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프 궤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궤간
궤간 목록
궤간의 목록

최소 궤간
  15인치 381 mm (15 in)

협궤
  2피트·600 mm 597 mm
600 mm
603 mm
610 mm
(1 ft 11+12 in)
(1 ft 11+58 in)
(1 ft 11+34 in)
(2 ft)
  750 mm,
보스니아,
2피트 6인치,
800 mm
750 mm
760 mm
762 mm
800 mm
(2 ft 5+12 in)
(2 ft 5+1516 in)
(2 ft 6 in)
(2 ft 7+12 in)
  스웨덴 3피트,
900 mm,
3피트
891 mm
900 mm
914 mm
(2 ft11+332 in)
(2 ft 11+716)
(3 ft)
  미터 1,000 mm (3 ft 3+38 in)
  케이프 1,067 mm (3 ft 6 in)
  스코틀랜드 1,372 mm (4 ft 6 in)

  표준궤 1,435 mm (4 ft 8+12 in)

광궤
  러시아 1,520 mm
1,524 mm
(4 ft 11+2732 in)
(5 ft)
  아일랜드 1,600 mm (5 ft 3 in)
  이베리아 1,668 mm (5 ft 5+2132 in)
  인도 1,676 mm (5 ft 6 in)
  브루넬 2,140 mm (7 ft 14 in)
궤간 변경
궤간 변경·듀얼 게이지·대차 교환·개궤·가변 궤간
지역별
궤간의 분포를 나타낸 지도
v  d  e  h
수단 코스티에 있는 케이프 궤간 철도
일본 오다와라역 근처에 있는 표준궤와 케이프 궤 철도

케이프 궤간은 3 ft 6 in (1067 mm) 협궤를 가리킨다. 전 세계적으로 약 112,000km의 케이프 궤간 철도가 설치되어 있다. 노르웨이 공학자 칼 아브라함 필(Carl Abraham Pihl)이 제안하였고, 1862년 첫 케이프 궤간 철도가 부설되었다. 궤간의 이름인 케이프는 1873년 이 궤간을 받아들인 케이프 식민지(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온 이름이다.[1][2] 때때로 칼 아브라함 필의 이름 약자인 CAP 궤간으로 불리기도 한다.[3]

역사[편집]

초기 케이프 궤간은 짧은 철도에만 활용하였다. 칼 아브라함 필이 최초로 건설한 철도는 1862년 노르웨이 하마르 근처를 지나는 철도이다. 험난한 산악 지형과 낮은 인구 밀도 때문에 표준궤로 건설하였을 때 이익이 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 협궤로 건설하였다. 차량 제작 비용과 노선 건설 비용 둘 다가 표준궤보다 한참 쌌기 때문에 1880년까지 980km의 케이프 궤간 철도가 노르웨이에 부설되었다. 이후 지선을 제외하고 1904년부터 1949년까지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현재 유럽에서 간선 철도에 케이프 궤간을 찾아볼 수는 없으며 산업선이나 노면 전차 등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이후 남아프리카에 철도를 부설하면서,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현저한 고도차이로 인해 표준궤를 사용한 부설이 난항을 겪게 되었다. 그래서 대안으로 1067mm의 궤간을 채용하여 부설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영국의 아프리카 지역 팽창을 거치면서 크게 보급되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국가의 표준으로 채용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연원으로 인하여 케이프 궤간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현재 케이프 궤간은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대만, 아프리카 국가 등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용처[편집]

전 세계적으로 112,000km의 철도가 케이프 궤간으로 부설되어 있다.[4].

이 외에도 일부 국가의 산업선이나 기타 궤도 교통이 이 궤간을 사용한다.

과거 사용했던 지역[편집]

  • 노르웨이의 일부 간선은 1,067mm 케이프 궤간으로 건설되었다가, 이후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일본 제국남만주 철도를 1,524mm 러시아 궤간에서 1,067mm 케이프 궤간으로 개궤하였다. 이후 일본 제국령이 된 남만주 철도는 1907년 표준궤로 바뀌었다.[7]

대한민국에서의 사용[편집]

이 궤간은 대한민국에서는 노면전차 등 궤도법의 적용을 받는 노선에만 적용되었다. 1899년 서울전차에 적용된 것이 시초이며 이후 부산전차, 경성궤도, 함평궤도 등의 노선에 적용되었으나 1960년대에 이들 노선이 모두 철거되어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Ransom, P.J.G. (1996). 《Narrow Gauge Steam》. Oxford Publishing Co. 107쪽. ISBN 0860935337. 
  2. Griffiths, Ieuan Ll; Rowland, Susan (1994). 《The Atlas of African Affairs》. Routledge. 168쪽. ISBN 0415054885. 
  3. Bergh, Trond (2001). “Backwardness for ever: Norwegian railway engineers and the narrow gauge, light railway system”. 《EBHA Conference 2001: Business and Knowledge A1: Knowledge as platform for strategy》: page 15. 
  4. “Forum 1520”. 2008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2일에 확인함. 
  5. “CIA World Factbook, Japan”. 2015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2일에 확인함. 
  6. “CIA World Factbook, Indonesia”. 2008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2일에 확인함. 
  7. Railway and Locomotive Engineering, vol. 26 (1913), pp. 91-9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