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슷한 이름의
신호소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신호장(Signal Station, 信號場)은 운전취급 가운데 열차의 교행과 대피만을 위해 설치되는 철도역의 한 종류이다. 보통 여객이나 화물 취급을 하지 않지만 가끔 여객 취급을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신호소와의 관계[편집]
신호소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신호소는 철도의 분기점 등에 신호기가 설치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역으로서의 기능은 하지 않는다. 반면 신호장은 분기를 위해서가 아니라 교행이나 열차 운전상의 필요에 의해서 설치한 것이다.
나라별 신호장 목록[편집]
|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동아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 |
대한민국[편집]
- 경강선: 대관령역[주 1], 남강릉역[주 1]
- 경부선: 전동역, 서창역, 내판역
- 경원선: 마전역[주 1]
- 경전선: 동송정역, 평화역
- 광양제철선: 초남역, 황길역
- 동해선: 선암역, 동방역, 달리역
- 영동선: 문단역, 솔안역, 상정역, 도경리역
- 장항선: 주포역
- 전라선: 성산역
- 중앙선: 유교역, 금교역, 창교역, 연교역, 죽령역, 안정역, 옹천역, 서지역, 업동역, 비봉역, 봉림역, 갑현역, 송포역, 율동역
- 태백선: 청령포역, 탄부역, 연하역, 조동역
- 호남선: 채운역
일본은 홋카이도, 서일본, 동일본, 시코쿠, 규슈, JR 화물 등 각 분화된 회사마다 신호장을 따로 설치한다. 일부 역사에 한하여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