본부가 위치한 철도기관 공동사옥
약칭 철도공단, KR
설립일 2004년 1월 1일
전신 철도청 (1963년 9월 1일~1992년 3월 8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1992년 3월 9일~2003년 12월 31일)
한국철도시설공단 (2004년 1월 1일~2020년 9월 9일)
소재지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2 8층(철도기관 공동사옥 동관)
상급기관 국토교통부
웹사이트 http://www.kr.or.kr/

국가철도공단(國家鐵道公團, 영어: Korea National Railway)은 대한민국 관내 국유철도 시설의 건설 및 관리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2004년 1월 1일 대한민국 철도청 건설 부문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통합해 한국철도시설공단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했으며, 2020년 9월 10일 국가철도공단으로 변경하였다.

설립 근거[편집]

  • 국가철도공단법[1]

주요 업무[편집]

  1. 철도 시설의 건설 및 관리
  2. 외국 철도 건설(설계, 시공, 감리 및 사업 관리 등)과 남북 연결 사업
  3. 철도 시설에 관한 기술의 개발 · 관리 및 지원
  4. 철도 시설의 건설에 따른 철도의 역세권 및 철도연변 개발 · 운영
  5. 건널목 입체화 등 철도 횡단 시설 사업
  6. 철도의 안전 관리 및 재해 대책의 집행
  7. 정부 · 지방자치단체 · 공기업 · 준정부기관 · 기타 공공기관 또는 타인이 위탁한 사업
  8. 제1호 내지 제7호의 사업에 부대되는 사업
  9. 제1호 내지 제8호의 사업을 위한 부동산의 취득 및 관리

개요[편집]

  • 조직형태: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적용)
  • 조직: 5본부 1실 5지역본부 1연구원
  • 인원: 1,347명(2012)

통합 이전[편집]

교통부 시설국장[편집]

  • 이봉인 (1948~1952)
  • 김윤기 (1952~1954)
  • 현영일 (1954~1955, 1958~1960)
  • 마종승 (1955~1958)
  • 신무성 (1960~1961)
  • 박길수 (1961~1963)

철도청 시설국장[편집]

  • 김덕원 (1963)
  • 최순철 (1963~1964)
  • 박대규 (1964~1966)
  • 신유섭 (1966~1970)
  • 김재두 (1970~1973)
  • 윤익상 (1973~1976)
  • 함길 (1976~1979)
  • 김희국 (1979~1983)
  • 백완규 (1983~1986)
  • 김정옥 (1986~1989)
  • 최강희 (1989~1992)
  • 문순경 (1992~1995)
  • 이구해 (1995)
  • 김대영 (1995~1996)
  • 권영대 (1996~1999)

철도청 시설본부장[편집]

  • 신광순 (2000~2001)
  • 조영갑 (2001~2002)
  • 홍만용 (2002~2003)
  • 김상균 (2003)
  • 임용현 (2003)

철도청 철도건설국장[편집]

  • 윤정후 (1963~1964)
  • 신유섭 (1964~1966)
  • 이동범 (1966~1968)
  • 김재두 (1968~1970)
  • 윤익상 (1970~1973)
  • 함길 (1973~1974)
  • 김유환 (1974~1977)
  • 김희국 (1977~1981)
  • 최병길 (1981~1983)
  • 양용호 (1983~1984)

철도청 철도건설창(廠)장[편집]

  • 양용호 (1984~1989)
  • 정진우 (1989~1990)
  • 문순경 (1990~1992)
  • 이기철 (1992~1993)
  • 이인영 (1993~1994)

철도청 종합공사사무소장[편집]

  • 이인영 (1994~1995)
  • 김대영 (1995~1996)

철도청 철도건설본부장[편집]

  • 김대영 (1996~1998)
  • 양기탁 (1998)
  • 조영갑 (1998~1999)

철도청 건설본부장[편집]

  • 조영갑 (2000~2001)
  • 신광순 (2001~2002)
  • 임용현 (2002~2003)
  • 김상균 (2003)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이사장[편집]

  • 김종구 (1992~1993)
  • 박유광 (1993~1996)
  • 김한종 (1996~1997)
  • 유상렬 (1997~2000)
  • 채영석 (2000~2003)
  • 정종환 (2003)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편집]

  • 정종환 (2004~2007)
  • 이성권 (2007~2008)
  • 조현룡 (2008~2011)
  • 故 김광재 (2011~2014)
  • 강영일 (2014~2017)
  • 김상균 (2018~2020.9.10)

국가철도공단 이사장[편집]

  • 김상균 (2020.9.10~2021.2.15)
  • 김한영 (2021.2.16~)

연혁[편집]

세부 조직[편집]

  • 감사

이사장[편집]

  • 비서실
  • 홍보실

미래전략연구원[편집]

  • 정책개발처
  • 기술연구처

부이사장[편집]

  • 안전본부
기획본부[편집]
  • 기획조정실
  • 사업기획처
  • 철도시설안전합동혁신단
  • 혁신성과처
  • 재무전략처
  • 법무처
경영본부[편집]
  • 경영노무처
  • 인재개발처
  • 계약처
  • 정보관리처
건설본부[편집]
  • 건설계획처
  • 일반철도처
  • 광역민자철도처
  • 고속철도처TF
  • 건축설비처TF
설계실[편집]
  • 기준심사처
  • 토목설계처
  • 건축설계처
기술본부[편집]
  • 전철처
  • 궤도처
  • 수송계획처
  • 시설장비사무소
신호통신단[편집]
  • 신호처
  • 통신처
시설본부[편집]
  • 시설계획처
  • 시설개량처
  • 시스템개량처TF
  • 시설종합정보구축처TF
자산운영단[편집]
  • 재산용지처
  • 자산개발처
해외사업본부[편집]
  • 해외사업1처
  • 해외사업2처TF
수도권본부[편집]
  • 안전혁신처
  • 재산지원처
  • 수도권사업단
영남본부[편집]
  • 안전혁신처
  • 재산지원처
  • 동해남부사업단
  • 동해북부사업단
호남본부[편집]
  • 안전혁신처
  • 재산지원처
  • 호남권사업단
충청본부[편집]
  • 시설관리단
  • 재산지원처
  • 충청권사업단
강원본부[편집]
  • 안전혁신처
  • 재산지원처
  • 중앙선사업단

지역 본부 주소[편집]

  • 수도권본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동자동 43-229) 3~5층
  • 강원본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북원로 2650 (태장동 1402)
  • 충청본부: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2 (9~11층)
  • 호남본부: 광주광역시 남구 효천1로 32
  • 영남본부: 부산광역시 중구 충장대로9번길 46 한진해운빌딩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제1조 (목적) 이 법은 국가철도공단을 설립하여 철도시설의 건설 및 관리와 그 밖에 이와 관련되는 사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게 함으로써 국민의 교통 편의의 증진과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 한국철도시설공단법 (제정 2003년 7월 29일 법률 제 6956호)
  3. 임정재 기자 (2004년 1월 7일). “한국철도시설공단 출범”. 《세계일보》. 
  4. 이정우 기자 (2020년 9월 9일). “한국철도시설공단, '국가철도공단'으로 새 출발”. 《YTN》.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