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전철 동북선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북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도시 철도 (서울 경전철) |
체계 | 수도권 전철 |
상태 | 공사중 |
기점 | 왕십리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1동) |
종점 | 상계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
역 수 | 16 |
개통일 | 2025년 상반기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동북선경전철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13.3 km |
선로 수 | 2 |
전철화 | DC 750V |
서울 경전철 동북선(서울 輕電鐵 東北線)은 왕십리역에서 상계역을 이을 예정인 서울 경전철 노선이다. 노선색은 ●연청빨강색과 서울 경전철 주조색인 ●진한 회색으로 결정되었다.[1]
개요[편집]
강북 지역의 철도 교통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추진되는 노선이다. 1990년대에는 서울 지하철 12호선으로 추진되었으나, 1998년 9월 해당 사업이 백지화된 이후 경전철로 전환해 추진하고 있다. 영업 거리는 12호선 시절보다 좀 더 길어졌다. 모든 정거장에 엘리베이터, 스크린도어 등 편의시설이 설치되며 우이신설선과 동일하게 역무실, 매표소 등 없이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 총 연장 : 13.3 km (전구간 지하)
- 역수 : 16
- 운행방식 : 무인 자동 운전, 철제차륜
- 시행방식 : 민간투자사업 (BTO)
- 착공 : 2019년 10월 9일
- 개통 : 2025년 상반기
- 운행차량 : 서울 경전철 동북선의 차량
연혁[편집]
- 2007년 3월 23일 : 최초 사업제안서 접수
- 2010년 5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
- 2010년 10월 7일 : 우선협상대상자(가칭 동북뉴타운신교통주식회사, 주간사 경남기업) 지정
- 2015년 12월 30일 : 우선협상대상자 해제
- 2016년 1월 4일 : 차순위 협상대상자 현대엔지니어링과 협상 개시[2]
- 2017년 7월 23일 : 차순위 협상대상자와 최종 협상 마무리
- 2018년 7월 5일 : 동북선경전철과 실시협약 체결
- 2019년 10월 9일: 착공
노선[편집]
환승역을 제외한 역명은 가칭이다.
역 번호 |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S301 | 왕십리 | 往十里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서울특별시 | 성동구 | |||
S302 | 동명초교 | 東明初校 | ||||||
S303 | 제기동 | 祭基洞 | ● 수도권 전철 1호선 | 동대문구 | ||||
S304 | 고려대 | 高麗大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S305 | 종암 | 鍾岩 | 성북구 | |||||
S306 | 종암사거리 | 鍾岩사거리 | ||||||
S307 | 미아사거리 | 彌阿사거리 | ● 수도권 전철 4호선 | 강북구 | ||||
S308 | 신미아 | 新彌阿 | ||||||
S309 | 장위 | 長位 | ||||||
S310 | 우이천 | 牛耳川 | 노원구 | |||||
S311 | 월계 | 月溪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S312 | 하계 | 下溪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S313 | 서울시립과학관 | 서울市立科學館 | ||||||
S314 | 은행사거리 | 銀杏사거리 | ||||||
S315 | 불암산 | 佛巖山 | ||||||
S316 | 상계 | 上溪 | ● 수도권 전철 4호선 |
논란[편집]
- 동북선을 중전철로 변경하여 수인분당선과 직결하자는 주장이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3]
- 노선이 용두역 인근을 통과함에도 용두역과의 환승이 이뤄지지 않을 예정이다. 서울시에서는 민자 사업자와 협상시 환승을 검토할 예정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홈페이지
- ↑ 서울 동북선 경전철 협상 이달중 마무리...신림선도 첫 삽, 《EBN》, 2016.09.01.
- ↑ 서울시, 동북권 철도사업 경전철 확정… 주민 ‘강력 반발’, 《국토일보》, 2014.05.12.